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조사

Search Result 19,99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Gemorphological Landscape and the Quality of Life -Geomorphological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지형경관과 삶의 질 -환경문제에 대한 지형학의 역할과 전망-)

  • 홍성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351-364
    • /
    • 2000
  • 1980년 설치 이후 환경부는 환경정책과 환경관리에 대한 주요 업무 중의 하나로 자연환경의 보전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연환경보전법에 의거하여 환경부는 자연환경상태에 대한 전국 단위의 자연환경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이미 1986-1990년에 실시하였고, 현재 교수 및 연구진의 참여 하에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2002)ff 실시하고 있다. 제2차 조사에서는 지형경관에 대한 조사가 포함되어 모든 종류의 지질 및 지형환경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호수와 습지, 해안, 하천, 산지. 평야, 주빙하지형, 화산, 카르스트 및 구조지형 등이다. 조사지역은 육지 206개 소권역, 해안 145개 지점으로 나누고 6년에 걸쳐 매년 약 30개의 팀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조사결과는 “지형경관도”로 편집, 인쇄될 예정이며 현존식생도, 동식물분포도와 함께 생태자연도로 작성될 예정이다. 제2차 조사에서 얻어진 방대한 양의 환경정보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환경부는 한경관리를 위한 이용과 응용에 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 PDF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ing and geometric correction for precise river environment investigation (정밀 하천환경조사를 위한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보정)

  • Lee, Yun Ho;Yoon, Byeong Man;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9-159
    • /
    • 2020
  • 하천환경조사는 하천의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 하천환경 조사결과는 하천관련사업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하천환경조사의 기초조사에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하천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판단하고 하천 전구간의 물리적 구조와 식생의 분포, 중요 서식처 정보를 포함하는 RCS 지도(River Corridor Survey)를 작성한다. 기초조사를 위해서는 하천 전 구간에 대한 현장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그리고 인력이 필요하고, 육안 또는 사진을 통한 스케치로 이루어져 조사 결과가 정성적이고 작업자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천환경조사를 좀 더 간편하고 과학적이며 경제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최근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사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을 이용한 하천환경조사의 대부분은 RGB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밀한 하천환경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영역 뿐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하천환경의 특성을 세밀하게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하천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ne scan 방식의 초분광센서를 드론에 탑재하여 초분광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드론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하나의 사진과 같이 초분광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기하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기하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분광영상의 기하보정은 각각의 초분광영상의 GCP와 대응점을 이용한 2차원 변환 방법 및 비선형 변환 방법을 적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각 방법에 따른 정사보정 영상의 위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드론 기반의 초분광영상 촬영 및 기하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하천환경조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원격탐사에 초분광영상을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측정불확도를 응용한 오염토양부지 조사의 최적화 방안

  • 이종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42
    • /
    • 2003
  •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산 주변부나 유류누출로 인한 토양오염 등과 같은 오염부지에 대한 환경조사는 그 결과를 토대로 환경계획이나 정책이 수립되므로 의사결정의 기초가 된다. 이때, 의사결정의 타당성은 오염부지 조사결과 오염도가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되었느냐에 따라 달리 평가되어 진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환경조사는 측정결과의 불확실성이 감소되도록 정밀한 시료채취방법이나 분석방법을 고안하여 적용해야 한다. (중략)

  • PDF

사무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박수찬;김진호;이영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451-455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무환경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무환경 구성이나 사무환경 개선시 활용 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안하고, 사무실 환경관리규정 설계시 활용하는데 있다. 실태조사는 관공 서 및 정부투자기관 사무실, 일반기업체 사무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으로는 개인점유 면적, 가구 재질 등에 대한 일반적인 사무환경 조사와 소음환경, 온/습도환경, 조도환경 등과 같은 쾌적성의 요인이되는 환경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7월 20일 부터 9원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된 사무실은 총 39개 기관 45개사무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무환경을 보면 1인 1PC 사용률은 77.3%, 1인 사무실 면적은 약 7.6M$^{2}$,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이 67.6%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회의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은 사무실을 출입구, 중앙, 안쪽(또는 창가) 등 3개 위치를 선정하여 바닥으로 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조도의 경우 등과 등 사이의 평균 조도를 보면 출입구는 400.11x, 중앙은 481.91x, 안쪽은 629.61x로 나타났으며 등밑에서는 각각 435.81x,518.11x, 666.31x로 나타나 일반 사무실에서의 작업수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습도환경을 보면 측정지점별 각각 평균 27 .deg. C 54.5%, 26 .deg. 55.4%, 26.3 .deg. C 55.4%, 26.3 .deg. C 56.2%로 나타났으며, 소음환경은 측정위치별 각각 52.9db, 54.1db, 53.7db로 나타났다.

  • PDF

Radi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 Baek, Jeong-Seok;Jeong, Yeui-Young;Ahn, Sang-Bok;Kim, Wa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6 no.4
    • /
    • pp.387-398
    • /
    • 2008
  • To obtain base-line data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radi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 is required at least two years prior to the facility operation near the disposal facility. The investigation has been performed since January 2007 for the Wolsong LILW disposal center. In this paper, investigation procedure and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for six months in 2008 are described.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future investigation planning is also discussed for the radiological environment management of the disposal facility.

  • PDF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조사 지침 - 제정 방향과 내용 해설 -

  • 이우영
    • Nuclear industry
    • /
    • v.16 no.8 s.162
    • /
    • pp.34-37
    • /
    • 1996
  • 앞으로 원자력연구소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가 더욱 강화되고 그 결과도 공개된다. 통상산업부는 원전 주변 지역에 사는 주민과 환경 보호를 위해 $\ulcorner$환경조사 지침$\lrcorner$을 마련, 6월 25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 지침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원전으로부터 8km 이내의 바다와 반경 10km 이내의 육지를 대상으로 플랑크톤$\cdot$해조류$\cdot$수온$\cdot$중금속$\cdot$어획량$\cdot$동식물 변화 및 분포 등을 정기적으로 조사, 그 결과를 정부에 보고해야 한다. 또 앞으로는 이런 자료를 공개해야 하며, 지방 자치 단체도 원하면 한국전력공사가 실시하는 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

  • PDF

하천환경변화에 관한 연구대상지역 평가 및 선정

  • Lee, Seung-Yoon;Jang, Chang-Rae;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07-611
    • /
    • 2007
  • 최근 하천변화특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 없이 무분별한 하천준설로 인하여 급격한 하천지형 및 환경변화에 따른 하도의 평형, 홍수범람, 하천환경의 변화 등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준설에 따른 하천의 인위적인 손상과 이와 연관된 각종 유역 및 하천의 지배인자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학술적 고찰을 통하여 인위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국내 하천환경에 맞는 하천관리모델과 준설기법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ulcorner$하도준설에 따른 하천교란 실태 조사$\lrcorner$의 일환으로 기초조사 및 후보지 현장조사 등을 통한 연구대상구간 선정을 위한 계획으로서 기 수행된 골재자원 조사결과 및 하천조사 자료 등의 관련자료 활용을 통하여 최대한 효율적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최상의 연구결과 획득과 관련분야의 기술력확보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연구대상구간 선정기준(안)을 마련하고 후보지에 대한 기초조사 및 현장조사를 마친 후,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내용을 최대한 만족시키는 연구대상 구간을 8개 후보지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하천준설을 수행해 나가며 그 전 중 후의 과정을 모니터링 하여 하상변동 및 생태 환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하천환경 및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한 과업대상구간의 선정에는 하도준설이라는 연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특화된 선정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많은 후보지들 중 낙동강수계의 감천이 최적의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 PDF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발전방안 - 선진 외국의 사례검토를 중심으로-)

  • Rho, Paik-Ho;Choung, Heung-La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5 no.3
    • /
    • pp.25-56
    • /
    • 2006
  • We reviewed and compared nationwide surveys conducted in advanced countries (i.e., Japan, Germany, USA, and UK) with those in Korea, including the third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which began in 2006 and will proceed until 2010.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suggest alternatives to the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that are suited to Korea. Given the focus on species abundances and distributions in previous nationwide surveys in Korea, surveys of habitats, ecosystems, and ecoregions are required to more effectively protect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Furthermore, their spatial distributions should be mapped using periodical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particular, satellite images can be used to survey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Natural resour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specialists are needed to collect various data and improv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volunteers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n awareness in local resident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pendent survey institute (i.e., a 'National Ecosystem Institute')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a database and survey scheme for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throughout Korea. Moreover, the survey institute could develop natural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the data analysi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establishment of a survey institute will allow the completion of a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including physical habitat conditions. This will allow us to detect subtle changes in species abundance and spatial distributions and provide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on natural environments.

  • PDF

Database Construction &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River Corridor Survey Map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 및 관리 시스템 개발)

  • Yoon, Jae-Min;Kang, Kyung-Seok;Jee, Gye-Hwan;Oh, Kyu-Chang;Kim, Jung-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05-2009
    • /
    • 2008
  • 하천수변조사는 하천수변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 파악과 이들의 상호 연관성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정이다. 하천수변조사는 치수 및 이수기능뿐아니라 하천환경 기능을 보전, 재생 및 복원시키고자 하는 하천정비사업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정비기본계획, 하천환경정비사업 등에서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의 형태가 대부분 도면이나 이미지 형태로 관리되고 있어 향후에 수변의 변화 상태를 갱신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권역내의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수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의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천수변조사지도 DB 구축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단기적으로는 하천환경정비시 보전 및 복원 방향의 설정, 하천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공사 진행에 반영, 공사 과정 중에서 하천의 반응상태를 파악하여 사업진행이나 방식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 전후의 하천환경 및 생태변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친화적인 하천환경 관리를 위한 하천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ata Cleaning and Standardization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 정제와 표준화 방안 연구)

  • Kwon, Yong-Su;Song, Kyohong;Kim, Mokyoung;Kim, Kid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3 no.4
    • /
    • pp.380-389
    • /
    • 2020
  • Research on diagnosing and predicting the response of ecosystem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rtificial disturbance and climate change is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researches. This study aims to clean, standardize, and provide the result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which should be considered fundamentally in diagnosing and predicting ecosystem changes in the form of dataset. To refine and clean the dataset we developed a simple verification program based on the fifth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line and applied that program to the data from the second (1997~2005), third (2006~2013) and fourth (2014~2018)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quality control process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1)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2) similar data table integration, (3) unnecessary attribute and error elimination, (4) unification of different input items, (5) data arrangement in codes, and (6) code mapping for input items. These approaches and methods are the first attempt propose an option for ecological data standardization in Korea. The standardized datase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will be easily accessible, reusable for both researchers and public. In addition, we expect it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environmental policies concerning environmental assessments, habitat conservation, prediction of endangered species distribution and ecological risks due to climate change. The dataset through this study is open freely online via EcoBank (nie-ecobank.kr) which is the first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in Korea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