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률 값

Search Result 1,90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of Rainfall Quantile using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Scale Invariance Property (빈도해석과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비교)

  • Jung, Young-Hun;Kim, Soo-Yo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4-168
    • /
    • 2008
  •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은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연최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빈도해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매시각별로 관측된 자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기간 혹은 장기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시각단위의 지속기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스케일 성질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강우자료는 비교적 신뢰성이 높고 자료기간이 긴 기상청 지점 22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3년까지의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지점빈도해석 프로그램인 FARD2006과 비교하여 지점빈도해석의 결과 값을 참값으로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산정한 방법은 기준이 되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그보다 긴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상향스케일링 (Up-scaling)과 그 보다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하향스케일링(Down-scaling)의 두 가지 방법으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두 방법 모두 1시간$\sim$24시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2년$\sim$500년의 재현기간에 대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빈도해석으로 산정한 FARD2006의 결과값과 비교하여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단위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미만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개의 재현기간 중에서 8개 이상의 재현기간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기간 1시간 강우자료를 기준 지속기간으로 1시간 미만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한 결과 10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미계측 강우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lec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from paddy fields (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량가중평균 수질농도의 적정 확률분포 선정)

  • Jung, Jaewoon;Choi, Dongho;Yoon, Kwangsi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3 no.4
    • /
    • pp.285-295
    • /
    • 2014
  • In this study, we analyz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 of COD, TOC, T-N, T-P and SS from rice paddy fields and compared the mean values of observed EMCs and the median values of estimated EMCs ($EMC_{50}$) through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during a period of four crop-years (from May 1, 2008, to September 30. 2011) in a rice cultivation area located in Emda-myun, Hampyeong gun, Jeollanam-do, Korea. Four probability distributions such as Normal, Log-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were used to fit values of EMCs from rice paddy field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ble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Normal,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 for COD, and Normal, Log- 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for T-N, and Log-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for T-P and TOC, and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 for SS.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s were acceptable for EMCs of all water quality constituents(COD, TOC, T-N, T-P and SS). Meanwhile, mean value of observed COD was similar to median value estimated by the gamma distribution, and TOC, T-N, T-P, and SS were similar to median value estimated by log-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Improvement of Success Rate on LEO Satellite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GPS Carrier Phase Measurements (GPS를 이용한 저궤도 위성 자세 결정의 미지정수 결정 성공확률 향상)

  • Lee, Eun-Sung;Chun, Se-Bum;Lee, Young-Jea;Kang, Tea-Sam;Jee, Gyu-In;Jun, Hyang-Sig;Joo, J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6
    • /
    • pp.45-50
    • /
    • 2005
  • To determine precise position GPS carrier phase measurements are used. In addition, the multi-antenna system consisting of 2 or more GPS antennas can make attitude determination effectively. When GPS carrier phase measurements are used the integer ambiguity must be fixed. The success rate is used to validate the integer ambiguity. For LEO satellite attitude determination the double difference carrier phase measurements are used, the success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covariance matrix and the measurement matrix. The constraint that LEO satellite position vector and attitude vector is orthogonal is suggested for improving the success rate. The LEO satellite orbit model is KITSAT3.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shown and analyzed.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increment ratio (조건부 확률증분비를 이용한 연관성 순위 결정 함수)

  • Park, He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1 no.4
    • /
    • pp.709-717
    • /
    • 2010
  • The task of association rule mining is to find certain association relationships among a set of data items in a database. There are three primar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pport and confidence and lif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increment ratio. We compared our function with several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s by some numerical examples. As the result, we knew that our decision function was better than the existing functions. The reasons were that the proposed function of the reference value is not affected by a particular association threshold, and our function had a value between -1 and 1 regardless of the range for three association thresholds. And we knew that the ranking function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increment ratio was very well reflected in the difference between association rule measures and the minimum association rule thresholds, respectively.

Pattern Classification Using Hybrid Monte Carlo Neural Networks (변종 몬테 칼로 신경망을 이용한 패턴 분류)

  • Jeon, Seong-Hae;Choe, Seong-Yong;O, Im-Geol;Lee, Sang-Ho;Jeon, Hong-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31-236
    • /
    • 2001
  • 일반적인 다층 신경망에서 가중치의 갱신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오류 역전과 방식은 가중치 갱신 결과를 고정된(fixed) 한 개의 값으로 결정한다. 이는 여러 갱신의 가능성을 오직 한 개의 값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들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모든 가능성을 확률적 분포로 표현하는 갱신 알고리즘을 도입하면 이런 문제는 해결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사용한 베이지안 신경망 모형(Bayesian Neural Networks Models)은 주어진 입력값(Input)에 대해 블랙 박스(Black-Box)와같은 신경망 구조의 각 층(Layer)을 거친 출력값(Out put)을 계산한다. 이 때 주어진 입력 데이터에 대한 결과의 예측값은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의 기댓값(mean)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주어진 사전분포(prior distribution)와 학습데이터에 의한 우도함수(likelihood functions)에 의해 계산한 사후확률의 함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기댓값의 적분계산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치해석적인 방법보다는 확률적 추정에 의한 근사 방법인 몬테 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Hybrid Monte Carlo 알고리즘은 좋은 결과를 제공하여준다(Neal 1996). 본 논문에서는 Hybrid Monte Carlo 알고리즘을 적용한 신경망이 기존의 CHAID, CART 그리고 QUEST와 같은 여러 가지 분류 알고리즘에 비해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

Influence of Lateral Ballast Resistance on the Buckling Fragility Curve of the Continuous Welded Rail Tracks (장대레일 궤도의 좌굴 취약도 곡선에 대한 도상횡저항력의 영향)

  • Bae, Hyun Ung;Choi, Jin Yu;Lee, Chin Ok;Lim, Nam Hyo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5-185
    • /
    • 2011
  • 기존 장대레일 궤도의 안정성 평가는 궤도 매개변수에 대하여 고정된 안전측의 값을 사용하는 결정론적인 해석에 의존해서 평가되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현장의 궤도조건은 많은 영향인자들에 의해 그 특성이 불확실하게 변하고 있다. 따라서 온도하중에 의한 궤도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궤도 구성인자들의 불확실성 및 임의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 확률론적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장대레일 궤도의 좌굴확률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좌굴 취약도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궤도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중 하나인 도상횡저항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좌굴확률 평가시스템에서는 장대레일 궤도의 좌굴확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안정과 파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한계상태방정식으로 표현하고, 이 한계상태방정식으로부터 확률론적 기법 중 하나인 AFOSM(Advanced First Order Second Moment) 방법을 이용하여 파괴확률의 간접적인 지표인 신뢰도지수(${\beta}$)를 통해 좌굴확률을 계산한다. 한계상태방정식에서 구조물의 강도(보유성능)에 해당하는 부분은 궤도의 허용좌굴온도이고, 하중(요구성능)에 해당하는 부분은 레일온도하중으로써 현재 레일온도와 중립온도의 차로 반영된다. 허용좌굴온도 산정에 고려되는 주요변수는 곡선반경(Radius), 도상횡저항력(Lateral Ballast Resista nce), 연직도상강성(Vertical Ballast Stiffness), 궤도 틀림량(Misalignment), 틀림길이(Half Wave Length), 열차운행속도(Velocity)이다. 각 확률변수들이 갖는 확률분포는 모두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궤도의 기하학적 특성은 곡선반경 5,000m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열차는 KTX의 제원을 사용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고려하였다. 틀림량과 틀림길이는 이에 대한 통계적 특성자료가 부족하여 확률변수로 고려하지 않고 결정론적 값으로 취급하였다. 레일온도의 통계적 특성치는 본 연구진에 의해 구축된 기후요소 및 레일온도 DB를 근거로 결정하였으며, 중립온도는 선로관리지침에 따라 $25{\pm}3^{\circ}C$를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도상횡저항력은 실측 데이터를 참고로 하여 평균값에서 10%의 변동량을 갖는 것으로 보고 통계적 특성치를 결정하였다. 도상횡저항력이 좌굴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레일온도 $60^{\circ}C$일 때 도상횡저항력이 증가하면서 감소되는 좌굴확률이 도상저항력이 커질수록 그 감소량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for random coefficient autoregressive model (확률계수 자기회귀 모형의 추정)

  • Kim, Ju Sung;Lee, Sung Duck;Jo, Na Rae;Ham, In Su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1
    • /
    • pp.257-266
    • /
    • 2016
  • Random Coefficient Autoregressive models (RCA) have attracted increased interest due to the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biology, economics, meteorology and finance. We consider an RCA as an appropriate model for non-linear properties and better than an AR model for linear properties. We study the methods of RCA parameter estimation. Especially we proposed the special case that an random coefficient ${\phi}(t)$ has the initial value ${\phi}(0)$ in the RCA model. In practical study, we estimated the parameters and compared Prediction Error Sum of Squares (PRESS) criterion between AR and RCA using Korean Mumps data.

Performance Analysis of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Based on Sharing Threshold among cooperative users (협력 노드의 합리적 임계치 공유를 통한 센싱 검출 성능 분석)

  • Seo, SungIl;Lee, MiSun;Kim, Jiny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1
    • /
    • pp.66-70
    • /
    • 2013
  • In this paper, Threshold setting method is proposed to improve detection probability for cooperative sensing. Even if cooperative users have all same false alarm rate, each user has different threshold due to pass ad-hoc channel. threshold level is related to detection probability. So, we select the highest threshold among cooperative users and then share threshold information for getting the high detection probability.

A Unification of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서울지방의 통합형 확률강우강도식)

  • Lee, Won Hwan;Park, Sang Deo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4
    • /
    • pp.135-143
    • /
    • 1992
  • The probable rainfall depth is an important hydrologic design data in establishing the hydraulic engineering project at urban watershed. This study is to unificate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The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at Seoul is basically formed by the types of Talbot, Sherman and Japanese. But these formulae may be unified to uniform type. The unified probable rainfall intensity formula is more applicable than that of the existing types at Seoul. Especially on the probable rainfall depth of total duration the application of unified formula general type is better than existing types. In this formula, values of n are decreasing with return period and increasing with rainfall duration, and values of coefficient, b, are de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return period. The range of n varies from 0.55 to 0.60 for short duration, from 0.60 to 0.82 for long duration, and from 0.60 to 0.66 for total duration of probable rainfall depth.

  • PDF

A Method to Decide Thresholds of False Votes for the Effectiveness of Energy Savings in Sensor Networks (확률적 투표 여과 기법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경계 값 결정 기법)

  • Nam, Su-Man;Cho,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81-82
    • /
    • 2013
  • 무센 센서 네트워크는 개방된 환경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허위 보고서와 허위 투표 삽입 공격으로부터 쉽게 노출되어 있다. 두 공격을 감지하기 위해 확률적 투표-기반 여과 기법은 보고서가 전달되는 동안 그 보고서의 투표 검증을 이용하여 허위 범위 경계 값을 통해 두 공격을 감지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 기법은 네트워크의 상황을 고려하여 센서 노드의 에너지 잔여량, 홉 수, 전달된 보고서의 수를 통해 퍼지 시스템의 입력 요소로 결정하고 나온 결과를 허위 범위 경계 값을 결정을 통해 기존 기법보다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우리의 제안 기법은 기본 기법보다 비교했을 때 전체 네트워크 수명 연장을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