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학적 성분 분석

Search Result 1,3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pring Water in Mts. Geumjeong and Baekyang Area Using Kriging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금정산-백양산 일대 용천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의 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함세영;정재열;류상민;강래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4
    • /
    • pp.439-457
    • /
    • 2002
  • Sping waters at 60 sites and groundwaters at 6 wells in Mts. Geumjeong and Baekyang area were investigated for measuring nine physicochemical components (temperature, pH, Eh, EC, TDS, DO, salinity, alkalinity and discharge rate). The pH of spring waters ranges from 5.06 to 8.38, alkalinity from 7.93 to 102.21 mg/ㅣ, electrical conductance from 9.5 to $270{\;}\mu\textrm{s}/cm$, Eh from 64.2 to 685.9 mV, DO from 4.57 to 12.13 mg/l, and the discharge rate from 4.26 to 182.2 ml/s. General statistics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components. To compare the components with one another,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the components of spring waters were compared to those of groundwaters. Kriging was used to estimate the spatial variation of DO, pH, Eh, EC, alkalinity and discharge rate in the study area. The kriged isopleth maps were made using normalized kriged values to find anomalies of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to compare anomalies of different components.

Acid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Inchon Area (인천지역 강우의 산성도 및 화학적특성에 관한 연구)

  • 박종수;동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2-323
    • /
    • 2000
  •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환경오염중의 하나가 바로 산성 강하물에 관한 것으로 산성비의 피해는 광역적이기 때문에 많은 측정망들을 중심으로 한 공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산성도 및 주요 이온성분의 분석, 대기질-강우 산성도의 관계, 지역별 강우의 화학적 성분 비교, 이온 성분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A Design of Chemical Analysis for the CD-R Recording Layer's Nano-structure and Composition Analysis (CD-R 기록층의 나노구조 및 성분 분석을 위한 화학분석 설계 사례)

  • Cho, Namj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4 no.2
    • /
    • pp.84-90
    • /
    • 2012
  • It is described that the total analysis of CD-R, a digital recording media, including the planning and performing chemical analysis of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recording layer, dye composition and chemical structure as an example of design for chemical analysis. Since chemical analysis of unknown sample is often involved the complicated process requiring many experiences and knowledge, students feel difficulties in planning the procedure of chemical analysis and selecting analytical methods. Thus, an example of chemical analysis is provided here to help student understanding the hole procedure of CD-R analysis. In this study, SEM is used to determine the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PC substrate and recoding layer of CD-R. The dyes in recording layer is dissolved with solvent and separated with using TLC, analyzed with using UV-Vis absorption spectrometer. Then, the chemical structure of each component is determined with using GC-MS, NMR and mass spectrometer.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lking Agents used in Composting of Animal Manure (축산분뇨 퇴비화에 이용되는 수분조절제 특성 분석)

  • Wang, Eun Cheol;Lee, Min Ho;Park, Hun Soo;Kim, Won Joong;Kim, Ki Yeon;Kim, Hyeo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6-126
    • /
    • 2017
  • 본 연구는 가축분뇨를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분조절제인 톱밥, 왕겨 등의 가격적 부담으로 인해 좀 더 가격이 저렴한 수분조절제들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6가지 수분조절제를 토대로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계 장비를 이용하여 화학적 분석,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 분석을 하였다. 화학적 분석을 통해 수분조절제 내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을 분석하였으며 물리적 분석을 통해 중량, 함수율, 흡수율,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화학적으로 분석을 했을 시 K, Cd, Pb, Ni, Zn, Cu, Cr, As 등을 측정을 하였으며 앞서 분석했던 각각의 성분들은 농촌진흥청에 명시되어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보다 대부분 적게 측정이 되었다. 물리적으로 분석을 했을 시, 각 수분조절제의 함수율은 최소 10.29%에서 최대 16.07%까지 측정이 되었다. 전단강도는 기존 상태가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으며 다음으로 건조상태 흡수상태로 측정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흡수율이 가장 높은 우드 브리켓-1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emical Analysis of Black Crust on Stone (암석 표면의 흑화현상에 대한 화학성분적 고찰)

  • Do, Jinyoung;Riederer, J.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2a
    • /
    • pp.37-44
    • /
    • 2002
  • 암석이 화학적으로 매우 불균일하기 때문에 암석에 있어서 자연적인 풍화와 인위적인 오염에서 기인한 손상을 구별짓는다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석재의 화학적인 풍화는 스며든 빗물이나 오염먼지 등에 의해 생성된 물질의 농도변화로 표현되어 진다. 특히 벽면 표면의 두터운 검은 외각과 얇은 검은 막은 미관상으로 뿐만 아니라 암석 자체에도 큰 손상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이런 검은 물질들은 비 등의 수분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고, 농축된 오염물질들이 쉽게 쌓일 수 있는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천연 암석과 마찬가지로 검게 손상된 층 또한 화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체계를 갖고 있어 그 생성 원인과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이 흑색 층은 일반적으로 공기오염물질, 유기물, 철과 망간등의 유색광물의 이동과 침착의 현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건물들의 외벽에 사용된 여러 종류의 사암과 석회암, 인조석의 표면에는 여러 풍화 손상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표면에 있는 검은 막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화학성분을 주성분과 미량성분으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화학적인 특징을 예측하기 위해서 분석자료를 여러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 PDF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Source Using SEM-EDX by Analysis of shape and chemical composition in individual Particles (SEM-EDX법을 이용한 개별입자의 형상과 화학적 조성 분석을 통한 발생원 추정에 관한 연구)

  • 염해진;전보경;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20-321
    • /
    • 2003
  • 대기중에 존재하는 입자상물질은 광범위한 입경역에 걸쳐서 다종다양한 미량화학성분으로 구성되는 분산체이고, 그 성상은 공간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크게 변동한다. 입자상 물질의 화학분석법은 발생원 동정을 위한 자료로 적합하며 일반적으로는 습식의 파괴적인 원소분석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분석법은 개별입자의 정보가 무시되며 필터에 포집된 bulk 시료에 의한 분석이 진행되므로 장시간 포집에 의한 단시간의 시간변동과 개개의 입자가 가지는 정보가 무시되고 평균화 되어버린다. (중략)

  • PDF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Sungdong Area, Seoul, Korea (서울 성동구 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 조용성;이홍석;김윤신;이종태;박진수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2 no.6
    • /
    • pp.665-676
    • /
    • 2003
  •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in Seoul, Korea,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were collected using a PM$\_$10/ dichotomous sampler including PM$\_$10/ and PM$\_$2.5/ inlet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2000 to September 2001.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y (ICP-MS), ion Chromatography (IC)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both metal and ionic species.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heavy metals data set using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derived important factors inherent in the interac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mean concentrations of ambient PM$\_$2.5/ and PM/sub10/ were 24.47 and 45.27 $\mu\textrm{g}$/㎥, respectively. PM$\_$2.5/ masses also showed temporal variations both yearly and seasonally. The ratios of PM$\_$2.5/PM$\_$10/ was 0.54, which similar to the value of 0.60 in North America. Soil-related chemical components (such as Al, Ca, Fe, Si, and Mn) were abundant in PM$\_$10/, while anthropogenic components (such as As, Cd, Cr, V, Zn and Pb) were abundant in PM2s. Total water soluble ions constituted 30∼50 % of PM$\_$2.5/ mass, and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were main components in water soluble ions. Reactive farms of NH$_4$$\^$+/were considered as NH$_4$NO$_3$ and (NH$_4$)$_2$SO$_4$ during the sampling periods. In the results of PCA for PM$\_$2.5/, we identified three principal components. Major contribution to PM$\_$2.5/ seemed to be soil, oil combustion, unidentified source. Further study, the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se data will need efforts in order to identify emission sources.

발광성 미생물을 이용한 유해 농약 성분의 독성 분석 및 식품 내 잔류 농약 성분의 추출법 연구

  • 민지호;팜치호아;구만복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1-161
    • /
    • 2002
  • 최근, 무분별한 농약사용으로 인해 조리 후에도 잔류하는 농약성분의 독성이 문제시 되고 있어 인체 내로의 섭취 전에 독성 유무와 그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채소류, 곡류, 과일류 등에 빈번히 사용되는 농약성분의 독성 확인과 함께 이들 식품 내에 잔류하는 농약성분의 검출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들의 독성 유무를 유전자 재조합된 5종의 발광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농약류가 식품 내에 잔류하여 발생하는 독성을 분석하기 위해 식품내 잔류하는 농약 성분의 추출에 필요한 효율적인 추출 용매를 제작하였으며, 농약성분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추출 방법을 두 단계로 분리하여 추출률을 향상시켰다. 뿐만 아니라, 식품류의 특성에 적합하게 식품별로 특정한 추출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추출된 농약 성분의 독성 및 안정성 역시 발광성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전체적인 추출방법의 효율을 진단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SW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 A Case Study of the Chungju City - (생활폐기물의 발생원과 최종 매립장에서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 충주시를 중심으로 -)

  • Cho, Byungyeol;Yeon, Ikjun;Lee, B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0 no.3
    • /
    • pp.47-52
    • /
    • 2009
  • The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were perfor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waste management in Chungju city. It was analysed and evaluated the bulk density, physical component, three major component, chemical component, and heating value of MSW. The physical components depended on the sampling site in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But, by the ultimate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almost similar to result for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omponents according to sampling site for the MBT to introduce for combustible municipal solid waste pre-treatment, but it needs the chemical composition from landfill site to design the incinerator. The physical composition showed that the combustible and the noncombustible occupied 87.4% and 12.6% respectively. In case of three component analysis, the moisture, the combustible, and the ash were 27.6, 60.5, 11.9%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 through the element analysis were C (50.1%), H (6%), O (39.5%), N (1.9%), S (0.5%), and Cl (1.3%).

  • PDF

The Analysis of Slag Exacavated from Jisa area (지사동 출토 제철슬래그의 금속학적 조사 연구)

  • Park, Sung-Taik;Choi, Chang-Ock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6 s.16
    • /
    • pp.64-76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hemical analysis and metallographic observation.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ized by ICP, XRD and SEM-EDS and slag structure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and SEM. Total Fe amounts in A, C area of slag can be observed $39\~45\%$ by chemical analysis results. It was average of acient times. CaO was $3\~8\%$. It's not plentiful but we think that was artificial. Ti was found in A area a little, and Ti, V were found in C area so much. The compounds, as if Fayalite, Wustite, Magnetite, Ilmenite, Pseudo-brookite, Ulvospinel, Forsterite, Fephroite, Olivine were observed in the result XRD. These structures were also observed in microscope and SEM image. Therefore, The furnance of A area usually used an iron mine, An Iron furnance of C area considered it which refined using a raw iron mine and a raw iron sa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