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산지역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오대연지의 화산호

  • 김석주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121-123
    • /
    • 1994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본 지역에는 제4기이래에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여 있는데 그 중심부위에는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개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지역의 면적은 막 800$\textrm{km}^2$ 가 되는데 지형상에서는 주로 화산추와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의 형성시대가 다르고 자연경관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자연적인 화산박물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

오대연지의 화산호 풍경

  • 원일평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91-94
    • /
    • 1997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본 지역에는 제4기이래에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심 부위에는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 개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지역의 면적은 약 800$km^2$가 되는데 지형상에서는 주로 화산추와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의 형성시대가 다르고 자연경관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자연적인 화산박물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

오대연지의 화산호 풍경

  • 임철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114-117
    • /
    • 1994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본 지역에는 제4기 이래에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위에는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개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지역의 면적은 약800$\textrm{km}^2$가 되는데 지형상에서는 주로 화산추와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의 형성시대가 다르고 자연경관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자연적인 화산박물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Volcanic Landscape of the Five - Large - Lake, Heukryonggang - Seong (흑룡강성 오대연지의 화산지형)

  • 위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9
    • /
    • pp.67-72
    • /
    • 1997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오대연지 주변에는 제 4기 이래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화산의 용암이 흘러 하천을 가로막아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 개의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연구는 오대연지와 그 주변의 화산지형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본 지역은 국내ㆍ외에서 보기 드문 천연적인 화산 박물관으로서 일반적인 관광지로는 물론 화산에 관한 학술연구 활동을 진행하는 훌륭한 장소로 될 수 있다. 둘째, 본 지역의 개발에 있어서 교통조건을 하루 빨리 개선해야 한다. 하얼빈부터 덕도현성까지의 관광열차를 개통하고 오대연지의 관광서비스 시설을 늘려야 하며, 관광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재를 많이 양성하여야 한다. 넷째, 생태환경을 잘 보존하여야 하며, 화산지역에서의 건축용 석재 채굴을 하루 빨리 중지시키고, 관광객이 화산석을 마구 채취하는 행위를 방지해야 한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 Xiao-Jiao, Ni;Choi, Yun Soo;Ying, N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77-87
    • /
    • 2014
  • Recently there are many disaster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such as the eruptions in Tungurahua, Ecuador(2014) and $Eyjafjallaj\ddot{o}kull$, Iceland(2010).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disa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Baekdu Mountain area, where is the risky area because it is active volcano, based on the observed data and scientific methods in order to assess a risk, produce a hazard map and analyze a degree of risk caused by the volcano. Firstly, it is reviewed for the research about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eruption in 1215(${\pm}15$ years) done by Liu Ruoxin. And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 environmental effects, and vulnerability of Baekdu Mountain are assessed by the dataset, which includes the earthquake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deformation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fluid geochemical monitoring data, and the socio-economic statistics data. A hazard, especially caused by a volcano, distribution map for the Baekdu Mountain Area is produced by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e map is used to establish the disaster risk index system which has the four phase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re very high risky area when the Baekdu Mountain erupts, and the third and fourth phases are less dangerous area. The map shows that the center of mountain has the first phase and the farther area from the center has the lower phase. Also, the western of Baekdu Mountain is more vulnerable to get the risk than the eastern when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s are equally applied.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lower sta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the higher vulnerability.

제주도 용암동굴의 성인과 특성

  • 박병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15-16
    • /
    • 1981
  • 우리나라의 용암동굴은 주로 화산지역인 제주도에 분포한다. 이 화산지역에서 화산이 분출할 때는 유동성 있는 현무암 용암에 의하여 이른바 용암동굴(Lava tunnel)이 형성 되는 것이다. 즉, 지하에 깊이 잠겨 있던 마그마가 그 분출의 위력에 부수되어 화구에서 지표로 밀려나온 것을 용암 또는 라바(Lava)라고 한다.(중략)

  • PDF

제주도의 기생화산의 형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 이수진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8-14
    • /
    • 1981
  • 본 연구 대상지역인 제주도는 신생대 제3기말에서 제4기에 걸쳐 형성된 화산도로 비교적 형성시기가 새롭고 침식이 미약하여 화산 원지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화산지형 연구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다. 본도에서는 주화산체인 한라산과 400여개에 달하는 기생화산으로 되어 있다.(중략)

  • PDF

제주 북서사면 용암동굴의 화학분석

  • 최무웅;임종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3
    • /
    • pp.13-22
    • /
    • 1986
  • 화산활동 지역에서는 lava의 점성, 산도, 화산체로 부터의 공급량, 기반의 경사등에 의해 다양한 화산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제주도 역시 과거 지질 시대를 통하여 수차례의 화산활동이 있었기 때문에 화산체를 중심으로 그 주변 지역에 용암동굴이 산재되어 관광 자원으로 큰 목을 하고 있는 동굴은 금령의 만장굴과 협재의 협재굴등이 그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규모 역시 세계적이라고 사료된다. (중략)

  • PDF

An Analysis on Influence Area by the Simulation over Mt. Baekdu Eruption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 Kim, Nam-S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3
    • /
    • pp.348-356
    • /
    • 2011
  • Someday Mt. Baekdu could erupt by records of orogeny activity until today. This study is to predict influence area of lava flow and volcanic ash by simulation of volcanic eruption in the Mt. Baekdu. Simulation for eruption applied to supposing 7 grade of volcanic explosivity index, season from fall to spring. As a simulation results, lava flewed down into slope of China and volcanic ash diffused over the North Korea. Volcanic ash spreads to Ulneung area after nine hours. It was predicted that 61 cities and villages out of 27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Gun were affected by volcanic ash in North Korea and an immense volume of volcanic ash was blown into farm lands, city areas and forests. This results expected to utilize information for disaster preparation of North Korea and joint research with South-North Korea and China.

  • PDF

Detection for Region of Volcanic Ash Fall Deposits Using NIR Channels of the GOCI (GOCI 근적외선 채널을 활용한 화산재 퇴적지역 탐지)

  • Sun, Jongsun;Lee, Won-Jin;Park, Sun-Cheon;Lee, Duk K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6_4
    • /
    • pp.1519-1529
    • /
    • 2018
  • The volcanic ash can spread out over hundreds of kilometers in case of large volcanic eruption. The deposition of volcanic ash may induce damages in urban area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order to respond volcanic hazard, it is necessary to estimate efficiently the diffusion area of volcanic a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situ volcanic deposition and satellite images of the volcanic eruption case. In this study, we used Near-Infrared (NIR) channels 7 and 8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images for Mt. Aso eruption in 16:40 (UTC) on October 7, 2016. To estimate deposit area clearly, we appli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a series of morphology filtering (Eroded, Opening, Dilation, and Closing), respectively. In addition, we compared the field data from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 report about Aso volcano eruption in 2016. From the results, we could extract volcanic ash deposition area of about $380km^2$. In the traditional method, ash deposition area was estimated by human activity such as direct measurement and hearsay evidence, which are inefficient and time consuming effort. Our results inferred that satellite imagery is one of the powerful tools for surface change mapping in case of large volcanic eru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