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정보

Search Result 39,682,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Framework for designing and Build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 ;;R.S.Ramskrishi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02-204
    • /
    • 2001
  • 인간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추론하여 이러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그러나 현재의 컴퓨터가 인간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환경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컴퓨터가 환경 정보를 수집, 추론, 활용하기 위해 환경문맥-인식 컴퓨팅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은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특별한 인지 작용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행동을 환경정보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인간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까지의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문제점은 환경정보를 사용하기 어렵고,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존의 많은 프레임워크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즉,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들이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하였지만, 이동환경 및 인터넷 컴퓨팅 환경에서 여러 종류의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프레임워크 개념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노문은, 이동환 경과 인터넷 컴퓨팅 환경에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Jini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이 OASIS(Office Application Service for Intelligent Systems)를 구현하고 있다. 이것은 이동환경에서 환경문맥-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효과적이고 적합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Authentication Sub-System for The Environmental Telemetry Monitoring System (환경감시 시스템의 정보 인증 서브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신동명;김영덕;최용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1-243
    • /
    • 2000
  • 환경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환경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오염물질 배출업체가 환경감시 시스템을 통하여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공시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나 지역주민들은, 환경부나 지방자치단체에 제공된 환경정보에 대한 신뢰감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정보의 신뢰성 제공을 위하여 암호학적 인증 메커니즘을 이용한 환경정보 인증 서브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제시한 환경정보 인증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간 인증, 환경정보에 대한 무결성 보장 및 접근통제, 감사기록의 기능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f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Method for Environment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n Incheon (인천지역의 환경지리정보의 세계측지계 변환방안 연구)

  • Choi, Byoung-Gil;Kim, Sung-Soo;Na,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46-35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준점체계의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인천 연안지역의 환경지리정보 변환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계측지계 변환 방안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환경지리정보의 세계측지계 변환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환경지리정보들을 다양한 구축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일괄적은 변환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지리정보들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세계측지계 변환 지침을 기준으로 원시자료부터 변환을 수행하여 환경지리정보를 다시 구축하는 방안과 기존에 구축된 환경지리정보를 변환하는 방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측지좌표계 도입에 따른 환경지리정보의 세계측지계 변환 방안을 제시하고, 환경지리정보에 대하여 국가기준계의 세계측지계 전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라 예상되는 초기 혼란을 최소화 하고 향후 구축될 환경지리정보들의 정확도 향상의 기반을 조성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Applications for Supportig the Environmental Inspection Practices (환경감시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정보시스템 분석과 정보 활용도 평가)

  • Son, Seung-Woo;Yoon, Jeong-Ho;Jeon, Hyung-Jin;Lee, Jong-Min;Moon, Ji-Won;Kim, Tae-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726-73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environmental information could be used for environmental inspection. In addi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then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pplicable to inspection was (developed) using the on-site inspection of pollutant emission facilities and interviews with inspection expert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Moreover, the availability of the inform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dual-purpos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e information was accumulated 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nd controlled according to its purpo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eded for inspection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formation on emissions, information on emission companies, information on inspection records, and geographic informa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ach system was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categories. For most of the systems, it was not possible to find the necessary inspection records. Based on the results, a method was proposed to connect and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prev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Us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

  • Lee, Moung-Jin;Kim, Kyeong-Hui;Park, Jin-Hy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4
    • /
    • pp.51-78
    • /
    • 2014
  •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due to by complex reasons. These complexit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cise spatial based analysis and expeditive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hen an environmental problem arises. However, the tra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y are mainly numerical based and scattered in various systems. To overcome these problems, providing integrat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important. Thu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Firstly, this study selects 275 out of 2,701 materials and inform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Secondly, total 64 thematic maps specific business support are Produced to support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addition, the produced thematic maps are privatized. Thirdly, the study analyzes total 17 system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of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connect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support thematic maps. As a result, 1,314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and 39,331 applicable databas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based are selected, and a standardization plan is established. Fourthly, the study suggests a stepwise implementation plan for developing a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will help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policy based on more relevant and accurale information.

  • PDF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 Coastal Area based on CDMA Network (CDMA망 기반 해안지역의 수중 환경정보 수집시스템)

  • Kim, Jae-Gyeong;An, Seong-Mo;Lee, Chang-Hee;Ock, Young-Seok;Chung, W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7-190
    • /
    • 2011
  • Until now, water pollu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has been used at to acquire and measure data for streams and rivers. Recently coastal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is becoming most important and urgent thing. The realtime automatic coastal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CDMA data transmission technique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Embedded field server is designed and developed to acquire and measure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pH, DO, water temperature using the water quality sensor. The obtained data is sent to the server via CDMA modem connected to the embedded field server and stored in database. Our purpose is to provide and monitor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CDMA communication in coastal areas.

  • PDF

Development of National Scale Environmental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Exposure Assessment (노출평가를 위한 전국규모의 환경지리지형정보 시스템 개발)

  • Kim, Jong-Ho;Kim, Mi-Sug;Kwak, Byeong-Kyu;Yoo, Hong-Suk;Shin, Chi-Bum;Yi, Jong-He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0
    • /
    • pp.1082-1089
    • /
    • 2006
  • This study describes a methodology to develop a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a national scale which is supports the environmental fate model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via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DB) and the DB usage software. For the sou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DB were constructed by extracting the geometrical figures-such as points, polylines, and/or polygons-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previously developed in Korea. Then it was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Basic Complier, the software can be a useful tool for visualizing the DB, for searching the environmental &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supporting the environmental fate modeling.

Constructing An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Using A WEB-based-GIS (Web-based-GIS를 이용한 환경정보시스템의 구축)

  • 노동학;조정관;김봉근;옥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55-157
    • /
    • 1998
  • 본 논문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지리정보시스템이 지리적 기반위에 환경정보를 검색하는 환경정보시스템이 적용되는 지를 보이고 있다. 본 환경정보시스템은 지리정보를 벡터데이터 형식으로 환경정보는 수계정보에 관해 구성하였고, DRECTED-GRAPH 방법으로 광범위한 위상관계 중 인접성을 부여하였다. 환경정보시스템의 표현기능은 오염 현황 상태도를 작성하고 특정지역의 오염정도를 표시할 수 있고, 분석기능은 오염 상태 그래프를 그릴 수 있고 추출된 오염원으로 오염배출소를 예측할 수 있다. WEB-GIS는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WEB기반의 GIS SYSTEM이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Geo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인터넷 기반 환경 지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황재홍;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1-437
    • /
    • 2003
  • 최근 국가산업 발달과 함께 자연 생EH계 파괴, 환경 오염 및 자연 훼손과 같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자연환경 보전과 관리에 대한 인식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다차원 지리정보를 이용한 자연 생태계 연구 및 환경오염원 관리와 같은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자연환경과 생태계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 GIS 기술을 이용한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활용을 연구하였고, 연구 대상지로는 지리산 일대로 정하였으며, 환경의 범위는 자연환경 및 생태계로 정하였다. 공간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해 적지분석, 사용자 질의 처리 및 지리정보 가시화 모듈. 등을 개발하여 자연 환경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능을 마련하였다. 각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정 요구목적에 따라 공간분석을 통한 자연환경 및 생태계 접근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도록 하였다. 또한 환경상태 및 여러 목적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생태계, 야생 생물의 서식지를 보호 및 환경 오염원 관리분야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된 웹 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은 국립공원, 야생동물 보호 단체 및 환경단체를 통해 환경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향후 생태계 보전 및 자연환경 보전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Home Doctor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활용한 환경홈닥터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Lee Choul-Joon;Lee Kwang-Won;Na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375-38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활용하여 환경홈닥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홈닥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환경홈닥터 관리시스템은 환경홈닥터 DB관리시스템, 사이버 환경컨설팅시스템, 환경홈닥터 WebGIS 시스템, 원격 현장조사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원격 환경홈닥터 DB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DB, 환경홈닥터 DB, 환경컨설팅 DB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원격 환경홈닥터 서비스시스템은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환경컨설팅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홈페이지 관련일반정보와 환경홈닥터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환경홈닥터 WebGIS 시스템은 지원업체에 대한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 도로 및 주요 건물들에 대하여 GIS DB화하고 ESRI사의 ArcIMS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하여 검색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사이버 환경컨설팅 시스템은 지원요청 업체와 환경홈닥터가 직접 만나지 않고도 환경컨설팅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경홈닥터 서비스 지원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환경홈닥터 제도 운영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진단이력 및 유사사례 검색 등의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환경컨설팅 업무 수행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WebGIS에 의해 환경홈닥터를 관리함으로써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쉽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