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 관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화물위치추적 기술 현황 및 개발 방향

  • 박남규;최형림;송근곤;오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9.10a
    • /
    • pp.199-20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의 화물차량위치추적시스템의 개발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다. 화물위치추적 시스템이란 이동하는 화물차량으로부터 위치데이터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센터에서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두고 화물위치 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화주, 운송회사 등 육상물류관련 기관에서 화물위치추적, 공동수배송, 화물차량 통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물차량위치추적시스템은 AVLS(Automatic Vehicle Location System)라 불리우면서 산업계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위치획득 방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AVLS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수신, DGPS(Differential GPS) 기지국,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Cell, 도로기반 시설에 포함되는 비콘 등의 방법에 의해 AVLS는 구현되고 있다. AVLS는 정보통신 요소 기술과 정보통신 기반 시설로 구성되는데, 정보통신 요소기술로는 위치획측의 매개체인 AVL단말기와 관제시스템 S/W. 그리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가 있고, 정보통신 기반 시설로는 차량의 단말기와 관제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중계를 담당하는 네트워크가 있다. 화물차량위치추적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구비요건으로 중계망의 안정성과 신뢰성, 획득한 위치데이터의 정확성, 관제시스템의 완성도와 AVL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GIS S/W개발을 위한 Map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S Cell 방식에 의한 위치결정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것은 PCS망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이며 인터넷 단말기로 확장 가능한 PCS 단말기를 사용해서 위치추적을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선정하게된 배경은 단말기아 망 이용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현실적으로 트럭이 쉽게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인터넷 단말기를 활용하여 차량과 관제센터사이에 메시지 전송 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Synchronization Phenomenon between Export Weight & Control Volume, Inland Cargo, Export Cargo, Ship Departure (수출중량과 관제탑관제량, 내항화물입항, 수출화물수송 그리고 선박출항과의 동조화현상)

  • Kim, Shin-Joong;Choi, Soo-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195-20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weight and control volume, inland cargo, export cargo transport, ship departure. The analysis period were used for a total of 113 monthly data from January 2011 to May 2020. Data were retriev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f the Statistics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numerical analysis, index analysis and model analysis using the rate of change from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In the trend of the increase rate, the amount of control has plummeted from 150% to 60% due to the influence of Corona 19 in the beginning of 2020. At the same time, export weight and export cargo transport also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ort weight showed relatively high synchronization with export cargo transport and control volume. On the other hand, export weight and inland cargo showed relatively low synchronization. Export weight is expected to continue in 2020 after the fluctuation rate began to decrease after 2019. If we can find the point of rebound in control volume or export cargo transport in the future, we can predict the point of increase in export weight. We expect to see an increase in export weight as soon as possible.

컨테이너 화물 안전수송을 위한 관제 및 운용기술 개발에 관한 소비자 만족도

  • Ha, Chang-Seung;Hwang, Seok-Jun;Son, Bo-Ra;Yang, Hyeok-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95-97
    • /
    • 2012
  •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컨테이너화물 안전수송 분야의 정보시스템의 역할에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 진행중인 '컨테이너 화물 안전수송을 위한 관제 및 운용기술'시스템이 사용자 중심의 컨테이너화물 안전수송 정보제공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과정에서 느끼는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신뢰 및 구매의사 결정 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제공되는 정보들에 있어서 중요도 순위를 알아보았으며, 추가적으로 실용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어떠한 것들인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VTS 관제 최소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ng;Park, Yeong-Su;Park, Jun-Mo;Kim, Dae-Won;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14-116
    • /
    • 2011
  • 해상교통 관제 서비스는 해상교통량의 폭주, 위험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 효율성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통항서비스로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하여 선박에서 항해의사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로 안전한 해상교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전 연안 및 항만에서 운영하고 14개소의 VTS 및 연안 V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TS 관제사는 선박운항자와 마찬가지로 관제하고 있는 항만이나 연안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선박과 선박 사이 및 선박과 육지(장해물)와의 최소안전거리를 두고 관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VTS 관제사들이 관제하는 안전이격거리를 개인별로 조사함으로써 VTS 관제사간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같은 VTS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별로 관제하는 최소안전거리가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TS 운용 콘솔 상 해상교통위험도 도입 제안에 관한 연구

  • 김소라;박영수;김대원;김영신;박상원;박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53-53
    • /
    • 2023
  • 현대 사회에서 해상 운송은 전체 화물 운송의 약 80%를 차지하는 국제 무역 및 경제 활동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에 따라 선박 교통 관제는 해상 안전과 운송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보다 안전한 해상 운송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선박 교통 관제 시스템이 필수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박 교통 관제 시스템인 VTS 운용 콘솔 상 해상교통위험도를 시각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우선, 현 관제사를 대상으로 시선 추적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관제사의 시선 분포를 통해 주요 관찰 대상과 작업 우선순위 등을 살펴보았다. 이후 동일한 해역에 동일한 시간대의 교통 밀도와 해상 교통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관제사의 시선 추적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제사의 의사 결정과 수행 업무를 지원하는 것이 해상 교통 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래에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 운송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RS를 이용한 선사운항관리실 운영에 따른 해상교통관제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An,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8-100
    • /
    • 2011
  • 울산항은 입출항 선박의 항행안전을 위해 1996년 9월부터 해상교통관제실(VTS)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물동량으로 빈번한 선박통항과 액화가스, 케미컬 등의 위험화물운송선박의 통항 등의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개항장이다. 특히 현대 미포조선소와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조선소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운송하는 예 부선들의 빈번한 운항은 울산항의 안전한 물류유통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실에서는 레이더사이트의 운항선박에 대한 데이터, PORT-MIS의 선박관련 데이터 및 최근 선박자동식별장치(AIS)의 데이터 등 많은 정보들에 의해 운항 선박들의 항행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주로 운송하는 울산항의 (주)보성해상개발에서 TRS를 이용한 자체 운항관리실을 운용하여 운송효율과 안전운항을 노력하고 있는 상황과 그 결과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그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 PDF

A Basic Study on Vessel Traffic Service Area and the Marine Traffic Dangerous Degree of Korean Ports (우리나라 항만의 해상교통 위험도와 해상교통관제구역 기초 조사에 대한 연구)

  • Park, Youngsoo;Seo, H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54-356
    • /
    • 2013
  • This research analysed the marine traffic dangerous degree of korean ports by using the number of passing ships, the passing ratio of large ships and the occurrence number of marine accident. Also, it investigated the basic parameters as the number of sector or area of vessel traffic service area, and it examined the proper design compared the traffic dangerous parameters with the present area number of VTS.

  • PDF

남동부해역의 통항량 및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관제 방안

  • Jo, Gi-Jeong;No, Jeong-Su;Park,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88-190
    • /
    • 2013
  • 국제 해상물동량(해상화물 수송량은 10년 사이에 매년 평균 4.3%씩)의 증가에 따라 해양사고의 발생 빈도도 높아지고 있으며, 사고의 규모도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선박 위험도 저감을 위한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운영되고 있지만, 대부분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충돌위험 등을 분석하고 있고, 선박간의 충돌 외의 선박의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는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해상에서의 통항량 및 10년간 사고를 분석하여, 충돌등 사고가 많은 남동부 해역(여수/통영/진해)의 통항패턴, 교차구역 및 해양사고 특성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라 Sector별 특징적 집중 관제 방안을 마련하여, 선제적 안전 서비스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ontainer Terminal Control System (컨테이너 터미널 종합 관제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최장림;신재영;김종렬;김정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8.10a
    • /
    • pp.353-357
    • /
    • 1998
  • 과거의 터미널은 사회 간접자본으로서 수출입 화물을 처리하는 항만의 기능을 중요시하여 왔다. 하지만 21세기를 맞이하는 지금에 와서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내는 전략산업으로서 보다 많은 이익을 위해 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터미널 종합 관제 시스템은 보다 지능화 되어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시스템 스스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만들어 내고 이를 실제의 운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터미널에 도입되어 있는 시스템은 단순히 현재의 터미널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문제를 검출하고 해결하기보다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문제가 생긴 상황을 파악하는 용도로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기술하고자 하는 지능형 종합 관제 시스템은 이러한 용도를 넘어서 시스템 스스로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시스템이 스스로 찾아내고 이를 직접 지시하여 터미널에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주는 시스템이다.

  • PDF

항만용 자율협력주행 동적지도(LDM) 및 관제용 위치인식 설계 방안 연구

  • Kim, Gil-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57-158
    • /
    • 2020
  • 항만용 자율주행 야드트럭운행 환경은 무신호교차로 주행, 낮은 GPS정확도, 악천후상황주행, 이송 컨테이너 위치변경등과 같이 일반 도로의 센서기반의 자율주행차량 운행과 다르게 매우 복잡하다. 이를 위해서는 항만내 특성을 반영한 실시간 위치, 속도 등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 센서융합과 V2X기반의 복합적인 항만용 실시간 로컬 동적지도 (Local Dynamic Map) 생성 및 V2X기반의 협력측위를 통하여서 기존의 독립적인 자율주행차량의 위치 인식보다 더 개선된 고정밀 위치 인식 정보추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항만용 동적지도 생성관리시스템의 설계 방안 및 협력측위 기술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항만 구역내 자율주행차량 및 모든 화물 이송장비들의 실시간 위치 인식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사전 충돌예측 및 비상정지 안전 제어 가능한 V2X 기반의 인텔리젼스 한 3차원 관제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