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산모델

Search Result 2,058,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평면 쿠에트 유동의 난류모델에 관한 연구

  • 김광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990-999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레이놀즈 응력모델을 비롯해 Hassid와 Poreh의 1-바정식 모델 과 K-.epsilon.모델을 사용해 난류 쿠에트 유동을 해석하였다. 특히, 레이놀즈 응력모델의 경우에는 단순구배 확산모델(simple gradient diffusion model)과 Hanjalic과 Launder 의 확산모델 및 Dekeyser와 Launder의 확산모델등 세종류의 확산모델을 사용해 계산결 과를 비교하였다.

A study on the adoption-diffusion and use-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Focusing on the camera phone (디지털융합제품의 수용-확산 및 사용-확산에 관한 연구 :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 Yoo, Sang-Jin;Shon, Jung-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101-115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proces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ed on camera phon to compare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with use-diffusion model proposed by Shih and Venkatesh(2004). The results suggested that observability, perceived usefulness,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ha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the adoption-diffusion model.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e has been affected by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satisfaction,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in the use-diffusion mod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cases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use-diffusion model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model in analyzing the diffusion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An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by the tracer field experiments (추적자 확산 실험을 통한 대기 확산 모델의 평가)

  • 윤희영;구윤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05-106
    • /
    • 2002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대기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대기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영향을 파악하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나 대기 확산 모델은 수치계산으로 나온 값으로 자연현상의 모든 영향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기 확산 모델이 자연현상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적자 물질을 이용하여 대기 오염물질의 확산 농도를 측정한 실측자료를 통하여 기존 모델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중략)

  • PDF

TASS 1.0의 1차원 확산 모델을 이용한 전출력 제어봉 인출 사고 해석

  • 이병일;최재돈;윤한영;김희철;이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550-555
    • /
    • 1995
  • 국내 Westinghouse형 및 CE형 가압 경수로의 Non-LOCA 및 성능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전산 코드 TASS 1.0 코드를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 TASS 1.0의 노심 출력 계산은 Point Kinetics 모델과 1차원 확산 모델이 함께 내장되어 있어 축방향 출력 분포가 변하는 반응도 관련 사고 및 주증기관 파단 사고들에 대해서는 1차원 확산 모델을 사용하여 노심의 출력 계산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1차원 확산 모델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Westinghouse형 발전소인 고리 3호기 7주기 및 CE형 발전소인 영광 3호기 1주기 전출력 제어봉 인출 사고에 대한 비교 분석 계산을 수행하였다. 비교 분석 계산 결과 1차원 확산 모델이 Point Kinetics 모델에 비해 DNBR 관점에서 보다 많은 운전 및 열적 여유도를 확보함이 판명되어 반응도 관련 사고 해석에서의 TASS 1.0 1차원 확산모델의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다.

  • PDF

실시간 피폭해석 시스템 검증을 위한 야외 확산실험

  • 한문희;김은한;서경석;황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71-74
    • /
    • 1996
  • 원자력시설의 비상사태시 대기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로부터 주변 주민 및 환경이 받는 영향을 신속·정확하게 평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방사선 피폭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립된 대기 확산모델의 검증 및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야외 확산실험이 수행되었다. 대기 확산모델의 계산결과와 실험을 통하여 관측된 추적자 가스의 농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바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는 관측된 농도값과 계산된 농도값이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실험 대상 지역에서 충분한 기상 관측을 수행하지 못하여 시간에 따른 풍속의 변화를 확산모델에 자세히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 PDF

비정렬격자 모델에 기반한 콜럼비아 강에서의 유출유 모델링

  • Jeong, 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22-22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한체적법과 함께 비정렬 격자(Unstructured Grid) 를 채택한 SELFE 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유출유 확산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극 오레건주 콜롬비아 강의 유출유 모델링에 적용하였으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이 모델은 하천, 호수 및 해양을 포함한 다양한 수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rovement of Air Pollution Prediction for Complex Terrain by Integrating of GIS and Air Pollution Models (지리정보시스템과 대기확산모델 통합에 의한 복잡지형 대기오염예측의 개선)

  • 박옥현;유은철;박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1-132
    • /
    • 2003
  • 확산 모델의 선정은 도시, 임해 산악 지역, 임해 평야지역, 계곡지역, 분지지역 등 각 지형에 대해 계절별, 오염물질별, 평균화시간별로 적절성이 있어 보이는 여러 경쟁모델들을 적용해 보고 그 중에서 실측결과에 가장 근접하는 계산치를 제공하는 모델을 선정해야 한다. 특히 Dioxin등 독성물질들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해석학적 확산모델들을 적용하기 곤란한 저풍속, 풍향요동(Meandering) 조건시 등에도 단시간 평균농도 계산치의 정확도가 높은 모델들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박옥현 등, 1999). (중략)

  • PD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Model Considering the Initiation Time of Exposure to Chloride Environment (염소이온 노출개시시기를 고려한 기존 확산계수 모델 수정제안)

  • Kim, Ki-Hyun;Cha, Soo-Wo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1 no.3
    • /
    • pp.377-386
    • /
    • 2009
  • A reference diffusion coefficient model from ACI life-365 is drawn from test results by NT build 443. This test method gives a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during immersion period, thus the ACI model uses the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as a reference value. ACI model needs to be revis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average value and reference value at specified time. In this study, firstly the analytic solutions of diffusion equation are derived considering the initiation time and period of exposure to chloride, and secondly the time-averaged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is converted into the diffusion coefficient at reference time. From this study, the reference diffusion coefficient of ACI model should be modified to be about 10% larger values than those of present ACI model. For convenient design of service life, prev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from NT build 443 and that from NT build 492 is also modified. To compare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of ACI and JCI models, the referenc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JCI model is drawn in the similar form of ACI model's, and service life prediction by ACI life-365 method is confirmed to give a conservative result.

Propagation Models for Structural Parameters in Online Social Networks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서 구조적 파라미터를 위한 확산 모델)

  • Kong, Jong-Hwan;Kim, Ik Kyun;Han, Myung-Mo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1
    • /
    • pp.125-134
    • /
    • 2014
  • As the social media which was simple communication media is activated on account of twitter and facebook, it's usability and importance are growing recently. Although many companies are making full use of its the capacity of information diffusion for marketing, the adverse effects of this capacity are growing. Because social network is formed and communicates based on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the spreading speed of the spam and mal-ware is very swift. In this paper, we draw parameters affecting malicious data diffusion in social network environment, and compare and analyze the diffusion capacity of each parameters by propagation experiment with XSS Worm and Koobface Worm. In addition, we discus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environment and then proposed malicious data propagation model based on parameters affecting information diffusion. n this paper, we made up BA and HK models based on SI model, dynamic model, to conduct the experiments,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it was proved that parameters which effect on propagation of XSS Worm and Koobface Worm are clustering coefficient and closeness centrality.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I) - Experimental Verification for Red Oak - (비정상(非正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이용한 수분(水分) 경사(傾斜)의 예측(豫測) (II) - 실험적(實驗的) 검증(檢證) -)

  • Park, Jung-Hwan;Smith, William B.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7-44
    • /
    • 1996
  • 포수상태(包水狀態)의 루부라참나무(Quercus rubra) 시험편을 3가지 등온조건(等溫條件)에서 건조한 결과를 비정상상태(非正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표면이 충분히 젖은 상태인 건조초기에는 불안정(不安定)한 확산현상(擴散現象)이 관찰되었으나, 함수율(含水率)별 건조속도의 변이를 Fick's의 확산법칙과 비교할 때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실험에서 얻은 건조조건별 건조곡선은 확산모델의 수치해석(數値解析)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같은 평위함수율(平衛含水率) 조건에서 건조온도의 증가는 목재표면 보다 내부의 함수율 변화에 더 크게 영향하여 결과적으로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조건이 목재 내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급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목재 건조 중의 내부에 발생하는 수분경사를 추정하는데 비정상상태의 확산모델이 모든 함수율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