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ec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from paddy fields

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량가중평균 수질농도의 적정 확률분포 선정

  • Jung, Jaewoo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Dongho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Kwangsik (Departmen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정재운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최동호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윤광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4.06.04
  • Accepted : 2014.07.23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 of COD, TOC, T-N, T-P and SS from rice paddy fields and compared the mean values of observed EMCs and the median values of estimated EMCs ($EMC_{50}$) through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during a period of four crop-years (from May 1, 2008, to September 30. 2011) in a rice cultivation area located in Emda-myun, Hampyeong gun, Jeollanam-do, Korea. Four probability distributions such as Normal, Log-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were used to fit values of EMCs from rice paddy field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ble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Normal,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 for COD, and Normal, Log- 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for T-N, and Log-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 for T-P and TOC, and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 for SS. Log-normal and Gamma distributions were acceptable for EMCs of all water quality constituents(COD, TOC, T-N, T-P and SS). Meanwhile, mean value of observed COD was similar to median value estimated by the gamma distribution, and TOC, T-N, T-P, and SS were similar to median value estimated by log-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본 연구는 논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항목별(COD, TOC, T-N, T-P, SS) 농도 분포에 적합한 확률분포모형을 분석하고 실측 평균 EMC와 확률분포 모형을 통해 추정된 중앙값 EMC(EMC50)값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한 논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OD는 3가지 확률분포모형(Normal, Log-Normal, Gamma), T-N은 4가지 확률분포모형(Normal, Log-Normal, Gamma, Weibull), T-P와 TOC는 3가 지 확 률 분 포 모 형 (Log-Normal, Gamma, Weibull), SS는 2가지 확률분포모형 (Log-Normal, Gamma)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og-Normal과 Gamma 확률분포모형은 모든 수질항목에 적합한 확률분포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우시 논 유출수의 수질항목별 평균값과 확률분포모형을 통해 추정된 EMC 중앙값과 비교한 결과 COD는 Gamma, TOC, T-N, T-P, SS는 Log-Normal 확률분포모형의 값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09. 강우유출수 조사 방법. 국립환경과학원.
  2. 김경섭, 안태진. 2009. 안성천 유역의 BOD농도 확률분포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5(3): 425-431.
  3. 노상덕, 김장현, 이대근, 김선주, 손병용, 진양근. 2006. 횡성호 유역의 비강우시 및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2(4): 67-77.
  4. 박연희, 박석순. 2004. 강우강도에 따른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함수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10): 1070-1078.
  5. 박지형, 공동수, 민경석. 2007. 유역형상과 수리특성을 고려한 경험론적 유달부하식 개발. 한국물환경학회지. 23(6): 913-919.
  6. 박재영, 오종민, 김영철. 2001. 삼교호 유입하천에서 강우시 주요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4(1): 62-69.
  7. 오영택, 박제철, 김동섭, 류재근. 2004. 강우시 소옥천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6): 657-663.
  8. 이현동, 안재환, 배철호, 김운지. 2001. 강우시 유출 부하량을 이용한 팔당상수원 유역이 비점 오염원 원단위와 발생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지. 17(3): 313-326.
  9. 이혜원, 최남희, 이용석, 최정현. 2011. 강우강도와 토지이용을 고려한 비점오염물질 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3(8): 572-577.
  10. 원철희, 최용훈, 신민환, 신동석, 강동구, 최중대. 2011. 강우시 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한국물환경학회. 27(5): 572-579.
  11. 장성호, 박진식. 2004. 직지사천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특성. 수처리기술. 12(3): 109-115.
  12. 전세찬, 군구호, 이상협, 이재운, 권헌각, 민경석. 2013. 강우시 시설재배지역의 오염물질 유출 EMC 및 원단위 산정. 한국습지학회지. 15(4): 555-566.
  13. 정재운, 윤광식, 주석훈, 최우영, 이용운, 류덕희, 이수웅, 장남익. 2009. 회귀식을 이용한 황룡A 유역에서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6): 25-31. https://doi.org/10.5389/KSAE.2009.51.6.025
  14. 진소현, 정재운, 윤광식, 최우정, 최동호, 김상돈, 강재홍, 최유진. 2010. 논 유출수 BOD의 유량가중평균농도(EMC) 확률분포. 한국환경과학회지. 19(9): 1153-1159. https://doi.org/10.5322/JES.2010.19.9.1153
  15. 최대규, 조덕준, 한수희, 김상단. 2008. 3변수 혼합지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도시지역 강우 유출수의 해석적 확률모형 개선. 한국물환경학회지. 24(3): 345-353.
  16. 홍정선, Franz Kevin F. Geronimo, Jean Margaret R. Mercado, 김이형. 2012. 강우시 지붕유출수의 EMCs 및 특성비교. 한국습지학회. 14(4): 657-665.
  17. 환경부. 1995.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환경부.
  18. 황정석, 박영기, 원찬희. 2012. 축사 주변지역 비점 오염물질 유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 34(8): 557-565.
  19. Cooke, R.. 1993. VTIFIT: A Routine for fitting homogeneous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20. Han, Kunyeun, Sangho Kim, Deghye Bae. 2001. Stochastic water quality analysis using reliability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3): 695-708.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1.tb05504.x
  21. Sansalone, John. J., Buchberger, Steven. G.. 1997. Partitiong and First Flush of Metals in Urban Roadway Strom 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123: 134-143.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7)123:2(134)

Cited by

  1. 논 관개수, 담수 및 유출수의 용존인과 총인 농도 변화 vol.33, pp.4, 2017, https://doi.org/10.15681/kswe.2017.33.4.434
  2. 액비 및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농경지에서의 오염부하 원단위 평가 vol.23, pp.4, 2017, https://doi.org/10.7851/ksrp.2017.23.4.039
  3. 영농형태별 영농기간 동안 비강우시 논 유출수의 수질 항목별 확률분포 추정 vol.52, pp.1, 2014, https://doi.org/10.11614/ksl.2019.52.1.021
  4. 비점오염 발생 원단위 산정방법에 대한 고찰 - 논 비점오염 원단위를 중심으로 - vol.61, pp.3, 2014, https://doi.org/10.5389/ksae.2019.61.3.015
  5. Statis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in Stormwater Runoff from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mong Different Land Use Types vol.43, pp.10, 2021, https://doi.org/10.4491/ksee.2021.43.10.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