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조형물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굿디자인을 활용한 금속환경조형물 연구 (A study of metal environment sculptures using good design)

  • 고승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6
    • /
    • 2022
  • 본 논문은 외부 설치 금속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디자인의 범위와 의미가 커지면서 외부 설치 조형물에도 디자인의 개념이 사용되고, 조형물에 주변환경에 어울리면서 설치환경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조형물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환경조형물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환경조형물의 개념은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고 학문적 연구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외부 설치 조형물을 환경조형물로 정의하기 위해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을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보고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분류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굿디자인의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디자인 전개 요소를 통해 금속환경조형물로 완성하고 연구작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속환경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게 되었고 다양한 환경조형물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 융합적 환경조형물의 다양한 패러다임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가로경관에 환경조형물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ulpture For Street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Teheran-Ro in Seoul -)

  • 정수진;장영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23-334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조형물이 건축물을 위한 단순한 장식 이상의 것이며 공공성을 가진 미술 작품으로서 가로환경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라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환경조형물은 설치장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시각적 대상으로 주변 환경과 장소적 맥락을 가지는 요소로 파악 가능하다. 현장조사의 대상 지는 강남의 중심적인 업무지역이며 대규모 건축물이 집중되어 있는 테헤란로의 삼성역과 선릉역 사이 구간의 가로변에 위치한 28개 환경조형물에 대해 전수조사 하였다. 이들 환경조형물과 가로경관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각각 건축물, 보행자, 조형물의 시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가로 경관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조형물이 가로경관과 주변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형물 주변에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주변의 공간과 결합되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환경조형물은 가로의 경관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로 환경디자인의 수단으로 거시적 맥락에서 위치 및 설치방식, 재료 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 PDF

대학 내 공공 환경조형물 색채 감성이미지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Image of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se of Kongju University-)

  • 김혜진;정지복;최정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49-354
    • /
    • 2019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내 설치된 공공환경조형물과 설치환경, 학내 이용자가 조형물을 관람하고 느끼는 감성이미지, 색채 계획 시 선호하는 색상과 감성이미지를 측정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학내 설치된 조형물 분석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학내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및 조형물 제작 시 고려되어야 할 지향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내 설치된 공공 환경 조형물의 색채에 대하여 학술적으로 접근하고, 향후 색채계획단계에서 유의해야할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학내 조형물을 설치 기획할 때에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만들기 - 창원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 (The Create Cultureal art space in the urban regeneration)

  • 민성기;김수경;한창준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105-106
    • /
    • 2017
  • 현대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기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여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에서 환경조형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것이 놓이는 장소 혹은 공간이 가지는 의미,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라는 영역에서 예술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리사이클, 업사이클, 뉴사이클'이라는 3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환경조형물이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마을흔적보전이라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담아냄으로서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광역시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자 의식분석 연구 (A Study on User's Awareness of Subway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Metropolitan Cities)

  • 최철형;박선우;김창현;조한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27-935
    • /
    • 2009
  •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지역별 이용 승객 인식도 분석 (Awareness of Passengers Using Subway Stations About Environmental Sculptures Installed in Subway Stations)

  • 최철형;조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46-456
    • /
    • 2010
  •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조형물을 이용한 안전유도 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afety induction Robot using air sculptures)

  • 강진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35-2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 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공기조형물의 관절 구동과 센서의 환경 인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객체기반의 공기조형물용 모션제어 시스템은 단일 제어기로의 역할보다 시스템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지므로 시스템 전체의 제어기로 확장시켜 사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구동과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객체기반 공기조형물을 연구하였다. 모터제어 방법에 있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방식을 통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분산제어방식으로 수행하였다. CAN방식은 모션제어 시스템에 도입하여 주 제어기가 하위 제어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명령을 내리며 하위제어기는 주어진 위치 및 속도명령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제어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CAN방식을 사용하여 각 제어기의 독립성과 처리속도를 증대시키고 공기조형물의 기능별 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제어기의 환경은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조화롭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의 역할이 중요시되어 이에 맞도록 설계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환경조형물로서 도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 이천·중국 경덕진 설치된 환경도자조형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Environment sculpture on Ceramics -Focus on the comparison of Environment sculpture in Icheon & Jingdezhen-)

  • 류림;유상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1-312
    • /
    • 2013
  • 산업혁명이 발달 이래 기계화, 산업화, 도시화가 계속됨에 따라 인간의 주거 환경은 획일화된 도시 공간, 환경파괴와 오염 등으로 쾌적함을 상실하게 되었다. 특히 근대에 이르러서는 합리성이나 효율성만을 앞세운 도시계획에 의해 인간은 도시환경에서는 물론 인간들 사이에서도 소외감을 느끼는 환경에 처하게 되었다. 자연친화적인 소재인 흙을 통한 자유로운 조형적 표현과 인간의 생화 속에서 기능적인 면에 도움을 준다는 도자 조형물은 도시환경개선과 도시문화 창출을 위해 그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 PDF

도시 환경조형물 심의현황에 관한 고찰 - 대도시 건축물 미술장식제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framework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in urban space)

  • 윤기환;김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315-324
    • /
    • 2005
  • 본 연구는 정책적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건축물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가 및 심의방법 개선방향을 고찰하고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환경조형물의 개념을 정립하고 환경조형물의 인지과정 및 도시환경과 불특정다수의 관람자를 포함한 사회적인 상황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조형물의 미술장식제도에 관한 고찰과 현행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주요도시는 서울시를 비롯한 중부권의 대전시, 영남권의 부산시, 호남권의 광주시의 주요 4대도시의 공공미술제도와 심의방식을 분석하였다. 환경조형물의 설치는 건축주와 작가만의 문제가 아닌 도시문화환경 창출이라는 인간 심성의 질적 가치를 제고하는 방안을 고찰하여 제안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미술장식제도가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도시문화환경개선의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운영상의 문제점과 원인을 개선하여 공공미술심의제도의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토대로 인간과 환경을 위한 심의방식 및 평가방법의 개념의 틀을 추출하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 - 강남 U-STREET 미디어폴을 대상으로 - (A Study of User Satisfaction with Ubiquitous Environmental Sculptures - Focusing on the Gangnam U-STREET Media Pole -)

  • 김동찬;조휘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53
    • /
    • 2010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참여형 환경조형물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이용자들이 사용하게 될 환경조형물에 대한 만족도의 체감을 높이기 위한 사용성과 서비스, 기능성, 조형성에 대한 유비쿼터스 도시 공간 속에서의 U-환경조형물의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강남대로 U-Street에 설치되어진 U-환경조형물인 미디어 폴을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시작단계의 환경조형물인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 중에서 서비스 만족도, 기능성 만족도, 조형성 만족도와 미디어 폴의 종합적인 만족도로 설정한 후 조사 분석하여 만족도 연구를 수립하였다.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에서 서비스 만족도는 대중교통 안내도, 기능성 만족도는 거리문화의 촉매제, 조형성 만족는 '형태성', 미디어 폴의 부문별 만족도와 종합 만족도 관계에서 기능성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디어 폴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도시공간에서 U-환경조형물의 만족도의 체감을 높이기 위한 미디어 폴의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사용, 편리한 기술개발, 미디어 폴의 기능성 만족도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강남의 랜드 마크가 되기 위해서는 시민들과 소통하기 위한 즐거움과 감동을 줄 수 있는 스토리가 담긴 인간 중심의 기능성 요소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현재 유비쿼터스의 초기단계는 가로 경관으로서 자연성이 결여, 환경조형물의 외피에 대한 개발, 인간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부재, 기술적 측면 부족, 수익성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투자에 비해 수익성 창출의 어려움, 사회소통 매개로서의 기능 등의 문제점을 보완해야 하며, 첨단 기술만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똑똑한 기술보다는 편안하고 친인간적 기술로서 공간개발과 U-환경조형물의 설치가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