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독성법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황복을 이용한 연안 지역 생물독성평가 기술 개발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진형;한경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6-157
    • /
    • 2003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해양과 하천, 호소 둥을 포함한 수생환경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COD 등 20여 가지의 일반수질항목을 조사하는 이화학적 분석 기술만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결과는 중금속이나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유해물질의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생물을 이용하여 환경내 유해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널리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여러 종류의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오염평가에 이용하고자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다양한 국내산 생물을 이용하여 수생환경내 유해물질의 생물독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 어류인 황복의 독성평가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양한 유해 물질에 농도별로 실험 생물을 노출하는 일련의 급성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cute Toxicities of Emulsifiable Concentrates and Granules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and Alpinia galangal Swartz Essential Oils against Cyprinus carpio (길초근(Valeriana fauriei Briquet) 및 양강근(Alpinia galangal Swartz) 정유의 유제 및 입제제형의 잉어(Cyprinus carpio)에 대한 급성독성)

  • Jeon, Hwang-Ju;Kim, Kyeongnam;Kim, Yong-Chan;Lee, Sun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4
    • /
    • pp.659-664
    • /
    • 2018
  • In this study, two essential oils (EOs) extracted from Aleriana fauriei and Alpinia galangal were formulated as an emulsifiable concentrate (EC) and a granule. In the evaluation of their acute toxicity on fishes, Cyprinus carpio adults were used and the toxicities were determined in a static condition. The formulations were prepared from the essential oil extract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namely steam distillation (SD), solvent extraction (SE)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he acute toxicities were calculated using $LC_{50}$ values. Among EOs, only the EO extracted by solvent showed acute toxicities on carps. Some of the EC, EOs of Aleriana fauriei did not exhibit toxicity, while EOs from Alpinia galangal showed potent acute toxicities on carps. Among the granules, granules formulated with Aleriana fauriei EO extracted by SD method and Alpinia galangal EO extracted by SFE method showed acute toxicities on fishes. Nevertheless, $LC_{50}$ of ECs and granules formulated with all types of EOs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the fish toxicity level III for pesticides suggested by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urthermore, cytochrome P450 1A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were confirmed as biomarkers in carps in response to the exposure to Alpinia galangal EO extracted by SD and SFE method, tracking Alpinia galangal EO in the aquatic environment.

Body Residue-based Approach as an Alternative of the External Concentration-based Approach for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외부환경농도에 기반한 생태위해성 평가방법의 대안으로서 생체잔류량 접근법)

  • Lee Jong-Hye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1 no.2 s.53
    • /
    • pp.185-195
    • /
    • 2006
  • 환경오염물질로부터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표준적인 평가 및 관리 수단인 수질환경기준은 오염물질의 독성작용이 일어나는 표적기관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대한 대체측정치로서 환경 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이용해 왔다. 이러한 '외부환경농도에 기반한 접근방법'은 표적기관에서의 독성물질의 농도가 생물체내 농도에 비례하고, 결국 외부환경농도에도 비례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이용도나 생물축적 양상의 차이 때문에 고유 독성치를 비교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생물체내 농도에 기반한 접근방법(이하 생체잔류량 접근법)'은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이용도나 종 특이적 생물축적 양상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환경오염물질 고유의 독성을 비교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생체잔류량 접근법을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노출조건에서의 독성영향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생체잔류량 접근법'은 독성기작별 임계잔류량(Critical Body Residue)을 결정함으로써 생물모니터링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생태위해성평가를 위해서 필요한 '무영향예측농도(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체 내 잔류량에 기반해서 농도-시간-반응관계를 기술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독성역학 및 독성동태학 모델을 제시하고, 생체내 '무영향농도(No Effect Concentration, NEC)'를 추정하게 해 준다. 특히 생체내 NEC는 '무영향관찰농도(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와 '영향농도(Effect Concentration, EC)'처럼 분산분석이나 회귀분석모델과 같은 통계적 모델에 기반해서, 농도-반응관계만을 기술할 뿐인 기존 독성모델을 대체할 대안으로 최근에 OECD와 ISO에 의해서 추천되었다.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지기능 장애정도 및 MMSEK 점수 증가에 따른 사망위험도는 어느 모형에서도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6, 표 7). 이상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지만,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고찰하지 못하였다.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01) 5. Excelco로 부식처리된 도재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보다 부식정도가 더 현저하였다.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0.78 mole이다.한 경우도 비교적 많이 먹고 있었다(24.3%). 남 여

Evaluation and Comparison with Standard 48 hr Acute Bioassay and High Temperature Rapid Toxicity Test for Sewage Toxicity Test (하수의 독성평가를 위한 표준독성시험법과 온도증가 단기독성평가법의 비교 평가)

  • Lee, Sang-Ill;Jun, Byong-Hee;Weon, Seung-Yeon;Kim, Yi-Jung;Kim, Keum-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2
    • /
    • pp.191-197
    • /
    • 2005
  • A new method, ToxTemp (TOXcity test based on TEMPerature control) using Ceridaphnia dubia was applied to evaluate the toxicity of insecticide materials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48 hr acute bioassay. BPMC, diazinon and fenitrothion may cause the inhibition to the biological process in sewage treatment plant and need to detect toxicity within short contact time. The ToxTemp method showed sensitive detection with more shorter contact of 1-1.5 hr time than that of the standard 48 hr acute bioassay. To evaluate toxicity of real wastewater/sewage, the inhibition rate of nitrification and oxygen uptake rate (OUR) using activated sludge, the standard 48hr acute bioassay and ToxTemp method using C. dubia were compared,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inhibition rate of nitrification, the OUR test showed the less sensitive results at the relatively strong toxic sewage. On the other hands, the standard 48hr acute bioassay and ToxTemp method using C. dubia represented the toxicity of each wastewater/sewage with high sensitivity. Even the slightly low (about 1.5%) sensitivity, the ToxTemp method showed the high applicability to the real site of sewage treatment plant.

전남지역 생활하수처리장과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 XTT, SRB in vitro bio-assay를 이용한 -

  • Lee, Moon-Hee;Han, Sa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85-188
    • /
    • 2005
  • XTT assay와 SRB assay를 이용하여 Hep3B와 L929 세포에서 생활하수처리장과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의 세포독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XTT, SRB 실험법에 적용하여 대표적인 발암성 물질인 Benzo(a)Pyrene의 세포독성을 평가 할 수 있었다. Benzo(a)Pyrene 30uM농도는 Hep 3B와 L929 세포에서 약 50%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2) 단백질합성과 세포호흡의 활성도로 세포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법인 XTT와 SRB 실험법에 적용하여 방류수를 추출 농축한 실제 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3) 생활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에 비해 다종 고농도의 화학물질로 오염되어있는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에서의 독성발현이 더 높았다. 4) 생활하수처리장 방류수와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 중 오염도가 가장 심각한 4지점의 화학물질 분석 결과와 in vitro bio-assay에 의한 세포독성 결과가 일치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ute Bioassay Method on Solid Samples using Bioluminescence Producing Bacteria (박테리아 발광 특성을 이용한 고형시료 급성 독성법 연구 및 적용)

  • Ko, Kyung-Seok;Kong, In-Chul;Jung, Hong-Gyung;Ro, Yul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6
    • /
    • pp.46-52
    • /
    • 2007
  • A toxicity method using bioluminescence producing bacteria, Escherichia coli DH5 RB1436, was developed and applied on solid environmental samples. In the assay, 1 g soil sample was mixed with 4 ml RB1436 strain. Sets amended with p-buffer were employed for control in soil test, showing approximately 108% of sets amended with combusted soils. Measur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relatively more polluted groups (HP) and less polluted groups (LP) of soil samples, showing average toxicity 43 and 26%, respectively, in direct soil toxicity test. $EC_{50}$'s for all soil groups appeared in the range of $1.8{\sim}4.6\;g$, but those of sediments from dam reservoir and refuses were below 0.22 g. This developed bioassay should prove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toxicity in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solid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