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진압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Proposal about the Vertical Fire Suppression Methods of High-rise Buildings (초고층 수직화재의 진압방법에 대한 제안)

  • Min, Se-Hong;Bae, Yeon-Jun;Nam, Y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63-166
    • /
    • 2012
  • 최근 국내 대도시를 중심으로 초고층건축물이 계획 건립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국내 외적으로 초고층건축물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 소방기술은 그에 대한 어떤 확실한 대안도 갖고 있지 못하다. 2010년 발생한 부산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사례를 통해 고층건물 화재진압의 부진했던 주된 원인과 문제점이 분석되면서, 최근 국내 고층건축물의 화재를 대비한 관련법(건축법, 소방법 등)들이 제정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고층건축물에서의 화재진압방법, 인명구조 및 소방진압장비의 연구 개발의 성과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축물의 외장재를 통한 수직화재 확산방지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진압방법과 인명구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 Gu, Dong-Uk;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Extinguishing A Fire System of DARwIn-Op Using Vision Processing (비전 프로세싱을 이용한 화재진압 DARwIn-OP 시스템)

  • Lee, Eun-Seop;Lee, Dong-Hyung;Kim, Kyeong-Tae;Boloor, Adith Jagadish;Wagoner, Amy;Na, Yo-an-na;Jung, Ju-Eun;Koh, Seok-Joo;Matson, Eric T.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13-816
    • /
    • 2014
  • 이 논문에서, 우리는 휴머노이드 로봇인 다윈에 내장되어 있는 색 접근법을 이용한 비전 프로세싱을 통해 화재가 난 위치에 접근하며, 적정거리에 도달했을 경우, 다윈의 손에 들고 있는 분무기로 화재를 진압 하도록 하는 "화재진압다윈"을 만들었다. 여러 논문에서 화재진압용 로봇들을 소개하였지만, 우리는 다윈이라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아직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을 실용적으로 사용하기에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사다리 타기, 계단 오르기, 장비 다루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리서치에서 시도한 화재진압다윈 역시 실용적인 부분에서는 아직 많은 미흡한 점들이 있지만, 미래의 잠재력에 한발자국 나아갔다는 부분에 있어서 많은 의의를 둔다.

A Study on Fire Suppression Measures Used in Wooden Temples (목조 사찰화재의 유형별 진압대책에 관한 연구)

  • Ko, Gi-Bong;Lee, Si-Young;Chae, 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6 no.4
    • /
    • pp.10-17
    • /
    • 2012
  • This study classifies the fire suppression measures implemented by wooden temple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availability of the pump trucks (water tanks) at the fire sites. And this study outlines the strategies and methods based on each type of fire suppression meas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e suppression strategy applied in general buildings is also employed in temples where pump trucks (water tanks) and fire-fighting water are available. For temples where trucks and water are not available, the helicopter, water bag, fire suppression strategy focused on water supply link,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of a fire engine's level by using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water bladder are used. In addition, general four-wheel-drive vehicles equipped with fire fighting tools such as motor pump, hose, nozzle, and water bladder should be deployed in fire stations around the temples. A fire suppression strategy using A-type ladders is also requir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CMV (TCMV(Tactical Command Monitoring Vehicle) 차량 개발에 관한 연구 )

  • Son, Eun-Su;Choi, Doo-Chan;Kim, G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83-84
    • /
    • 2023
  • 4족 보행 로봇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로봇을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 필요하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군용 작전 지휘 차량을 벤치 마킹하여 화재 진압용 TCMV(Tactical Command Monitoring Vehicl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TCMV를 통해 4족보행 로봇이 화재 현장에 진압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있으며, 아울러 TCMV의 요구사양을 정의 하기 위하여 소방관을 중심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화재 진압의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추후 TCMV에 적합한 차량과 각종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4족 보행 로봇의 화재 진압 기능과 구조 기능을 극대화 하며 새로운 화재 진압 전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for effective water-extinguishment on ship (효과적인 선상 수소화를 위한 소방원 장구 및 화재진압 시나리오 개선에 관한 연구)

  • Sim, Hyo-Sang;Park, Young-Soo;Ha, Wo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00-102
    • /
    • 2016
  • Every crew are in great peril that they should put out a fire on board in person due to a property of ship isolated.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verify whether the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in accordance with present regulations are safe and effective actually.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shore fire-fighter's outfits and fire-fighting scenarios and those on ship and statistics calculation of the place and frequency of the fire of actual ship, present limitations of fire suppression system and fire-fighter's outfits were proved. In addition, derive the distance to the place on ship that has highest frequency of fire occurrence from examining actual ship's drawings according to their description and size. Finally from experiments in more experimental groups by changing numbers of actual fire-fighters and environment and conduction of survey of a number of crew in active service on ship, the most effective fire-fighter's outfits system and fire-fighting scenarios will be derived.

  • PDF

Risk Analysi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Fire Extinguishing Job of Fire Fighters (소방대원의 화재진압작업에 대한 근골격계질환관련 위험도분석)

  • Im, Su-Jeong;Park, Dong-Hyeon;Eom, Su-Hyeon;Choe, Sun-Ye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369-376
    • /
    • 2012
  • 본 연구는 소방대원의 화재진압 업무를 인간공학적 평가도구(RULA, REB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타업종(병원, 자동차업종)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첫째, 소방대원들의 업무 중 화재진압 업무의 인간공학적 작업자세 분석 및 평가하여 극단적인 작업자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요구조자 1인 운반법은 RULA, REBA의 평가결과에서 모두 정밀조사가 필요하고 즉시 개선 조치가 요구되는 4단계로 평가되었다. 둘째, 화재진압 업무와 타업종과(병원, 자동차업종)의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RULA로 평가한 결과 3, 4단계가 차지하는 비율이 72%로 자동차 업종(74%)에서의 평가결과 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병원업종(37%)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REBA로 평가한 결과 3, 4단계가 차지하는 비율이 36%로 병원(9%)과 자동차 업종(24%)에서의 평가결과보다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oducing Firefighting Vulnerability Maps Using GIS - A Case Study of Dalseo-gu, Daegu - (GIS를 이용한 화재진압 취약성 지도 제작 -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사례로 -)

  • KIM, Sung-Jae;CHOI, Gap-Yong;CHANG, Eun-Mi;SONG, W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3
    • /
    • pp.11-20
    • /
    • 2015
  • Fire incidents, which occur every year, cause huge damage to properties and humans. Significant time and costs have been invested in minimizing and responding to such accidents. With the recent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firefighting fiel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bring fires under control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ost of such studies, however, focused on individual analyses of firefighting-related factors, but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vulnerability factors in fire control activities, a major part of firefighting activity, has yet to be done. This study sought to pinpoint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obstruct fire controlling, and to gather relevant data and create GIS-based databases. Based on such database, GIS-based overlay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duce a fire control vulnerability map.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enable a quantitative analysis of firefighting obstruction factors to assist the personnel engaging in firefighting in rational decision-making, such as in formulating a firefighting operation plan for securing golden time.

Experimental & Performance Analysis of an Inert Gas Generator for Fire Suppressing (화재진압용 비활성가스제너레이터 성능해석 및 시험)

  • 김수용;코발레프스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1.04a
    • /
    • pp.86-89
    • /
    • 2001
  • Present study deals with performance analysis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n inert gas generator (IGG) which can be used as effective means to suppress fire. The IGG uses a turbo-jet engine to generate inert gas for fire extinguishing.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less degree of oxygen content in the product of combustion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ire extinguishing. An inert gas generator system with water injection has advantages of suffocating and cooling effects that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fire extinguishing. Some aspects of influencing parameters, such as, air excess coefficient, compressor pressure ratio, air temperature before combustion chamber, gas temperature after combustion chamber, mass flow rate of water injection etc. on the performance of IGG system are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