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지화학

Search Result 8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a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tmospheric Diffu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Chemicals in Dike (방유벽 내 위험·유해화학물질 대기 확산 방지를 위한 안전시스템 연구)

  • Lee, Deok-Jae;Song, Chang-Ge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4
    • /
    • pp.97-104
    • /
    • 2019
  • Behind the growth of the chemical industry which is a cornerstone of the Korean economy, dozens of hazardous and noxious chemical accidents occur every year, resulting in enormous casualties and environmental damages. Many cases among chemical accidents are caused by the carelessness of workers in handling facilities such as hydrochloric acid and hydrofluoric acid, and the aging of handling facilities. In order to mitigate the damage by such chemical accidents, a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tmospheric diffusion of hazardous and xoxious chemicals in dike was proposed. The atmospheric diffusion prevention safety system consists of leak detection phase, alarm and measurement phase, suppression and blocking phase. Through the proposed the atmospheric diffusion prevention safety system, the need for 2nd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such as atmospheric diffusion in dike can be posed.

매립장 주변 대수층 매질특성과 수질의 상관관계 연구

  • O In-Suk;Go Gyeong-Seok;Gu Min-Ho;An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87-390
    • /
    • 2006
  • 매립장주변의 대수층 특성과 수리지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은 매립장 환경 위해 요인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생활쓰레기 매립장인 금산 매립장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수층 매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 성분 및 pH, 전기전도도, 용존유기탄소, 양이온교환능력, 유기물함량, 토양 입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수리지화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수질검층 및 지하수 시료를 분석하여 매립지역의 수직 및 수평적인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수층의 토양특성과 지하수 수질특성의 비교분석 결과 침출수 집수정을 기점으로 침출수의 영향을 받은 관측정의 전기전도도(EC) 측정값이 배경 지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입도분석 결과 상부 표토에 가까운 50cm 이내의 토양은 농경의 영향으로 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실트질 토양이 많고 이보다. 심부의 토양은 사질 토양으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투수성이 좋은 사질 토양은 지하수의 이동을 비교적 쉽게 유도하기 때문에 매립장으로부터 침출수가 누출되었을 때 지하수 흐름을 따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하투과레이다(GPR)를 활용한 천부 충적 대수층 퇴적상 연구

  • 김형수;이철우;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144-147
    • /
    • 2002
  • 효과적인 국내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강변여과, 인공 침투지 등의 적극적인 충적 대수층의 활용을 위해서는 충적 대수층의 퇴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국내 충적층의 대부분은 하천 둔치 주변에서 하도의 수평 이동에 의해 형성된 경사 지층으로, 니질 박층이 협재하므로 내부의 분균일성에 의해 인접한 취수 공간에도 지하수체의 이동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균질성을 박히기 위해 지하투과레이다(GPR)를 이용하여 부여 군수리 지역의 천부 충적층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군수리 지역은 크게 상하 두 개의 충적층으로 구분되며, 상부 수평층은 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수직 불균질성이 크고 수평 불균질성은 낮다. 하부 경사층은 수평, 수직 불균질성이 모두 크다. 특히 하부 경사층내에 발달한 하도곡은 인접한 충적층과 분리되어 이 층내의 지하수체 이동은 제한적일 것이고 수질 특성 또한 크게 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충적 대수층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 퇴적학적 해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시설원예 현장에서 요청되는 재배관리 기술

  • 정범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3-5
    • /
    • 2003
  • 우리는 그동안 해방과 더불어 전 국가산업이 기초에서부터 시작해 이제는 반세기가 지나 시설면적 48,853ha로 장족의 발전을 해왔으나 그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이제는 튼튼한 기반 위에 올라서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농민들은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해 필요이상의 가축분뇨와 화학비료를 투입하여 삶의 터전인 땅과 주위 환경을 더럽혀 일부 지역에서는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는 문제점이 하나하나 나타나고 있어 일선 시설재배 농가들은 불안해하며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으나 뚜렸한 방법이 없어 고심하고 있습니다. (중략)

  • PDF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odor sensor for the estimation of odor unit concentration (악취농도단위 산정을 위한 복합취기센서의 활용 고찰)

  • 김학민;김선태;김덕현;전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09-210
    • /
    • 2002
  • 감각적인 불쾌감을 야기하는 악취물질의 종류는 다양하며,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감각기관을 자극할 뿐 아니라 물질간 반응이 복잡한 특징을 갖고있어 화학성분분석법과 함께 감각적인 자극수준을 평가하는 관능측정법을 병행하여 악취현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특히 매립지 등의 환경기초시설이 운영됨에 따라 나타나는 악취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기확산모델의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악취배출량 자료의 구축이 필요하게 된다. (중략)

  • PDF

NH$_3$ Removal Efficiency Characteristics by using Pyroligneous Liquid (목초액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효율 특성 연구)

  • 김재일;박정호;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09-410
    • /
    • 2001
  • 악취 발생원은 하수ㆍ분뇨처리장, 매립지 등 각종 환경기초시설에서부터 석유화학단지, 각종 산업시설, 그리고 농촌의 축사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주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탈취시설은 일반적으로 분뇨처리장을 제외하고는 보편화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일반 농촌 축사의 경우는 탈취 시설이 전무한 상태로서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주민 민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축분의 대사과정에서 주로 발생되는 악취인 암모니아는 강한 악취성분의 하나로 배설된 분뇨에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에 의해 암모늄이 생성되고, 생성된 암모늄은 암모니아 가스로 대기중으로 휘산되어 강한 악취를 발생시킨다.$^{1)}$ (중략)

  • PDF

Biomass Burning Aerosols after Harvest and Their Impact on Air Quality in Kwangju, Korea (추수 후 생체 소각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 류성윤;김정은;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3-194
    • /
    • 2002
  • 최근 복사적, 화학적 활성 가스 및 원소 탄소(EC)의 전 지구적 규모의 양에 생체 소각의 기여도가 매우 크다는 것이 발표되고 있다. 지난 100년 동안의 생체 소각은 인간의 산업활동으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고, 이제는 심각한 주요 배출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주요한 생체 소각으로는 산불,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의 불, 경작지의 추수 후의 소각 그리고 생활을 위한 목재의 소각 및 연탄의 사용이 있다. 생체 소각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스들은 환경적으로도 매우 심각하다. (중략)

  • PDF

Chemical Accident Response Pla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Regions in Korea (화학사고 대응계획: 국내 지역간 비교연구)

  • Min-Je Choi;Gyu-Sun C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1
    • /
    • pp.57-64
    • /
    • 2024
  • In 2015, the paradigm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in Korea shifted from the workplace to the regional level due to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Chemicals Control Act. Although regional chemical accident response plans were established in 2020,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the scope and criteria of each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hemical accident response plans established in four different regions to provide insights into effective chemical accident response plans. Based on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the current status of accident preparedness,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s, and resident evacuation response and education/trai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ident preparedness and response systems between the regions. However, there wa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preparedness system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place in each region.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residents between regions. In the futur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response organization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 and develop strategies for agile and effective accident response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B과 Sr동위원소를 이용한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 Go Gyeong-Seok;Yeom Byeong-U;Ha Gyu-Cheol;Ryu Jong-Sik;Go Dong-Chan;Bae Gw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28-332
    • /
    • 2006
  • 본 연구는 농경활동이 활발한 만경강 하천부지에서 지하수의 수리지질 및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B과 Sr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지하수 수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만경강 하천부지는 지표로부터 실트질 모래층, 자갈모래층, 풍화대로 크게 3등분되며 투수성은 모래자갈층에서 가장 좋고 그 다음으로 풍화대, 실트질 모래층 순이었다. 화학성분 검층과 ${\delta}^{11}B,\;^{87}Sr/^{86}Sr$ 동위원소 분석결과 지하수 조성은 해수와 농업 활동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성분 검층 결과 해수 영향은 하천과 도로제방 사이 중간정도 까지인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delta}^{11}B$ 분석 결과 자갈모래층과 풍화대 지하수는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지역 지하수는 지층 특성에 의한 영향으로 천층지하수는 토지이용에 따른 농업활동의 영향을 받으며 지표하 10m 이하의 지하수는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tmospheric Chemistry of Mercury in the Polar Regions and its Environmental Implications (극지환경 수은의 대기화학과 환경학적 의미)

  • Schroeder, WH;Kim, Min-Young;Hong, Sung-Min;Shon, Zang-Ho;Kim, Ki-H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5
    • /
    • pp.420-427
    • /
    • 2003
  •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atmospheric distribution of Hg in the arctic environment is unique enough to show strong depletion during spring followed by notable increases during summer. The observations of this abnormal trend contrast quite sharply with what had been recognized as Hg geochemical behavior in air over the past decades. Using the long-term measurement data of Hg obtained from both the Arctic and Korea, we attemp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unique mercury depletion phenomenon (MDP) in the polar regions of the gl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