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장하는 남성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Zaltman의 은유유도기법을 이용한 화장하는 남성들의 이상적 자아와 환상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Ideal-self and the Fantasy of Men Wearing Makeup by Employing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 고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6
    • /
    • 2017
  •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welve men in their twenties and employed the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ZMET) to identify the ideal self-image and fantasy of men wearing make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l self-images of men wearing makeup can be divided into 7 images (well-managed, dissimilar from real identity, masculine, neat, stylish, standing out, and formal). Men who wear makeup pursued an alternative decent image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reality. They want to be manly, attractive, decorous, and eye-catching through a better looking face. Second, men who wear makeup have insecurities about their looks and personalities that creates dissatisfaction with reality and a desire for a different idealistic self. Makeup was the tool to create the other entity. Makeup facilitated a fantasy of becoming another to gain increased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without makeup, they showed a lack of confidence and became intimidated that made them even further dependent on makeup. Third, the process helped participants complete a consensus map that represented the emotional and reasoning structures of men wearing makeup. This study showed 7 ideal self-images of men wearing makeup with a fantasy to create a desired ideal self by wearing makeup. The study can be applied to marketing strategy for men's cosmetics and plates' designs.

남성 화장 특성

  • 김주애;이연희
    • 한국패션뷰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패션뷰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42
    • /
    • 2004
  • PDF

남성화장품 광고의 의미변화 분석

  • 박수진;박길순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78-80
    • /
    • 2004
  • 현대사회는 새로운 문화가 끊임없이 생성되고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되는 가운데 다양한 문화가 동시에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인정하면서 각자의 문화를 발전시켜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남성들의 문화도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사회적 활동 외에 다양한 문화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과거에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져 왔던 패션이나 외모, 피부관리, 화장 등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한 사회적 인식 또한 달라지고 있다. (중략)

  • PDF

역사 속에 나타난 남성 화장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en's Cosmetic through the History)

  • 김주애;이연희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6-101
    • /
    • 2004
  •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resources for men's cosmetic which shows in history. Because not only ancient chief but also modern French noble men made up in the area where succeeded the traditional national cosmetic, when it was seen through historic or world, the men's cosmetic was generated and was more luxurious and presence than women. But since the French revolution, men was limited the collection of fashion, also the luxurious cloth and cosmetic disappeared. It was 1960s that men's cosmetic based rock musicians reappeared. And then, rock musicians made up luxuriously. The early cosmetic of rock musicians began from the protest's meaning for old fashioned value and fixed society. But gradually, it was changed the style that valued appearance's beauty. In the past, movie star's hair style and cloth were the basic fashion, but now the sportsmen are recognized heroes and their cosmetic is prevailing. Today, the basic meaning of men's presence fashion is that men and women's each role and self expression is allowed and appearance's decoration showed from sex roles disappeared. Men is limited body's beautiful expression and collective range but they fluently express each self imagination through work, special hobby, female attire and drag queen. From various men's beautiful expression, we will know that human beings want a society which is recognizing different self expressions.

  • PDF

남성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e-up Behavior and Cosmetics Purchasing Pattern of Male)

  • 이일청;최은미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4-47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ales about make-up and the make-up process, analyze principal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 when purchasing cosmetics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urvey and research into features of cosmetics and their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e male adults living in Jeonju, Iksan and Gunsan cities of Jeonbuk province. Surveyors made direct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from October 21 to 30, 2003 and collected 174 questionnaires from them, which were subsequently put to the final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s of the surveyed showed that 60.9% of them were in the age ranging 30 to 39, 75.3% married, 69.5% undergraduates or graduates, 39.1% self-employed, 25.9% earning more than 3.01 million Won monthly and 43.7% spending less than 10,000 Won a month for cosmetics. Their make-up and purchasing pattern of cosmetics featured that 54.0% of the surveyed use cosmetics for skin care, 54.0% for cleanness and health, 84.5% for foundation(lotion or skin lotion) only, and 60.9% once a day. Out of the surveyed males, 79.3% haven't experienced any adverse side effects after make-up. Of those who experienced, 80.5% named disagreement of cosmetics with skin for the reason. As for kind or symptom of the side effects, 38.8% set forth itching. Among those who had aftermath or intoxication from make-up, 52.8% said they could recover naturally. According to the survey, 57.5% felt somewhat awkward after make-up, but not quite bad though. Thirty-seven point nine percent of the males surveyed replied they cared little about the purpose of male-oriented cosmetics. Quality was raised by 31.0% as the foremost issue to improve. Television turned out to be the main source for 56.9% of the surveyed to get information about cosmetics. For 56.35%, general discount shops are preferred to buy cosmetics and 24.7% of them take ones recommended by salespeople. When buying cosmetics, 47.1% considered color and fragrance most seriously.

  • PDF

노인의 장례문화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funeral culture among the elderly)

  • 송현동;김설희;김광환;구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71-68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장례문화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장수시대, 웰에이징 시대에 맞는 장례문화사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설문은 한국갤럽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조사 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1:1 개별 면접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21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2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유효 연구대상자는 110명이며, 표본추출방법은 성/연령/소득수준/종교별 할당 추출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는 여성이 남성보다 화장을 선호(p=0.034)하였다. 생전장례식은 소득수준(p=0.004)과 종교유무(p=0.020)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죽음에 대한 생각 유무에 따라 상조상품 가입(p=0.008)과 추모식을 진행할 경우 종교단체 귀의 의향(p=0.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웰에이징 시대에 맞는 장례문화산업 방향과 정책 제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남성 아이돌 스타의 뷰티이미지에 대한 연구 (A Study of Beauty Image on Korean Male Idol Star)

  • 윤은재;김혜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51-658
    • /
    • 2012
  • 아이돌 스타는 각종 예능프로그램을 비롯해 라디오, 드라마, 뮤지컬까지 다양하게 활동하는 만능 엔터테이너가 되었으며 팬 층도 10대 여성 중심의 팬 문화에서 20대는 물론 30~40대로 확대되었다. 아이돌 스타의 뷰티이미지를 "우리 결혼했어요" 프로그램 출연 아이돌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는 <표 3과 5>와 같으며 [사진 5]을 통해 이특-강소라 커플과 이준-오서연 커플이 주는 이미지는 비슷했으며, 조권과 황광희의 경우도 까부는 이미지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뷰티이미지는 주로 내추럴한 이미지의 메이크 업를 하였으며 헤어스타일과 헤어염색을 통해 이미지를 변화시켰다. 이준의 경우는 스모키 화장을 음반이나 프로그램 속에서 보여 주었다. 아울러, 각 아이돌 그룹들은 각자의 고유 스타일 고수보다는 발표되는 음악에 맞춘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울, 신체화, 턱기능장애가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만성통증척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Depression, Somatization, and Jaw Disability on Graded Chronic Pain in TMD Patients)

  • 김철;신은섭;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53-360
    • /
    • 2005
  •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을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서 심리학적 상태 및 턱기능장애의 정도가 통증의 정도 및 지속기간, 통증과 관련된 일상생활 장애의 정도 및 기간, 만성통증척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RDC/TMD axis I criteria에 따라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평균연령 30.1$\pm$12.5 세인 93 명의 환자들(남성 17명, 여성 76명)을 대상으로 RDC/TMD axis II 병력 설문지를 작성하게 한 뒤, 우울증점수, 신체화장애점수, 턱기능장애점수와 만성통증척도의 통증 강도, 통증 지속기간, 통증과 연관된 장애 점수, 통증과 연관된 장애의 기간 및 만성통증척도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93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서 만성통증척도의 경도의 장애를 보이는 군 (low disability group, grade I and II)은 42.0% 이었으며, 심도의 장애를 보이는 군 (high disability group, grade III and IV)은 51.5% 이었다. 2. 우울증점수는 통증 강도, 통증 지속기간, 통증과 연관된 장애 점수, 통증과 연관된 장애의 기간, 만성통증척도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신체화장애점수는 통증 강도 (p<0.01), 통증과 연관된 장애의 기간 (p<0.01), 만성통증척도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통증 지속기간이나 통증과 연관된 장애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턱기능장애점수는 통증 강도 (p<0.001), 통증과 연관된 장애의 기간 (p<0.01), 만성통증척도 (p<0.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통증 지속기간이나 통증과 연관된 장애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신체화장애와 턱기능장애는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 및 장애의 정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환자가 호소하는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기능장애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