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동태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1초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와편모조 Peridinium bipes의 시공간적 분포

  • 최지영;김보라;고춘주;김백호;한명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163-164
    • /
    • 2004
  • 최근 담수적조가 발생하고 있는 주암호의 와편모조 Peridinium를 중심으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매월 1회씩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변동을 조사하였다.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호소 유입부인 정점 3에서 높은 현존량과 종수를 보인 반면, 댐 인접부근인 정점 1에서는 낮은 현존량을 보였다. 또한 와편모조 Peridinium bipes의 대발생은 주로 강우가 적고 저수량이 적은 건기에 일어났으며, 대발생 시기와 규모는 정점 3, 정점 2, 정점 1순으로 나타났다.

  • PDF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홍수피해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Analysing the Economic Effects of Flood Damage by Dynamic CGE Model)

  • 정기호;황성윤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4호
    • /
    • pp.689-718
    • /
    • 2014
  • 본 연구는 홍수피해가 관련 산업부문의 자본을 감소시킬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완전예측형 동태CGE모형을 이용하여 2010년을 기준연도로 분석하였다. 여러 홍수피해 항목들 중에서 통계자료가 확보될 수 있는 농경지, 선박, 공공시설의 물적 피해 항목에 분석을 한정하였다. 홍수피해의 시나리오는 1991년~2010년 기간 홍수피해를 2010년 기준으로 불 변화하여 항목별 홍수피해의 평균과 최대로 각각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별 생산의 경우에는 자본스톡이 직접적으로 감소하는 수산업+운송업의 생산 감소율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농임 업의 생산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GDP는 충격 기준연도에 벤치마크 해 대비로는 0.001%~0.057% 그리고 초기 자본감소 대비로는 약 1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태적으로는 GDP는 말기로 가정된 2030년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서 홍수피해가 자본을 감소시킬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선버들 (Salix nipponica)과 버들나무 (S. koreensis)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alix nipponica and S. koreensis during the Riverbed Sedimentation in the Wetland of the Nam-River)

  • 이팔홍;손성곤;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5-107
    • /
    • 2000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 습지에서 하상의 퇴적에 따른 습지 식생의 군집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와 저토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각 개체군은 하상의 퇴적으로 육상화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었다. 즉 습지 에 선버들이 정착하는 제 1 단계, 약간 육상화가 진행된 곳에 버드나무가 착하여 선버들과 버드나무가 공존하는 제 2단계, 퇴적이 진행되어 퇴적지의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선버들이 서서히 고사하고 버드나무가 우점하기 시작하는 제 3단계, 지하수위가 제 3단계의 두 배로 되고 선버들은 거의 사라지며 버드나무가 극상림을 이루는 제 4단계 등이다. 제 1 단계에서 제 4단계로 진행됨에 따라 선버들은 수고, 수령, 밀도 등이 감소하였으나 버드나무는 증가하였고, 각 단계별 하층식생의 종조성은 차이가 없었다. 주성분분석 (PCA) 결과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저토 환경요인은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이었다. 하상의 퇴적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수위와 점토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기타 환경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 PDF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Endangered Plant, Paeonia obovata Maxim.)

  • 김영철;채현희;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8-675
    • /
    • 2016
  • 분포지의 환경특성, 개체군구조, 생태적지위, 생활사 특성 그리고 개체군 통계적 연구는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다. 우리는 12년간의 분포조사를 통해 총 37개의 분포지를 확인하였고 그중 12개 지역에 있는 25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생육지의 환경과 개체군 구조를 조사하였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8개 집단을 대상으로 4년간에 걸친 개체군동태를 조사하였다. 4년간의 재배실험과 화분매개곤충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조사결과 산작약은 비교적 넓은 식생환경에 걸쳐 분포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25개 집단의 개체군 구조는 비교적 안정적인 집단과 극단적으로 성체만이 존재하는 집단 등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상층식생에 생성된 숲 틈이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추정되었다. 재배실험에서 유묘는 토양의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에서 잘 성장하였다. 화분매개곤충의 방문이 결실한 종자의 수와 결실률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산작약의 분포는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분포에 관여하는 다른 요인의 연구가 필요하며 그 중에서 종자의 운반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산작약 개체군은 과거 급격한 분포지의 감소 이후 확대되는 과정으로 평가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산작약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시공간적 확장을 통한 종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를 제안하였다.

일본송사리에서 TCDD 및 PCB 126의 흡수 및 배설 (Uptake and Elimin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3,3 ,4,4 ,5-pentachlorobiphenyl(PCB126) in Japanese Medaka(Oryzias latipes))

  • 김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9
    • /
    • 2002
  • 초기생애단계의 일본송사리를 실험어류로 사용하여 TCDD와 PCB 126의 생물농축정도를 비교 측정하였고, TCDD와 PCB 126의 체외 배설에 대한 동태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물농축실험은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여러 농도로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생물농축계수(BCF)와 지방-표준화한 생물농축계수(BCF$_{L}$)를 측정하였다. TCDD와 PCB 126의 일본송사리 초기생애단계의 새끼치어 및 어린 물고기에서 측정된 96-h BCF값 및 96-h BCF$_{L}$값은 폭로된 농도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타나 반면, 생체크기가 클수록 그 값은 작게 나타났다. 일본송사리 새끼치어, 어린 물고기, 성어의 생체 내 총 지방함량은 각각 5.7, 4.2, 4.6%로 측정되었다. 체외배설 동태실험은 어린 물고기에 TCDD와 PCB 126을 3가지 농도롤 물에 용해시켜 96시간 동안 정체된 상태로 폭로시킨 후, flow-through장치로 공급되는 맑은 물로 옮겨 42일간 사양하면서 0, 7, 14, 21, 28, 42일에 생체 내 TCDD와 PCB 126 잔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배설은 1차 반응속도론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구획모형보다 두 구획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구획모형을 사용한 분석에서 TCDD와 PCB 126의 체외배설 반감기(t$\frac{1}{2}$) 및 배설속도상수($\beta$)는 각각 27.2일과 32.3일 및 0.025/d와 0.021/d로 측정되었다.

농약 Chlorothalonil 과 Command 의 수용성 및 증기압 (Water Solubilities and Vapor Pressures of Chlorothalonil and Command)

  • 김균;김영배;김용화;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4-93
    • /
    • 1987
  • Chlorothalonil 과 Command 의 수용성과 증기압을 미국 EPA 와 OECD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두 화합물의 수용성은 문헌치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chlorothalonil의 증기압은 handbook 에 나타난 수치보다 5,000배 낮았고($25^{\circ}C$에서 $2{\times}10torr$)의 Command 증기압은 100배 이상 낮음($45^{\circ}C$에서 $1{\times}10\;torr$ 이하)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handbook 류의 문헌의 물리화학적 특성치를 이용하여 환경동태를 예측하는 데는 주의를 요한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실험상의 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미국내에서 Command 가 주위작물에 준 표백현상은 증기확산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살포시 유실에 의한 현상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새로운 화학물질의 개발단계에서 환경동태의 예측, 기존 화학물질의 오염가능성 예측, 오염저감 대책의 제시에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생태계 먹이망 모델 고찰 (Food Web Models in Aquatic Ecosystems: Review)

  • 박영석;구경아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259-273
    • /
    • 2022
  • 먹이망은 군집의 종구성과 종간 관계를 나타내줄 뿐만 아니라 먹이망을 구성하는 요소를 정량화하여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먹이망에 관한 연구는 군집의 영양 패턴, 피식자와 포식자 사이의 개체군 동태, 생태계 안정성, 생태계 내 물질/에너지 흐름 등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먹이망 모델은 생태계 군집의 종간 관계 복잡성을 이상적으로 표현해 주며 자연 생태계에서 관찰된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므로, 먹이망 모델은 대상 군집의 특성과 동태를 연구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주요 먹이망 모델을 정적 모델과 동적 모델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주요 모델의 특성과 적용 사례를 고찰하였다. 정적 모델로 Ecopath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동적 모델인 Ecosim과 연계되어 Ecopath with Ecosim으로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적 모델로 독성물질 특성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AQUATOX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효율적인 먹이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상 생태계의 생물 요소들 사이의 섭식선호성 관계가 충분히 파악되어야 하고 또한 주요 환경인자들이 이들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변수만을 고려하는 관리가 아닌 환경과 생물 특성과 관계, 그리고 먹이망을 같이 고려하는 생태계 수준의 연구가 요구된다.

FISH를 이용한 생물활성탄 공정의 미생물 군집 동태 변화 및 수처리능 평가

  • 손형식;차미선;조순자;김현실;류병순;지용대;박재림;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63-264
    • /
    • 2003
  • 활성 탄의 상층부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세균이 존재하였으며, 중층, 하층 순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수온이 낮을 때 $\beta$가 우점 하였고, 수온이 올라가는 때는 $\alpha$, ${\gamma}$의 수치가 높아졌으며, C-F는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하였다. HGC는 수온에 따라 약간의 증가가 있었다.

  • PDF

대암산 용늪의 매토종자

  • 조선희;김태규;연명훈;이재호;신영규;서민환;김기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27-428
    • /
    • 2006
  • 대표적인 고산 습원인 대암산 용늪에서 계절별로 식생과 매토종자 식생을 비교하였다. 매토종자 분석에서 삿갓사초와 가는오이풀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매토종자 분석을 통하여 용늪에서 식생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양내의 종자 동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미기상학적 기법을 이용한 난지도 매립지에서 VOCs의 Air/Soil 교환량 측정 (Micrometeorological measurements of VOC fluxes from Nan-Ji-Do landfill area during Spring 2000)

  • 김민영;김기현;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77
    • /
    • 2000
  • 최근 들어 대도시와 그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광화학적 오염에 VOCs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VOCs가 이와 같은 국지적인 광화학적 오염에 지대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지역 규모에서도 대기 중의 화학적인 조성과 산화력을 결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발생, 화학적 변환, 소멸에 따른 기작과 동태를 규명하는 것이 대기 화학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