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Improvement for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의 지형공간정보 서비스의 활용성 개선)

  • Chang, Hoon;Jeon, Hyung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45-52
    • /
    • 2013
  • EIASS(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provided the various updated quality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data and the assessment reports through database system to support cost effective and stable services. Through this system users can access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and have great convenience in their relevant works. This study introduces geo-spatial information usages in EIASS and how this system developed the use of convenience and expansion of service ranges by user survey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step-wise delivery and links on one-stop database inventory for data collection, manipulation, and usages of geo-spatial information amo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 Study on Application of Open Platform of Spati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개선을 위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활용방안)

  • Song, Dae-Ho;Ryu, Ji-Won;Jung, 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05-119
    • /
    • 2015
  • A case study to test the open API service func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Open Platform(Vworl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carried out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EIAGIS) which is on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EIASS) used for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First, utilization of EIAGIS was low since DB renewal was limited and the quality of 2D based topographic information was low. A new service which could respond to practitioners' needs could be developed to use a open API service of Vworld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make up those disadvantages. EIASS with Vworld could provide a consulting service from the beginning stage of business plan and make improvements of confidence as well as fast agreements since both consultation agencies and assessment agencies are using a same program dur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with customized informatio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친환경 건설을 위한 GIS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시스템 개발)

  • Woo, Je-Yoon;Koo, Jee-Hee;Kim, Tae-Hoon;Hong, Chang-Hee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5 no.2 s.10
    • /
    • pp.33-53
    • /
    • 2003
  • This study presents the system to develop the web-based pro-environmental road planning and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for the land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display the analysis result 3 dimensionally based on digital map and it can be applied to document development towards efficient operations.

  • PD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gricultural Drought through Actual Damage in Cultivated Land: Focusing on Damage Impact Index (실제 농경지 피해 사례를 통한 농업가뭄 심층분석: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를 중심으로)

  • Hyochan Kim;Hoyoung Cha;Jongjin Baik;Jinwook, Lee;Yookyung Lee;Chang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5-3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뭄정보통계집 내 실제 농경지 피해 사례를 바탕으로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먼저, 전국 15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실제 발생한 가뭄피해 사례들을 심층 분석하고, 대상 지역 내 전체 농경지 면적 대비 농경지 피해 면적의 비율을 대표적인 농업가뭄 피해 인자로 선정하였다. 평년 대비 영농기 강수량 및 저수율을 가뭄영향인자로 고려한 후, 실제 가뭄 발생 당시 인자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그 영향 정도를 수치화하여 농경지 피해영향지수를 정의하였다. 추가로, 가뭄피해 발생시기의 농업용수 비상지원 사례에 주목하여 농업용수 비상지원 여부에 따른 가뭄인자의 조건별 농업가뭄 발생확률을 산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대상 지역별 상대위험도 및 농업가뭄 취약 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한 농경지 피해영향지수와 상대위험도는 국내 농업가뭄 취약지역을 선정하는 기준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지역별 농업용수 지원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요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Us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

  • Lee, Moung-Jin;Kim, Kyeong-Hui;Park, Jin-Hy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4
    • /
    • pp.51-78
    • /
    • 2014
  •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due to by complex reasons. These complexit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cise spatial based analysis and expeditive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hen an environmental problem arises. However, the tra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y are mainly numerical based and scattered in various systems. To overcome these problems, providing integrat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important. Thu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Firstly, this study selects 275 out of 2,701 materials and inform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Secondly, total 64 thematic maps specific business support are Produced to support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addition, the produced thematic maps are privatized. Thirdly, the study analyzes total 17 system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of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connect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support thematic maps. As a result, 1,314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and 39,331 applicable databas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based are selected, and a standardization plan is established. Fourthly, the study suggests a stepwise implementation plan for developing a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will help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policy based on more relevant and accurale information.

  • PDF

모 기업과 협력사간 구매 SCM 구축 및 변화관리 수행에 따른 도입 성과분석

  • Kim, Sang-Yun;Seo,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7-103
    • /
    • 2007
  • 오늘의 기업은 내부 조직, 업무 프로세스, 정보기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대외적인 기업 환경이 수시로 바뀌는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내부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전사적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을 효율화하기 위하여 ERP 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도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기업은 2004년 부터 협력사 경영관리력 향상 및 협력사와의 구매 SCM(Supply Chain Management) 연계를 통한 협업체계 구축을 목표로 협력사의 ERP 구축 및 5대 구축 자금 및 전문 인력을 지원하였다. 또한 시스템구축 지원 뿐만이 아니라 시스템 활용도 제고 활동을 위하여 ERP구축 및 SCM 연계가 완료된 업체를 대상으로 변화관리 컨설팅을 지원하였으며, 매년 정기적인 정보화평가를 수행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관리 컨설팅을 통한 시스템 활용도 제고활동이 정보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 및 성과가 지대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본 논문에서는 ERP 및 구매 SCM 시스템 구축 후 운영 안정화 및 변화관리 활동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여 변화관리 수행방안 및 수행내용, 변화관리 활동을 통한 성과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IS Application Technology for Environment - friendly Construction (친환경 건설을 위한 GIS 활용기술 개발)

  • 우제윤;구지희;김태훈;홍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117-123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많은 SOC 건설공사가 이루어졌으나 환경성의 고려와 보존에는 미흡하였다. 그러나 경제가 발전되고 국민의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졌으며, 친환경적인 건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친환경 건설을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타 분야에 비해 정보화 및 전산화, 특히 GIS의 활용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건설계획 및 설계분야에 최신 GIS 기술을 접목ㆍ활용함으로써 환경성이 고려된 국토개발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로건설분야를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대안노선들의 환경성을 비교ㆍ검토하여 최적의 노선선정을 지원하고, 선정된 노선에 대하여 영향평가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환경성 검토ㆍ평가방법이 종이도면과 서술적인 기술에 의지했던 반면, 본 시스템은 수치지도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GIS 공간분석결과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객관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시각적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 Lee, Gwang-Pyo;Lee, Yun;Kim, 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Policy Applications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변화 적응 정보 통합지원 체계구축 및 정책적 활용방안)

  • Kim, Geunhan;Lee, Moung-Jin;Jeon, Seong-Woo;Park, Songmi;Lee, Eun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2 no.3
    • /
    • pp.3-20
    • /
    • 2013
  • Recently, impacts and damages of extreme climate change have already affected on worldwide. Thus adaptation and action plan are essential concepts in minimi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order to introduce climate change adaptation decision-making measure, the need for high-quality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ithin adaptation policy has increased enormously. However, most of adaptation information is based on different sources and various backgrounds. Currently, domestic climate change information is disseminated from about 132 internet sites and most of them are limited to general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rather than information that ar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lso,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updating new resources. Reliable climate chang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different agencies, which makes users difficult to locate right information they need. As a progres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oblems, we carried out a feasibility research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the objectives, our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defini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Second, we suggested integ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for adaptation and phased implementation plan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climate change. Finally, we verifie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support system based on policy applications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is system will provide an integrated climate change information and be a very useful tool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 PDF

Route Retrieval Support System by Using of Pedestrians' Preference Data (보행자의 감성을 고려한 경로탐색 지원시스템 제안)

  • Kim, Don-Ha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2 s.64
    • /
    • pp.81-90
    • /
    • 2006
  • Pedestrians perceive differently from the sideway views or the exteriors of the buildings on the way to their destinations. Therefore, the navigation experience can become much different when the path was chosen based on the individual's preference from it is not. By focusing on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pedestrian' path choice on their navigation,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designed for pedestrians to be able to explore their preferred path and proposes a prototype of navigation system based on the algorithm. The navigation support system searches for the best path upon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The system provides the process of retrieving the final path via the pedestrian-support system interaction. The path retrieval is peformed with the combinational matrix of keywords that are formulates Fuzzy theory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erms describing preferences used in the path preference survey. This paper presents the potentials of the path finding method tailored to pedestrians' preferences by a simulation of the proposed path retrieval al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