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esthetics of irony in repetition and the difference of Oh! Soojung

<오! 수정>의 아이러니 미학 - 반복과 차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 서명수 (중앙대학교 프랑스어문전공)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In terms of the story told, we see that Oh! Soojung(Virgin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is a film of the ideololgy of masculinity.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anner of presenting story, Oh! Soojung is a film that aims to devalue this ideology. How will it be possible? This is the principle of the irony that the speaker, by saying P, wants to make Q listen that devalues and contradicts P. Our study is temp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irony in the film. The ideology of the film occurs when the presupposed contents have become the subject. For example Cendrion who tells a story of a girl married to a prince presupposes that the girl, Cendrion, is obedient. The subject of this story is that the presupposition: /the girls who want to be happy must be obedient/, which represents the ideology of masculinity. Presupposed content thus imposes on the public a collective and conservative value, as its enunciator belongs to the collective voice. Since ironisation occurs when the utterance itself is annulled, one must also deny or cancel the story told of Oh! Soojng: /Jeahun who is rich and Soojung who is obedient and virgin have become lovers/. Since there is no semantic mark within the utterance, irony is a voice that comes from without; this is how we understand irony in a purely pragmatic way. The outer voices are two things: the way to build the story: question of focusing, ocularization and auricularization, and the way to present the story: question the order, the frequency or the plot. Our study is focused on the question of frequency at Oh! Soojung which has a repetition structure in which the memory of Jeahun and that of Soojung are represented one after the other. Since the memories of two characters are not identical, the repetition is accompanied by differences. The differences at first allow the public to build their own story from the di?g?se of the film and then make the audience fall into confusion where we can not be certain of what we see and know in the di?g?se of the film, and finally make their knowledge questionable. About repetition, so that it can have validity in terms of the informativeness of the utterance, it must deny the existence of the previous repetition. This is how repetition cancels itself and consequently the utterance. We see that the irony of Oh! Soojung occurs by repetition with differences that cancels the story of the film.

<오! 수정>은 내용의 관점에서 보면 남성중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확대 재생산하는 영화이다. 남성중심주의는 의미의 초점이 전제내용, 즉 /재훈은 부자이고 수정은 순종적이며 처녀이다/에 맞추어질 때 발생한다. 언어의 다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전제 내용은 집단의 목소리이다. 때문에 집단적 가치를 대변하고 강요하는 모든 문화는 이 전제내용에 의미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내용의 측면이 아니라 디에제스를 제시하는 방식의 관점에서 <오! 수정>을 보면, 이 영화는 오히려 남성중심주의를 조롱하고 비판하고 전복시키고 있다. 이 말은 이 영화가 바로 이 전제내용을 아이러니화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제내용의 아이러니화는 언술 자체가 무효화될 때 발생하는데, 마찬가지로 <오! 수정>의 아이러니화도 디에제스 자체, 즉 /재훈과 수정이 연인관계가 되었다/가 무효화될 때 발생한다. 아이러니는 언술에 아무런 의미론적 표시가 없기 때문에 순수 화용론적 방법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오! 수정>의 아이러니도 내부의 목소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외부의 목소리에 의해서 해석된다. 외부의 목소리란 디에제스가 구축되는 방식, 즉 초점화와 시각화와 청각화의 문제들이거나, 디에제스가 제시되는 방식, 즉 순서와 반복 또는 플롯의 문제들을 말한다. <오! 수정>은 재훈의 기억과 수정의 기억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반복의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 반복은 동일한 반복이 아니라 차이를 동반한 반복이다. 차이는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디에제스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게 한다. 하지만 곧 재훈과 수정 사이에 누구의 기억이 옳은지 판단할 수 없는 혼란에 빠지게 하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의심하게 한다. 반복은 동일자를 부정하는 무한반복에 의하여 디에제스 자체를 무효화시키고 관객의 지식도 무효화시킨다. <오! 수정>은, 디에제스를 통해 구축된 관객의 지식이 반복과 차이의 구조에 의한 무효화되면서, 의미의 아이러니화가 일어나는 영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