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정 지연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Ultra-High-Precision Network Technology Trend for Ultra-Immersive/High-Precision Service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

  • Choi, Y.I.;Kim, E.H.;Kang, T.K.;Kim, D.Y.;Kim, J.Y.;Cheung, T.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6 no.4
    • /
    • pp.34-47
    • /
    • 2021
  • To realize remote surgery from hundreds of kilometers away, a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ultra-low latency and high-precision features is required. Thus, ultra-high precision networking technology that guarantees the maximum latency and jitter of end-to-end traffic on an Internet-scale wide area network is in development as part of 6G network research.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networking technologies in ITU-T, ETSI, IEEE, and IETF to ensure ultra-low latency and high precision in wired networks.

Software requirements based on priority for MMIS dynamic simulation (MMIS 동적 모의를 위한 우선순위 기반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 박근옥;이종복;구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79-381
    • /
    • 2002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의 잦은 변경 또는 요구사항 확정의 지연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저하, 납기지연, 개발요구자와 개발담당자 간의 의견충돌을 야기한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환경과 같은 mission-critical 영역의 경우에는 발전소 건설자체를 지연시킬 수 있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감시와 제어를 담당하는 MMIS(Man Machine Interface System) 환경을 동적으로 모의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요구사항 변경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의도로 시도하였던 요구사항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경험과 교훈을 살펴본다. 또한, 요구사항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 활동을 토의한다

  • PDF

Packet delay control based on class-level prioritized service provision (클래스별 서비스 차등제공을 통한 패킷 지연 제어)

  • 정대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6A
    • /
    • pp.1008-101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트래픽으로부터 요구된 지연한계를 보장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서, \"클래스별 서비스 차등제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공평 큐잉과 우선순위 제어 개념의 절충형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다수의 트래픽 클래스 환경에서, 각 클래스별 서비스 커브를 정의하며, 클래스별 지연 한계를 충족시키기 위한 각 서비스 커브의 형태, 그리고 서비스 커브간의 관계에 근거하여, 클래스별 차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동일한 클래스 내의 세션간에는 공평 큐잉을 제공함으로써, 세션별 최소한의 대역폭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지연 제어를 위해 새로 정의된 변수는, 시스템 상태에 따라 그 값이 조정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가상적 fluid-flow 모델에서 디자인되었으며, 이를 실질적인 패킷 모드에서 구현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제안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수반되는, 결정적 형태의 지연 보장을 위한 호 수락 제어조건을 유도함으로써, 수용된 세션들의 지연 성능이 확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search Trend in Ultra-Low Latency Networking fo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초저지연 네트워킹 기술 동향)

  • Kang, T.K.;Kang, Y.H.;Ryoo, Y.C.;Cheung, T.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4 no.6
    • /
    • pp.108-122
    • /
    • 2019
  • Ultra-low latency networking is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end-to-end latency related to transport time-sensitive or mission-critical traffic in a network. As the prolif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5G mobile communications continues, ultra-low latency networking is emerging as an essential technology for supporting various network applications (such as industrial control, tele-surgery, and unmanned vehicles). In this report, we introduce the ultra-low-latency networking technologies that are in progress, categorized by application area, and examine their up-to-date standard status.

Ultra-Low Latency Infra Technology (초저지연 인프라 기술)

  • Ryoo, Y.C.;Song, J.T.;Ryoo, J.D.;Cheung, T.S.;Ko, J.S.;Youn, J.W.;Kim, S.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1
    • /
    • pp.13-24
    • /
    • 2017
  • 초저지연 인프라 기술은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대역폭 증대에 힘써온 범용 통신망의 한계를 초월하여 실시간 시민감형 통신 및 산업 공정 제어 계측 정보 교환을 위하여 지연을 극소화 하고 확정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초저지연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인 시간 제어 네트워크 기술과 전광 네트워킹 기술을 소개하고 산업 및 연구 기관의 관련 분야 활동 상황과 국제 표준화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PDF

단일공정에서의 가공시간 분포를 고려한 스케쥴링 문제

  • 정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03a
    • /
    • pp.209-222
    • /
    • 1997
  •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종래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작업의 가공시간이 확정적(deterministic)인 경우의 평가척도(criterion)를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노동집약형 산업이라든가 고장율이 높은 자동화 공장등에 있어서는 가공시간 또는 제조 리드타임이 확률적인 변동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공시간의 변동은 각 작업의 가공완료시각의 변동으로 되어 후공정의 작업계획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공시간이 확률적(probabilistic)인 경우의 생산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와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단일 공정의 생산 시스템을 대상으로 n개의 작업이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갖는 경우의 총체류시간(total flow time)과 납기(due date)의 평가척도에 관한 스케쥴링 문제를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분포를 갖는 경우로 확장시킨 스케쥴링 문제를 제안한다. 그리고 납기에 있어서 평균 납기지연확률(mean probability of tardiness)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문제의 휴리스틱 해법을 제안하여 그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단일공정에서의 가공시간 분포를 고려한 스케쥴링 문제

  • 정용식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19-34
    • /
    • 1997
  • 샌산시스템에 있어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종래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작업의 가공시간의 확정적인 경우의 평가척도를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노동집약형 산업이라든가 고장율이 높은 자동화 공장 등에 있어서는 가공시간 또는 제조 리드타임이 확류적인 변동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공시간의 변동은 각 작업의 가공완료시각의 변동으로 되어 후공정의 작업계획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경우의 생산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스케쥴링 문제에 관한연구는 최근에 와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단일 공정의 생산시스템을 대상으로 n 개의 작업이 확정적인 가공시간을 갖는 경우의 총체류시간과 납기의 평가척도에 관한 스케쥴링 문제를 가공시간이 확률적인 분포를 갖는 경우로 확장시킨 스케쥴링 문제를 제안한다. 그리고 납기에 있어서 평균 납기지연 확률을 최소화하는 스케쥴링 문제의 휴리스틱 해법을 제안하여 그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Stochastic Scheduling Problems for Maximizing the Number of Early Enough Jobs (충분히 이른 작업의 수를 최대화시키는 확률적 스케줄링 문제)

  • Choi, Jae-Young;Kim, Heung-K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5 no.2
    • /
    • pp.173-180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작업의 처리시간이 임의의 확률분포를 따르고 작업의 납기일이 작업마다 별개인 상황에서의 단일 기계 스케줄링문제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 때 충분히 이른 작업의 수를 최대화시키는 데에 관심을 둔다. 이러한 스케줄링문제를 풀기 위한 두 가지 알고리즘, 즉 이진정수계획모형과 스케줄링 규칙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안하는 스케줄링 규칙은 처리시간과 납기일이 확정적인 경우에 지연작업의 수를 최소화시켜주는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기존 알고리즘을 처리시간과 납기일이 확률적인 경우로 확장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진정수계획모형과 스케줄링규칙을 성과측면에서 비교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스케줄링 규칙이 이진정수계획모형과 거의 같은 스케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자원을 매우 적게 소모한다.

Canine Immune-Mediated Hemolytic Anemia (개의 면역성 용혈성 빈혈)

  • 보니안빈셀만-남;이현범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3 no.1
    • /
    • pp.96-101
    • /
    • 1996
  • 면역성 용혈성 빈혈증 병견은 임상적으로 허약, 황달, 발열, 침울 및 점막창백을 나타낸다. 본 병의 진단은 구상적혈구증가증, 혈구응집반응 또는 직접적 Coomb시험 양성반응을 확인함과 동시에 용혈성 빈혈의 다른 원인을 배제함으로서 확정하여야 한다. 치료방법에는 적절한 보조적 요법과 함께 면역억압제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치료에 있어서는 일차적으로 glucocorticoids가 선택되는데 흔히 cytoxan, aziothioprin, vincristine 또는 danazole과 같은 다른 약제와 병용된다. 치료는 그 반응에 근거하여 면역억압제의 용량을 2-4주 간격으로 점차 감량하면서 6개월 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한다. 면역억압제에 대한 치료반응은 지연될 수 있고 또 적혈구 보유가 골수로부터 새로운 적혈구를 유리하게될 때까지 병축을 유지시키기에 부적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병축의 예후판정은 경계하여야 한다. 심급성 내지 급성 예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보다더 좋지 않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for OFDM wireless LAN systems according to channel and equalizer characteristics (OFDM 방식을 적용한 고속 무선 LAN 시스템의 채널 및 등화기법에 따른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 류은숙;이종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6A
    • /
    • pp.1099-110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 표준안으로 확정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적용한 고속 무선 LAN의 최적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내 채널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채널 모델링 및 JTC(Joint Technical Committee) 모델에서의 실내 및 실외 환경을 선택하여 채널에 따른 고속 무선 LAN 시스템을 모의 실험하였다. 또한 채널에 의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무선 LAN 표준안에 따른 긴 훈련 신호를 이용한 채널 등화기법인 LS(Least Square) 방식과 LMMSE(Linear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LS 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LS 방식으로 채널의 지연 확산 rms(root mean square) 값을 추정한 후 LMMSE 기법을 사용한 경우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LMMSE 기법을 채택할 경우 LS 기법에 비해 실외환경과 같은 열악한 채널환경 하에서도 시스템 성능에 상당한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