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확산경로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재난 재해 지역의 산불 확산경로와 이동속도 예측 알고리즘 (Prediction of Wildfire Spread and Propagation Algorithm for Disaster Area)

  • 구남경;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81-158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산불 발생 시 화재의 확산경로와 속도 예측이 가능한 관제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다. 특히 관제 기능에서는 안전 구역 확보를 통해 화재진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인명, 산림재산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산불 확산 경로 예측 방법에서는 지형, 기상, 연료인자, 영상정보 등을 통해 산불 확산 모델 및 속도를 예측한다. 하지만 이 경우 범위가 넓은 산을 관제하기엔 비용도 많이 소요가 되고, 확산 모델 예측 및 경로 파악에만 집중하여 안전 구역 확보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불의 이동방향과 속도를 예측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온도 변화량 및 연기와 풍향 등의 산불 재난에 따른 속성정보를 분석하여 산불의 이동방향을 예측하고 안전구역을 확보하는 기법이다. 개발된 훈련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은 주어진 모의실험 환경에서 산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분석이 가능하고 산불에 대한 확산 예측과 진화 및 진압 훈련이 가능한 중앙관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복도에서의 연기 확산 및 유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oke Spread and Flow in a Long Corridor)

  • 김충익;유홍선;김명배;한용식;김진곤;윤명오;김상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 /
    • pp.29-39
    • /
    • 1998
  • 복도는 사무실용 건물, 호텔 등 공중이용 건물에서 중요한 피난경로의 일부이다. 화재로 복도에 연기가 확산되면 그 온도, 연층의 높이, 유해물질의 농도 등에 따라 피난에 심각한 장애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복도에서의 연기의 확산 및 유동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길이 40m의 복도에서 pool fire로부터의 연기 유동에 관한 실제크기의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화재실과 그에 접해있는 긴 복도가 있는 실험장치에 직경 15, 20, 30cm의 가솔린 pool을 화재실 중앙에서 점화 시켰다. 연기의 온도 및 이동을 측정하기 위해 전장 중앙선을 따라 열전대를 설치하였고 연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세곳에 열전대가 부착된 수직봉을 설치하였다. 아르곤 레이저 sheet 과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연기의 유동을 가시화 하였다.

  • PDF

제천스포츠센터 화재확산경로 추정을 위한 예측식 및 화재시뮬레이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and Calculations and Fire Simulation for Estimating Fire Spread Paths in Jecheon Sports Center)

  • 최윤주;김윤성;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1-52
    • /
    • 2022
  • In previous studies, fire simul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fire spread path.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fire spread path was estimated to be the main staircase, but consideration of interior materials and internal bulkheads wa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gnition time of the 3rd layer was analyzed using the prediction formula considering the interior materials and internal bulkheads. As a result of referring to the architectural drawings, it was found that the interior material of the 3rd floor was made of polystyrene. The internal ignition time of the third floor using FDTs was calculated to be 14,070 seconds (about 234 minutes). The internal ignition time of the 3rd floor using the Handbook on Design Calculation Methods of Fire Behavior was calculated to be 3,104 seconds (about 51 minute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ignition time through the predictive formula,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ignition time,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in the future.

  • PDF

국지지형 바람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ind Field at Local Geographical)

  • 김장환;김응식;김동현;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131-135
    • /
    • 2010
  • 우리나라는 산림이 울창하고 가연성 낙엽 등의 가연성 물질들이 많이 쌓여 있으며, 경사가 급하고 기복이 많은 산지로서 초기진화 실패 시 연소진행 속도가 빨라 급속히 확산 시키는 산악 형 산림으로서 산불 발생 시 진화가 어려워 산불의 확산 속도와 강도를 추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산불이 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에만 초점을 마치고 있는 시점에서 초기 진화에 실패했을 경우 산불이 확산되는 경로와 시간 등을 예측하여 최소한의 인력과 장비를 이용하여 진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경우는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지역의 국부지형 기상인자(풍향, 풍속)를 측정하여 산불이 발생 시 인자별 특성에 따라서 산불의 진행 경로와 산불의 진화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화재 확산 및 피난 통합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시나리오 연구 (Study on Scenario Examining Applicability of Comprehensive Model of Fire Spread and Evacuation)

  • 김태운;이영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37-338
    • /
    • 2008
  • 화재시뮬레이션과 피난시뮬레이션은 일반화 되어있으나 이들을 모두 고려한 통합 시뮬레이션의 모델은 잘 알려진 바 없다. 피난은 화재 상황의 영향을 받으나 그 역은 성립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통합시뮬레이션은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피난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가 피난상황에 영향을 주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과, 그를 위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필수적인 기능과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기본적 경로변경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검토해 본다.

  • PDF

산불대피지도 작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vacuation Map Designing Algorithm in Forest Fire)

  • 김명훈;이병두;김응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89-293
    • /
    • 2011
  •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인접 마을 등에 대한 피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피 대상자들이 재해 약자들로 구성되어있어 산불 대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 대피지도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산불의 진행경로 및 확산에 따른 적정한 대피경로를 제시함으로서 인적 피해를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기반 실시간 자동재난 및 안내방송시스템의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Automatic Disaster an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 이병문;박정인;강운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141-152
    • /
    • 2012
  • 극장이나 대형 빌딩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화재감지기 기반의 피난 유도시스템은 대체적으로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어 화재 발생 시 선로와 센서의 손실로 주 장치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정확한 발화위치 및 화재 진행위치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화재경보 사이렌과 상황에 맞는 최적의 피난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관리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객체지향 기법으로 설계하여 재난안내시스템과 시뮬레이션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실제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화재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건물 내의 LCD에 피난유도를 위한 정보(발생지점, 발생시간, 대피경로)를 출력하는 시뮬레이션프로그램과 연동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염연기 확산경로를 고려한 최적의 재난대피경로를 찾는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 제안한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FFM과 FDS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Fire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FM and FDS)

  • 이재영;이민혁;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6-67
    • /
    • 2018
  • 일반적으로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안전성 진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Floor Field Model)에 반영하여, 보행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회하여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화재의 유무에 따른 출구별 대피인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출구별 대피시간 증감과 병목현상의 심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재화염이 유동 및 $CO_2$소화제 전달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re Plume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 Flow and $CO_2$Extinguishant Transfer)

  • 박찬수;최주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43
    • /
    • 2002
  • 선박기관실과 유사한 공간내로 $CO_2$소화제를 분사했을 때 화재화염이 공기유동 및 $CO_2$소화제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노즐 위치에 따라 유동장과 $CO_2$농도장을 계산하였다. 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재순환 유동이 노즐 좌, 우측영역에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재순환 유동이 질량전달과 $CO_2$소화제 확산경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재화염이 위치한 1층 영역에서는 $CO_2$소화제 확산경로가 재순환 유동 확장경로와 일치하였다.

지하공간의 위험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화재확산평가시스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the Underground Space - focused on Fire Growth Risk Assessment System-)

  • 박종근;노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9-58
    • /
    • 2002
  • 최근 국내·외에서 지하철 공사현장 가스폭발, 지하 공동구 화재, 지하가 화재 폭발 등 지하공간에서의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재산의 손실 뿐 아니라 전력, 통신망 마비로 도시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인명 피해의 대형화를 동반함으로서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이 잠재적으로 갖고 있는 연소확대 위험성을 확률을 이용하여 평균 연소손실면적 예측치를 산출하고, 화재시 화재확산 경로 및 피해 크기를 산출하여 각 방재 대책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