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등급제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Health Risk Agents in the Workplace of a General Hospital (한 종합병원 작업환경의 건강저해인자에 관한 조사 연구)

  • Kim, Yang-Ok;Kim, Ki-Soon;Park, Jong;Ryu, So-Yeon;Yang, Hee-Ye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9 no.1 s.52
    • /
    • pp.1-14
    • /
    • 1996
  • To evaluate the health risk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of a general hospital toward the hospital worker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isk at the workplac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measurements at 27 locations with 240 workers in the hospital were made from October 25th, 1993 to October 30th,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86 workers(36%) were found to b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general illumination, 193 workers(80%)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ocal illumination, 34 workers(14%)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degree of thermal condition and 180 workers(75%)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noise level, but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dust and toluene concentration. Also nobody was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radiation or anticancer/antibiotic agents. 2. The subjective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elt by the workers were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findings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The workers underscored the poor illumination state and overscored the dust concentrations. Also workers oversensitized about the thermal condition, the noise level, the radiation level, the toluene concentration and anticancer/antibiotic agents 3. The sources of noise were the dialogue(179 workers) and the office instruments(131 workers). The sources of dust came from the clothes(108 workers) and the building materials(79 workers). 4.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28 workers were exposed to poor or harmful level of the antibiotics, 10 workers to alkali or acid and 6 workers to drug dust in the pharmacy but the above findings could not be proved by the environmental measurements.

  • PDF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Determining System for the Category of Ne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Decision Tree Model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결정모형 개발)

  • Han, Eun-Jeong;Kwak, Min-Jeong;Kan, Im-Oa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1
    • /
    • pp.145-159
    • /
    • 2011
  •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tarted in July, 2008. We try to make up for weak points and develop a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pgrade the rating model of the category of need for long-term care continually. We improve the rating model using the data after enforcement of the system to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long-term care marketplace. A decision tree model was adpoted to upgrade the rating model that makes it easy to compare with the current system. This model is based on the first assumption that, a person with worse functional conditions needs more long-term care services than others. Second, the volume of long-term care services are de ned as a service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changing circumstances. Rating models have to be continually improved to reflect changing circumstances, like the infrastructure of the system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rance beneficiar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Meteorological Effects (기상학적 영향을 고려한 낙동강 하류 녹조 발생특성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Kim, Sung Eun;Ki, Se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10-110
    • /
    • 2020
  • 최근 낙동강유역에서는 여름철 폭염 및 가뭄의 영향으로 조류대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급격한 수질환경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대상유역인 낙동강에서도 가뭄으로 인해 녹조가 발생하여 조류경보가 발령되었다. 남조류의 대발생은 대량 번성 및 사멸에 따라 수체 내 산소 고갈 및 유기물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남조류가 분비하는 독성물질 또한 수생태계와 인체에 유해하다. 그리고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밝혀졌지만 수돗물 등에서 흙냄새와 같은 좋지 않은 냄새를 유발하는 냄새물인 지오스민, 2-MIB을 분비하여 정수공급체계의 악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대상 지점인 낙동강은 다기능 보 건설로 인해 하천 수심이 증가하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정체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호소성 수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과 동시에 녹조발생과 같은 수질환경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시각화 분석을 통해 낙동강 하류 남조류 발생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지점별 남조류 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조류경보제 발생 등급은 발령기준으로 관심, 위험, 대발생으로 구분된다. 학습데이터로 관심단계 기준인 남조류세포수 1,000 cell/mL 보다 작게 측정된 데이터들은 관심미만의 데이터로 Normal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발생등급을 범주형 변수로 설정하여 학습 데이터를 통해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형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류발생 주요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변수별 중요도를 평가를 통해 지점별 녹조 발생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자연환경 평가 - I.식물군의 선정 -)

  • 김철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8 no.1
    • /
    • pp.163-198
    • /
    • 2000
  • This study aim was to propose plant taxa as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purpose of solving many kinds of difficulties occurred in the floral item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used to date. Plant taxa presented here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can probabl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excellence of natural environment to specific regional space as well as in determining the order of priority as to species preservation. These taxa, selected by the floristic analysis with distributional range, can be classified into five degrees: the fifth degree, characterized by the discontinuous and/or isolated distribution, includes 83 taxa, 76 genera, 41 families; the fourth degree, occurred in only one subprovince as southern and northern plants, includes 314 taxa, 217 genera, 78 families; the third degree, two subprovinces as southern and northern plants, includes 307 taxa, 223 genera, 93 families; the second degree, generally distributed more than 1,000 meter in altitude, a whole subprovince, includes 109 taxa, 92 genera, 43 families; the first degree, at least three subprovinces, includes 258 taxa, 207 genera, 91 families. The taxa mentioned here environmental assessment, therefore, summed up to 1,071 taxa, 559 genera, 142 families from the Korean flora. It is suggested that the taxa belonging to the fifth degree might structually have by far extinctive possibility in respond to environmental damage comparing with other degrees, simply because these have narrow distributional ranges. [Floristics, Korean flora, Geographical distribution,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assessment, Plant taxa].

  • PDF

The counter-ion effect in surfactant-based remediation

  • 이달희;손양래;서창일;전권호;유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89-91
    • /
    • 2002
  • 본 연구는 소수성 유기물로 오염된 지하수를 복원할경우, 식품등급의계면활성제와 NaOH 또는 NaCl 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주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게면활성제와 NaOH의 혼합 사용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Na^{+}$의 counter-ion 효과보다는 OH-의 pH효과가 더욱 중요한 인자가 됨이 밝혀졌다.

  • PDF

Resource Recycling of Packaging Materials (포장재 자원순환과 재활용)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80
    • /
    • pp.44-57
    • /
    • 2016
  • (사)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은 자원의 재활용 촉진 및 환경친화적이며 효율적인 재활용 촉진을 위하여 그와 관련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수행 또는 지원을 바탕으로, 재활용 산업을 육성 발전시킴으로써 환경보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제품 포장재의 제조 수입 판매업자의 재활용 의무를 대행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이다. 조합 연구소는 지난 4월 2015 포장재 자원순환 연차보고서를 발표했다. 본 고에서는 EPR대상 포장재 재활용 의무량 및 실력과 함께 연도별 포장재 재질 구조 등급별 시장조사, 재활용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marine environment of Busan Port (부산항 해양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Ha, Shin-Young;Kim, In-Soo;Kim, Dong-Geun;Lee, Eo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0-141
    • /
    • 2011
  • 부산항은 대한민국의 제1의 항만인 동시에 세계 5위의 대형 항만이기에 향후 세계적인 항만분야 녹색성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녹색항만 조성을 위한 저탄소 에너지 고효율 항만, 친환경 및 자원 순환형 항만, 녹색으로 지속발전가능 항만 등 전방위적인 녹색항만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의 부산항은 수질환경의 오염도가 평균 2등급이나 하절기의 경우 육상기인오염원이 강우로 인하여 항만으로 대량 유입되어 3등급 이상의 오염된 수질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의 해양환경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각 항만(북항, 감천항, 신항)별 특성을 살려 향후 부산항 GreenPort구축을 위한 해양환경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제도 & 시행 (3) - 친환경 인증 "모든 신축건축물로 확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9
    • /
    • pp.28-30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와 환경부(장관 이만의)는 6개 용도의 신축건축물에만 가능했던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가능토록 하는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지난 5월17일 개정 공포('10.7.1 시행)했다. 이번 개정안은 저탄소 녹색건축물의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대한 친환경인증[공공건축물(1만$m^2$ 이상)은 의무화, 민간건축물은 자발적 참여로 운영] 평가기준 마련과 인증기관의 전문성 강화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취 등록세 감면 등 인센티브 제도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인증시기 및 절차를 개선하고, 인증등급을 세분화(2 $\rightarrow$ 4등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는 이번 조치로 민간분야의 경우 본인들이 인센티브를 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민간분야의 친환경설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7월 1일까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국토해양부, 환경부 공동 고시)을 개정할 계획이다. 한편, 내년부터는 기존 건축물도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대상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