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학 혼화제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화학 혼화제의 감수 성능에 따른 2성분계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및 압축강도 추정식에 관한 기초적 연구 (The Fundamental Study on Quality Properties of Binary Blended Concrete according to Water Reducing Performance of Chemical Admixture and Estimation Eq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 김경환;오성록;최병걸;최연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9-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화학 혼화제 성능에 따른 2성분계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학 혼화제의 감수 성능 3수준(0%, 8% 및 16%) 및 물-시멘트비 3수준(40%, 45% 및 50%)에 따른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2성분계 콘크리트 배합을 제조하였다.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콘크리트 배합은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화학 혼화제 성능에 따른 압축강도는 약 20% 이상의 압축강도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화학 혼화제의 성능이 콘크리트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학 혼화제의 성능의 영향을 반영한 압축강도 예측 모델식을 도출하였으며, 85% 이상의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동결온도 및 동결된 혼화제의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변화 (The Freezing Temperature of Chemical Admixtures for Concrete and the Quality Vareation of Concrete Using the Frozen Admixtures)

  • 한천구;한경익;이건철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05-212
    • /
    • 1998
  • 레미콘을 제조하는 배쳐플랜트에는 혼화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는데, 특히 기온이 $0^{\circ}C$이하로 저하하는 겨울철에는 혼화제 저장탱크내의 혼화제가 동결할 수 있어 설비보존 목적상 동결온도의 검토가 요구되고 또한 동결된 혼화제를 이용할 경우 레미콘의 품질 변화가 초래될 수 있는지 검토가 요구되지만 국내의 경우 연구보고나 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콘크리트용 각종 화학혼화제를 무작위로 시료채취하여 동결온도를 측정하므로써 동절기 외기에 노출된 혼화제 투입설비에 대한 적정 보온대책의 제안 및 레미콘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지는 AE제 및 AE감수제 등의 혼화제를 대상으로 동결전과 동결융해를 반복한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변화에대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동제, AE감수제 촉진형 등 내한성 혼화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혼화제는 제주도 및 일부 남부 지방을 제외한 한국의 겨울철 외기온 조건하에서는 혼화제의 동결위험성이 있으므로 보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동결된 혼화제를 사용할 경우의 콘크리트 품질변화는 교반을 충분히 하여 이용한다면 슬럼프, 공기량, 강도 등에서 크게 문제시 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폴리카본산계 유동화 혼화제 개발 (Development of Admixtures of Polycarboxylic acid)

  • 전용진;조석형;홍영호;한종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00-302
    • /
    • 2001
  • 폴리카본산계 기능성 고분자를 합성해서 고성능 감수제 원료로 활용하여 고유동화 혼화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폴리카본산계 기능성 고분자를 합성한 후, 이를 고유동, 고강도 혼화제 원료로의 제반 물성을 확인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현재의 제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혼화제 품질의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1) 시멘트 및 골재 표면에서의 적절한 계면활성을 갖는 분자설계를 하였으며, 2)분자량의 조절 기술의 개발을 개발하였다. 합성에 있어서 첫째, 시멘트 및 골재 표면에서의 적절한 계면활성을 갖는 분자설계와 둘째, Mw 5,000정도의 분자량을 갖는 감수제의 합성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고성능 유동화제의 화학구조 해석을 해석하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한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 점도, 슬럼프로스 등을 측정하여 고성능 유동화제의 성능인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고유동성을 갖는 것과 장시간 안정한 유동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과 시간에 따른 겉보기 점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점도의 상승이 초기에 일어나다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경과시간에 따른 유동성 손실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한다.

화학 혼화제가 PSC용 그라우트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mical Admix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t for Prestressed Concrete)

  • 고경택;류금성;안기홍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68-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고품질 그라우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그라우트의 화학 혼화제로 고성능 감수제와 증점제의 양과 사용방법이 유동성, 블리딩률, 체적변화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증점제와 고성능 감수제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한 결과, 증점제와 고성능 감수제를 조합사용한 경우에는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유동성이 저하되나, 고성능 감수제 사용량 0.1% 이상부터 유동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점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블리딩률이 감소하며, 고성능 감수제는 0.05%까지 블리딩률이 증가하나, 0.1%부터 블리딩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능 감수제와 증점제를 각각 0.15%를 조합한 그라우트의 배합이 유하시간, 플로우, 블리딩 및 체적변화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극서환경용 포스페이트 도입 화학혼화제 모르타르 특성 평가 (Evaluation Retention Performance of Phosphate-introduced Chemical Admixture Mortar in Extremly Hot Weather Condition)

  • 기전도;김광기;김정진;박순전;김정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6-97
    • /
    • 2017
  • Performances such as retention, setting time and strength generation of mortar with phosphate-introduced chemical admixture, domestic and foreign admixtures are evaluated to find one that meets over 3 hours retention in extremly hot weather condition in this study.

  • PDF

한국과 중국의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품질 규정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Standards of Chemical Admixtures for Concrete between Korea and China)

  • 후윈야오;임군수;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7-98
    • /
    • 2023
  • In this study, comparison of the quality standard of chemical admixtures between Korea and China is conducted. It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water reducing agents: standard, delayed, and accelerated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and strength improvement of the sensitivity and strength of the agent. However, Chinese standards classify reducing agents only as standard, high efficiency, and high performance, and do not add AE agents into water reducing agent. On the other hand, that of Korea has a classification regulation for reducing agents added with AE agents.

  • PDF

수축저감형 혼화제를 이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urability of Mortar and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typed Superplasticizer)

  • 우형민;박희곤;이영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61-569
    • /
    • 2016
  • 콘크리트는 현재까지 사용되는 건축재료 양호한 품질을 지니고 있으며, 시멘트의 화학조성이 지표상의 화학조성과 유사하여 가장 쉽게 얻을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약한 결합력과 낮은 결합에너지로 변형에 취약하여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건조수축 균열 저감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AE제, 감수제, 수축저감제 등을 각각 사용하는 기존연구와 달리 작업의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수축저감제 및 감수제의 혼합 형태인 수축저감형 혼화제(Superplasticizer for Reduction of Shrinkage, 이하 SRS로 칭함)를 이용하였다. 현재 레미콘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의 배합으로 계획하였으며, SRS 혼입률 변경과 혼화재 치환에 따른 기초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도와 길이변화율을 고려하였을 때 SRS 혼입률 2%가 적정한 혼입률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대량치환과 노출콘크리트용 혼화제 적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개발 및 연구의 최신 동향 (Recent Development and Research of Chemical Admixtures for Concrete)

  • 김병기;김송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3
    • /
    • 2002
  • 전 세계에서 콘크리트 관련 기술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공기 연행제(air entraining agent), 감수제 (water reducing agent), 고성능 감수제(superplasticizer high range water reducing agent)로 대변되는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개발이 콘크리트의 성능 향상의 큰 전기 중의 하나 라고 할 수 있다. 1930년대 미국에서 우연히 발견된 공기 연행제의 사용으로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 저항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펄프 폐액에서 추출되는 리그닌(lignosulfonates)이 시멘트의 분산성을 높여 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중략)

기계·화학 처리 자기치유 혼화재가 포함된 모르타르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ortar Containing Mechanochemical Treated Self-Healing Admixtures)

  • 박동철;권혁;이정우;황무연;김태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67-374
    • /
    • 2021
  • 본 연구는 기계·화학적 에너지를 활용하는 메카노케미칼 공정기술을 자기치유 혼화재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계·화학적 공정기술을 자기치유 혼화재 제조 공정에 적용하여 치유 소재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켜 치유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기치유 모르타르에 사용한 자기치유 소재는 팽창/팽윤제를 주요 구성물로 선정하고 탄산염 촉진제와 무기염 첨가제를 기타 첨가제로 혼입하였으며, 기계·화학 처리공정 적용에 의한 치유 소재의 활성화도 및 개질화 반응이 가능한 재료로 선택하였다. 기계·화학 처리공정에 대한 자기치유 혼화재의 기초평가는 XRD, FT-IR 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치유 성능평가는 정수위 투수시험을 이용하여 치유율을 확인하였다. 치유성능 확인결과 기계·화학 처리 공정을 적용한 WM3 시료(MC360min)가 공정처리 하지 않은 WM1 시료에 대비 치유성능이 4.1% 증가하였으며, 자기치유율은 평균 94.3%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