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전투체계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화학전의 현재와 미래-화학작용제 탐지를 중심으로

  • Lee, Yeong-Wa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126
    • /
    • pp.58-63
    • /
    • 1989
  • 탐지체계에는 가능한한 많은 방어체계가 컴퓨터에 의해 연결될 것이다. 그래서 부대가 그들의 전투행동에 몰두하면서 적절한 화학방어체계를 확보하는 것은 전쟁위협에 당면하고 있는 모든 국가의 필요불가결한 관심사항이 아닐수 없다. 현재와 같은 화학전의 오염환경에서 생존할수 있으려면 2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 작용제의 탐지와 그에 대한 신속한 반응이다

  • PDF

과학화 전투훈련 신뢰성 제고를 위한 자료검증 방법

  • 문형곤;유승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3-123
    • /
    • 2002
  • 부대기동 및 실사격을 적용한 군사훈련이 가장 사실적이며 현실감이 있지만, 부대기동에 따른 교통체증 유발과 실사격 훈련에 대한 민원 증가로 인하여 실기동에 의한 군사훈련을 실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실사격 훈련의 제한 및 통제형 선형훈련으로 인하여 현장감이 저하되고 학습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군사선진국들은 실전적 훈련묘사 및 정밀 훈련분석이 가능한 과학화 전투훈련장을 구축하여 군사훈련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육군 과학화 전투훈련장(KCTC) 구축사업이 현재 진행중에 있다. 과학화 전투훈련은 일반적으로 마일즈 장비와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지휘/통제/통신 및 기동, 전투근무 지원에 이르는 군사훈련 전과정을 모의하며, 직/곡사화기 교전, 화학 및 지뢰지대 운용, 항공지원 등 전투과정을 재현함으로써 훈련에 참여하는 지휘관과 병사로 하여금 현장감 있는 전투훈련을 유도한다. 이러한 과학화 전투훈련이 실제 훈련과 동일한 훈련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교전 피해평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곡사화기에 의한 살상범위, 피해정도 등이 실무부대 전투결과들과 큰 차이가 발생하면 소기의 훈련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고는 과학화 전투훈련장의 전투피해평가 자료체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검증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과학화 전투훈련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전차의 전투가치 향상-M1, Leopard2 및 M48을 중심으로

  • Min, Ga-J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146
    • /
    • pp.10-18
    • /
    • 1991
  • 현재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전차는 주로 한국이 독자개발한 최신예 88전차와 M48전차로 구성되어 있다. 북괴에 대한 기갑전력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북괴 대전차 무기체계를 분석하여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며, 이는 88전차와 M48계열 전차의 적절한 전투가치 향상사업으로 집약될 것이다. 특히 M48 계열 전차의 장갑 보강을 위해 덧붙임장갑(Add-on Armour)의 장착이 필수적이며, 화학에너지탄뿐 아니라 운동에너지탄으로부터의 방호를 위해 Hybrid 덧붙임장갑을 장착해야 될 것이다

  • PDF

Simulation and Analysis of Response Plans against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화학 생물 위험 대응 시뮬레이션 및 분석)

  • Han, Sangwoo;Seo, Jiyun;Shim, Woosup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0 no.2
    • /
    • pp.49-64
    • /
    • 2021
  • M&S techniques are widely used as scientific means to systematically develop response plans to chemical and biological (CB) hazards. However, while the theoretical area of hazard dispersion modeling has achieved remarkable practical results, the operational analysis area to simulate CB hazard response plans is still in an early stage. This paper presents a model to simulate CB hazard response plans such as detection, protection, and decontamination. First, we present a possible way to display high-fidelity hazard dispersion in a combat simulation model, taking into account weather and terrain conditions. We then develop an improved vulnerability model of the combat simulation model, in order to simulate CB damage of combat simulation entities based on other casualty prediction techniques. In addition, we implement tactical behavior task models that simulate CB hazard response plans such as detection, reconnaissance, protection, and decontamination. Finally, we explore its feasibility by analyzing contamination detection effects by distributed CB detectors and decontamin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minated, decontamination} unit. We expect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be partially utilized in disaster prevention and simulation training area as well as analysis of combat effectiveness analysis of CB protection system and its operational concepts in the military area.

Developing an AR based Command Post eXercise(CPX) Simulator (증강현실 기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 Park, Sangjun;Shin, Kyuyoung;Kim, Dongwook;Kim, Tai Hyo;Roh, Hyo Bin;Lee, Wonwo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8 no.5_2
    • /
    • pp.53-60
    • /
    • 2018
  •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it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and various weapons will be used in a much more complicate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C4I is a system that provides the proper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commanders and their staffs to recognize the battlefield situation by connecting and visualizing the complex battlefield environment and various weapon systems together. Commanders and staffs perform battle command training based on a computer or paper map to better utilize the C4I system and Command Post eXercise(CPX) is a process of the training. This is the way for them to improve command control and decision making skills. Analyzing of line of sight(LOS), identifying communication fringe area, deploying troop strength, and determining unit maneuver are highly restricted under the 2D based CPX. In recent years, however, three-dimensional (3D) CPX simulator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se drawbacks. In response to this trend, this paper proposes a multi-user based CPX simulator using augmented reality (AR) glass, which can be used as a practical war game simulator.

  • PDF

A Study on OMS/MP for Establishing Target RAM Values of New Weapon System in Precedent study : Focusing on the case of unmanned combat vehicle (선행 연구단계에서 신규 무기체계의 RAM 목표값 설정을 위한 OMS/MP 작성 연구 : 무인전투차량의 사례를 중심으로)

  • Choi, Hong-Cheol;Kang, Taeho;Youn, Byung Jo;Lee, Hocha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2
    • /
    • pp.163-174
    • /
    • 2019
  • RAM analysis determines the range of resources to be invested by presenting the development goals of the weapon system. If the RAM analysis is not performed properly, it can cause a huge increase in business costs. While the cumulative cost ratio in the concept study is less than 1% of the total cost, 65-70% of the total lifecycle cost is determined and can't be reduced later. Therefore, RAM analysis is crucial in precedent study. When calculating the target RAM value by writing an existing OMS/MP, new functions and the future missions are hardly considered and reflect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stablish OMS/MP by deriving arguments based on Delphi and Bayesian theory focusing on unmanned combat vehicle.

Effectiveness Analysis of Chemical Warfare System through Inter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Level and Engagement Level Models : Methodology and Environment (공학급/교전급 모델의 연동 시뮬레이션을 통한 화학전 효과도 분석 : 방법론 및 구현 환경)

  • Seok, Moon-Gi;Song, Hae-Sang;Kim, Tag-G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7 no.1
    • /
    • pp.71-81
    • /
    • 2014
  • It is an important issu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 warfare through modeling and simulation(M&S)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S methodology and environment for the chemical warfare for effectiveness analysis. In detail, for modeling perspective, we propose three fundamental component models according to their behaviors, which are a chemical weapon, a detecting device system, and an engaging unit system. Among proposed models, the chemical weapon and the detecting device system models are represented by engineering-level system models, whereas the engaging unit system model are described as an engagement-level system model. For simulation perspective, we apply a hybrid simulation environment using High Level Architecture (HLA) to interoperate with the proposed engineering and engagement-level models. The proposed M&S methodology and environment enabl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hemical warfare system considering the doctrines, the performance of device or weapon, and weather factor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environment, we experimented three categorized case studies, which are related with those considering factors.

Ballistic Protec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Armor Plates with Various Incident angles using Small Caliber Live Fire Test (소화기 실사격 실험 기반의 장갑 재질에 따른 입사각도별 방호성능 효과분석)

  • Lee, Gun-woo;Baek, Jang-Woon;Lee, Byoung-hwak;Kim, Jin-young;Kim, J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0 no.1
    • /
    • pp.55-63
    • /
    • 2021
  • As a study on ballistic protection performance of a weapon system that is used in combat simulation, this paper aims to propose an improvement effect of the ballistic protection performance varying with incident angle of a bullet. For this, live-fire ballistic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either complete penetration(CP) and partial penetration(PP) of three types of general armor plates made of uniformly rolled steel plates against a small caliber threat using 5.45 mm bullets with various speed. The major test parameter was the material of the weapon system and incident angle of the bullet with the target. Furth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ballistic protection performance, three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for ballistic limit velocity.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ballistic protection performance with the incident angle of 30 degrees was 4% to 14% varying with the material of the armor plates greater than that of 0 degrees, which was approximately 1.1 tim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n average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gle of incidence of the 0 degree. Those test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more realistic combat simulation addressing the parameter improving the ballistic protection performance of an armor plate.

A Study on North Korea's UAV Threat and Response Stance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대응 자세)

  • Hyeonsik Kim;Chanyoung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227-233
    • /
    • 2023
  •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act of "unmanned" is affecting all fields around the world, and in particular, in the military sector, "unmanned" is so important that it occupies a part of the main combat system. Recently, the South Korean military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North Korea's UAV incident that invaded our airspace and descended to Seoul. In response, the South Korea military declared its willingness and countermeasures to capture and destroy North Korea's UAV. However, a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UAV continues and the utilization plan is expanding, the countermeasures for UAV at the current level can be useless. Also, the threat from North Korea is not just UAV. North Korea has practically a nuclear power and is set to conduct its seventh nuclear test, and its missile technology is also being advanced, with 38 arounds of 67 missile tests conducted in 2022 alone. It is also developing five key strategic weapons that can pose a fatal threat to Korea, and North Korea's strong conventional forces are located around the NLL(Northern Limit Line), and the port of Long Range Artillery is fac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important to respond to North Korea's UAV threats, which are now receiving much attention, but it will be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ze and clearly prioritize North Korea's threats and use a limited budget to respond to them.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