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용론적 시각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3초

지하 시각요소의 표지기능(標識機能)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하철 및 지하역(驛)의 환경그래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ization of the Underground Visual Elements as a Signification-Function -Focus on the Environmental Graphics of the Subway Vehicle & Station in Seoul City-)

  • 김경만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53-162
    • /
    • 1996
  • 지하공간은 방위감각의 상실에서 오는 위치적 제한으로 인공적 표지환경에 의해 위치 및 행동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부정적 환경요소가 많다. 따라서 시각언어로서의 환경그래픽이 대중적 표지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상징적 의미의 기호이론에서 연구되어야 하나 안목의 활용형태가 반복되고 지하철 관리체계의 다원화로 체계적 관리가 소홀하여 시각언어로서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연구의 결과, 형태의 원인으로서 제공되는 시각적 지하 환경요소는 시각언어의 Communication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연구의 기초 위에서 도입, 관리되어야 한다고 보며, 따라서 지하 환경그래픽을 행태 유도 적 표지기능의 기호현상으로 볼 때 통사론적 기호현상과 은유적 표현으로서 화용 론, 활용형태로서의 의미론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한다. 특히 색채언어, 형채 언어 등 시각적 환경요소가 내포적 의미의 보편적 표지기능이 되기 위해서는 뚜렷이 구분되는 시각언어가 활용되어야 한다.

  • PDF

중국어 말하기 교재 속의 인칭직시에 대한 일고 - '아문(我們)'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n deixis on the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ocused on Women(我們))

  • 박찬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309-330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Women(我們) on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and also suggest that Chinese class need to impose pragma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s 35 Womens in 42 conversation units on three Chinese textbooks Hanyu Kouyu vol.1~3 at first. Women is more contributed on 'exclusive Women' among three categories (inclusive, exclusive, borrowed) than other two categories, is also contributed on 'symbolic usage' than 'gestural usage'. Second, this paper examines patterns of Women on the three categories. It shows: first, 'inclusive Women', 'exclusive Women', 'borrowed Women' all show up on the textbooks even though on the textbook vol.1(for beginner) surprisingly; Second, 'exclusive Women' may be a primary one of three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verage of Women. Women covers those who are related with the speaker regardless of being on the spot, and also covers those which the speaker belongs to, for example, nationality, ethnicity etc.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speaking course, from now on, needs to consider pragmatic factors including existing semantic and syntactic factors, and from the pragmatic perspective, impose 'action'(including speech act, body gesture etc.) on Chinese conversation class for the learners' improvement in Chinese speaking.

미국 드라마에서 사과 언어의 문화적인 분석 연구 -<위기의 주부들>을 중심으로- (Cultural Analysis of Apology in American TV Series -Taking Desperate Housewives as an Example-)

  • 쑨리리;신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5-91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사과 언어 분석에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문화간 의사소통 시각에서 국가별 사과어의 비교연구와 일상어로 국한하여 사과 언어를 분석하고 있는 한계가 있어, 사과전략에 대한 화용론(語用論)과 문화해석 이론을 도입하여 미국 드라마 <위기의 주부들> 시즌 7에서 나타난 사과 언어와 사과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트로스보리(Trosborg)의 사과 전략유형으로 <위기의 주부들> 시즌 7에서 나온 사과 전략에 대한 정리, 분류 및 통계처리 후 200개의 사과 전략을 무작위로 뽑아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과의 표현' 전략의 사용 빈도가 64.0%, '설명하기'와 '무례함의 정도 최소화'가 뒤를 이었다. '책임인정', '보상 제공', '청자에게 관심 표현하기'와 '재발방지약속'의 사용 빈도는 비교적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높은 개인주의, 비교적 낮은 권력의 거리와 낮은 컨텍스트 문화가 사과 전략의 사용 빈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사과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미국인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에서 올 수 있는 무례함을 줄이며, 문화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드라마 예술에서의 언어 분석을 함으로써 드라마 예술의 연구 범주를 보다 풍부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 수정>의 아이러니 미학 - 반복과 차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s of irony in repetition and the difference of Oh! Soojung)

  • 서명수
    • 기호학연구
    • /
    • 제57호
    • /
    • pp.121-153
    • /
    • 2018
  • <오! 수정>은 내용의 관점에서 보면 남성중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확대 재생산하는 영화이다. 남성중심주의는 의미의 초점이 전제내용, 즉 /재훈은 부자이고 수정은 순종적이며 처녀이다/에 맞추어질 때 발생한다. 언어의 다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전제 내용은 집단의 목소리이다. 때문에 집단적 가치를 대변하고 강요하는 모든 문화는 이 전제내용에 의미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내용의 측면이 아니라 디에제스를 제시하는 방식의 관점에서 <오! 수정>을 보면, 이 영화는 오히려 남성중심주의를 조롱하고 비판하고 전복시키고 있다. 이 말은 이 영화가 바로 이 전제내용을 아이러니화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제내용의 아이러니화는 언술 자체가 무효화될 때 발생하는데, 마찬가지로 <오! 수정>의 아이러니화도 디에제스 자체, 즉 /재훈과 수정이 연인관계가 되었다/가 무효화될 때 발생한다. 아이러니는 언술에 아무런 의미론적 표시가 없기 때문에 순수 화용론적 방법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오! 수정>의 아이러니도 내부의 목소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외부의 목소리에 의해서 해석된다. 외부의 목소리란 디에제스가 구축되는 방식, 즉 초점화와 시각화와 청각화의 문제들이거나, 디에제스가 제시되는 방식, 즉 순서와 반복 또는 플롯의 문제들을 말한다. <오! 수정>은 재훈의 기억과 수정의 기억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반복의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 반복은 동일한 반복이 아니라 차이를 동반한 반복이다. 차이는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디에제스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게 한다. 하지만 곧 재훈과 수정 사이에 누구의 기억이 옳은지 판단할 수 없는 혼란에 빠지게 하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의심하게 한다. 반복은 동일자를 부정하는 무한반복에 의하여 디에제스 자체를 무효화시키고 관객의 지식도 무효화시킨다. <오! 수정>은, 디에제스를 통해 구축된 관객의 지식이 반복과 차이의 구조에 의한 무효화되면서, 의미의 아이러니화가 일어나는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