• Title/Summary/Keyword: 환경토양

Search Result 7,79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tudy on the soil related assessment factors in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 관련 평가 항목에 대한 고찰)

  • Yang, Jihoon;Park, Sun Hwan;Kim, Tae Heum;Hwang, Sang 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1
    • /
    • pp.41-50
    • /
    • 2016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implemented for more than 30 years in Korea. During that period, various amendments were carried out about target plan and assessment factors. However, in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only a few factors has been considered for soil environment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and foreig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on soil related factors and figures out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water quality, topography and geology, hydraulics and hydrology, and soil contamination were analyzed as a soil related factors. The main assessment targets were pollution related factors such as soil pollution levels, amount of rainfall runoff, and non-point sources. However, in the case of foreign guidelines, soil compaction, soil sealing, and soil salinization is being analyzed for evaluating function and quality of soil environment. The revision of soil-related factors are need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

The Study of Soil Environmental Policy in Netherland (네덜란드의 토양환경 정책연구)

  • 송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1-10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토양환경정책을 정리하고, 국내의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네덜란드의 토양환경관리의 목표점은 토양의 다기능성을 유지시키고자 한 것으로서 다기능성의 회복에 토양정화의 주목적이 있다. 네덜란드의 토양법체계는 토양보호법을 기점으로 주변에 환경관리법, 건축법등을 통해 토양환경의 보전을 하고 있으며, 공장지대나 주유소는 토양보호법의 테두리안에서 별도의 명령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정화의 책임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화의 책임순서로는 오염원인자, 소유자, 권리행사자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정화는 오염자 스스로 정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자하여 정화를 행하고 있다. 아울러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에는 토양에 관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지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토양의 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행하고 있다.

  • PDF

Vertical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Landscape Planting Sites of Pinuse thunbergii Parlatore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 김도균;김용식;김민수;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86-192
    • /
    • 2001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만의 6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의 토양환경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토심이 깊어짐에 따른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은 각 식재지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토와 준설토의 이질서, 토양의 물리. 화학성의 교란, 지반하부에 잔존하는 염류의 이동, 유기물의 이동과 강우나 가뭄 등이었다. 수목생 상 유리한 식재지반은 식재지반의 높이가 낮은 곳보다 높은 성토지역이었으며, 이것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교란과 지하부의 염류로부터 안전성이 높기때문이었다. 조경식물의 생육상 불리한 토양성질들은 토성의 이질서, 토양의 경화, 알칼리성 염류토양, 높은 ECe, Na, K. 저농도의 Ca, Mg, T-C등이었으며, 이러한 토양성질들은 표토보다는 지하의 근권부에 주로 분포하여 있었다. 따라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 조성시에는 토양의 성질이 교란되지 않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조경수목의 생육에 관련된 토양환경조사는 지하근권부 이하까지 정밀하게 조사.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되었다.

  • PDF

논단 - 나무가 숨쉬는 토양 -나무와 토양환경(3)-

  • Park, Hyeon-Jun
    • Landscaping Tree
    • /
    • s.123
    • /
    • pp.46-55
    • /
    • 2011
  • 수목이 토양환경에 의해 피해를 보았을 때 토양 자체의 건조 괴습 문제 등 토양불량과 사람에 의해 복토, 심식되었을 때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토양의 심상중 토양공극 내 수분과 공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이번 연재에서는 토양환경 불량에 대한 여러 가지 예와 병징, 방제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Improving Soil Environment Policy to Build New Greenfield at Brownfield Redevelopment Projects (기훼손(오염)지역에서의 재개발사업 사례를 통해서 본 토양환경개선방안)

  • Hwang, Sang-Il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103-107
    • /
    • 2008
  • In this work, soil environment policy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t brownfield redevelopment projects was deduced from investigation on thei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tements. Soil contamination sources such as small-scale factories were found at a few large-scale brownfield projects, so contaminated soils did often exist at these sites. Especially, military facilities within the sites caused severe soil contamination problems. Therefore, soil environment policy was presented in detail to solve soil contamination problem at brownfield redevelopment projects. Furthermore, land-use planning focusing on greening (soil and vegetation) should be pursued at brownfield re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maximize environmental benefits of greenspace.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 Hong, Seok-Yeong;Kim, Lee-Hyeon;Choe, Eun-Yeong;Jang, Yong-Seon;Hyeon, Byeong-Geun;Son, Yeon-Gyu;Park, Chan-Won;Song, Gwan-Cheol;Lee, Ye-Jin;Kim, Myeong-Suk;Jeon, Sang-Ho;Ha, Sang-Ge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3 no.1
    • /
    • pp.27-40
    • /
    • 2011
  • 토양정보는 식량생산, 지속적인 토지이용 계획, 종다양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우리나라 토양조사의 역사,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 구축과 토양검정, 토양도와 토양검정 자료의 특성, 농업환경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일반농경지 및 취약농경지 토양, 토양정보의 전산화에 따른 토양데이터베이스와 토양정보시스템 소개, 구축된 토양정보의 활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40여년 동안 수행되었던 국책 토양조사사업 결과 두 종류의 토양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는데,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1:250,000, 1:50,000, 1:25,000, 1:5,000)를 GIS DB로 전산화한 수치토양도 DB와 필지 단위로 조사된 화학성 위주의 토양분석 성적을 구축한 토양비옥도 DB이다. 흙토람(http://soil.rda.go.kr)에 서 제공하는 토양전자지도는 총 111종으로 토성, 경사, 지형, 모재, 배수등급, 자갈함량, 유효토심 등 토양 GIS 주제도 50종, 사과, 배, 마늘, 수박 등 작물 재배적지 61종이고, 82종의 토양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에 따른 경작형태 및 오염원별 농경지 토양의 이화학성 및 농업용수 수질 조사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공간적인 분포와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농업환경변동 정보는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일반농경지의 화학성과 농업용수의 수질, 토양 미생물 등의 공간적인 분포와 시간적인 변화 정보를 전문가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변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쉽게 가공하여 일반인들에게 농업환경과 자연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토양정보와 농업환경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보다 내실있게 하고 정보 수요자별로 손쉽게 목적에 맞는 접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한다.

Filter Clogging of Leachate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at Waste Landfill (불량폐기물 매립지 및 주변토양 오염도에 관한 연구)

  • 김동우;한영수;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310-31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 종료된 매립지 재사용을 위해 정비를 실시 중인 전국 매립지 중에서 충남 공주시 금홍동에 위치한 사용 종료된 매립지를 대상으로 하여 사업 지구 및 그 주변지역의 환경질 평가를 위하여 토양에 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는 매립지 내 1개 지점과 주변 논 2개 지점, 밭 1지점으로 총 4개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토양시료의 분석항목은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하는 총 11개 항목으로 하였으며, 실험방법은 토양오염공정시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토양환경보전법상 농경지에 대한 우려기준과 비교하여 전 항목이 기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질의 면에서 된다면 이 매립지 부지는 일반적인 용도의 토지로써 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Removal of Nitrate from Groundwater using Zero-valent Iron-modified Biochar (영가철 개질 바이오차를 이용한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제거)

  • Han, Eun-Yeong;Kim, Hye-Bin;Kim, Jong-Gook;Shin, Dong-Hun;Baek, Kita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5 no.4
    • /
    • pp.28-34
    • /
    • 2020
  • Nitrate released from chemical fertilizer, animal wastes, and synthetic detergents can cause methemoglobinemia to infants, thus the standard in drinking water is set to 10 mg/L a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ed. In this study, zero-valent iron-modified rice straw biochar was used to reduce and remove nitrate in the aqueous phase. The rice straw biochar was prepared by pyrolyzing the biomass at 700℃ for 3 hours, and the biochar was modified using 1 M Fe(III), and the Fe(III) on the biochar was reduced to zero-valent iron using sodium borohydride. The modified biochar removed nitrate effectively, which removed more than 91% of nitrate. For the synthetic groundwater, the nitrate removal was lowered to 82%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anions.

Evaluation on Soil Washing of Metal-contaminated Soil using Non-Inorganic Acids (비 무기산 세척제에 의한 중금속 오염 토양 세척효과 평가)

  • Lee, Ga-Bin;Jeong, Won-Gune;Lee, Su-Min;Park, Jin;Jo, Yong-Hwan;Baek, Kita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7 no.5
    • /
    • pp.10-17
    • /
    • 2022
  • Inorganic acids such as HCl, HNO3, and H2SO4 have been commonly applied to soil washing of heavy metals-contaminated soil due to their cost-effectiveness. However, implementing the 'Chemical Substance Control Act' requires off-site risk assessment of the chemicals used in the soil washing. Therefore, in this study, organic acids or Fe(III)-based washing agents were evaluated to replace commonly used inorganic acids. Ferric removed heavy metals via H+ generated by hydrolysis, which is similar to the HCl used in the control group.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effective to remove Cu, Zn, and Cd from soil. Organic acids could not remove Pb because they could form Pb-organic acid complexes with low solubility. Furthermore, Pb could be adsorbed onto the iron-organic acid complex on the soil surface. Ferric could remove exchangeable-carbonate, Fe-Mn hydroxide, and organic matter and sulfides bound heavy metals (F1, F2, and F3). Organic acids could remove the exchangeable-carbonate and Fe-Mn hydroxide bound metals (F1&F2). Therefore,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oil and the properties of washing ag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agents in the process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