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수송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Hinterland of Air Freight Transportation at Sachon Airport, Korea (사천공항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배후지)

  • 장재구;한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53-75
    • /
    • 2000
  • 본 연구는 사천공항에 있어서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공항의 배후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선 화물수송량에 의해 제4계층에 속하는 사천공항의 탑재 화물수송은 그 배후지가 남서부 경남지역으로 핵심 배후지와 주변 배후지로 구성되는 공간구조를 나타내며, 주로 어묵과 화훼를 탑재하고 감규을 간재하는 기능을 가지고, 탑재화물 중심의 편하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계절별(6.12월).요인별.편별 항공 화물수송량의 시간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e Logit Models from Choice-Based Freight Data (선택기반 화물데이타를 이용한 개별로짓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Nam K.C.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7 no.1
    • /
    • pp.25-42
    • /
    • 1993
  • 지난 20여년간 화물수송 분야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수송 공급 측면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기술적으로 앞선 수송수단들이 등장했으며, 수송 수요 측면에서는 로지스틱스 개념의 도입으로 화주들의 보다 높은 수송 서비스가 요구 되었다. 수송수단의 수송 분담에 있어서도 특히 철도에서 공로로의 두드러진 화물이동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송 현안 해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화물수송수요 예측기법의 이론적, 개념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그 중 두드러진 발달은 화주의 행태를 반영하는 행태모형의 개발과 새로운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형태이다. 전통적으로 화물수송 및 교통 연구에 널리 사용된 행태모형은 확률표본을 사용하여 왔으나, 80년대 부터 비확률 표본 사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자료자체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자료수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화물수송 분야에서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두 편이 발표 되어 있다. 따라서 볼 연구는 선택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선택모형의 잠재력을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네 종류의 제조품 그룹을 대상으로 기반근거 데이터를 수집하여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추정결과를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 하였다. 추정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직관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그 결과는 문헌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수송계획에 있어서 자료수집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생각할 때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PDF

Th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 Focused on Container, Cement, Steel - (철도의 수송경쟁력 분석 -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 Kim, Eun-Mi;Park, Dong-Joo;Ko, Young-Se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43-2358
    • /
    • 2008
  • The modal spilt for road has been increased, but, for railroad it has been decreased from 17.2%(1990) to 6.3%(2006). It is important to study on improving competition for railroad transportation so that freight transport industry for railroad which is getting to decrease in Korea will be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compared with road by providing a high-speed railway. The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are determined. The main influenced factors for mode choice include transport cost, transport time, level of service. Precisely, three commodities type, container, cement, steel, are analyzed.

  • PDF

The Study on the Situations and Analysis of Rail Freight in Japan and Policy Implication (일본철도화물수송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Lee, Yong-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177-193
    • /
    • 2004
  • 최근의 화물자동차파업사태 등으로 우리나라 물류체계의 경쟁력제고를 위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친화적이며, 사회적 비용이 저렴한 철도화물의 수송분담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물류체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도로운송량의 증가보다 트럭의 공급과잉으로 트럭운송사업자의 수익은 매우 낮고, 철도, 해운 등 대량운송수단의 분담율이 낮아 전체적인 수송효율성이 낮은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트럭의 과잉공급을 억제하고, 제조업 물류비 중 46.5%를 점하고 있는 운송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핵심적인 방안이라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철도화물의 활성화와 우리나라의 철도구조개혁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우리와 지형조건이 비슷하고, 1987년에 철도민영화를 시행하여 현재 16년이 경과한 일본철도화물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문제점을 밝히고 또한 우리나라의 철도화물수송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1987년 민영화 이후 일본철도화물수송현황을 보면 영업거리, 화차대수를 포함한 수송능력 감소로 수송량은 감소하였으나, 화물수송의 장거리와 추세와 컨테이너수송량의 증가, 인력감축으로 영업성적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경영면에서는 낮은 생산성 그리고 노후장비 등으로 인한 높은 설비투자비지출, 선로사용료 등의 부담 등이 지적되었다. 운영상에서는 현재 선로를 소유하지 못하여 네트워크가 부족하여 자유로운 열차편성이 어렵고, 포워더 기능이 없어 현재 전체물량의 85%를 점하는 소운송구간에서 다른 운송주체간의 수송으로 일관수송서비스에 어려움이 있으며, 직접적인 영업을 하지 못하여, 새로운 수요창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는 먼저 정부의 인프라에 명확한 책임분담과 이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철도화물활성화의 정책수립필요성의 배경에는 철도화물수송이 효율성과 환경친화성, 높은 안전성 등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때문이다. 철도화물운송회사도 현재의 수송기능과 함께 포워더로서의 기능을 가져야 할 것이며, 운임인하노력과 속도향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야 할 것이다.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and Hinterland of Air Freight Transportation at Sachon Airport, Korea (사천공항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배후지)

  • Jang, Jae Gu;Han, Ju 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63-63
    • /
    • 2000
  • 본 연구는 사천공항에 있어서 항공 화물수송의 시·공간적 특성과 공항의 배후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선 화물수송량에 의해 제4계층에 속하는 사천공항의 탑재 화물수송은 그 배후지가 남서부 경남지역으로 핵심 배후지와 주변 배후지로 구성되는 공간구조를 나타내며, 주로 어묵과 화훼를 탑재하고 감규을 간재하는 기능을 가지고, 탑재화물 중심의 편하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계절별(6·12월)·요인별·편별 항공 화물수송량의 시간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Focused on Container, Cement, Steel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 철도의 화물수송경쟁력 분석)

  • Kim, Eun-Mi;Park, Dong-Joo;Ko, Young-Seung;Kim, Hyun-Seung;Park, H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613-622
    • /
    • 2009
  • The modal spilt of highway has been increased and the one of railway has been decreased from 17.2%(1990) to 6.3%(2006).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of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with the highway so that countermeasures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could be suggested. For this, firs of all,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transport are determined.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for mode choice include transport time, transport cost and level of service. Three types of commodity, container, cement and steel are the target fo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is weaker compared with highway even for the main freight origin-destination pairs. It means that the freight transport system is focused on road rather than railroad. Therefore, we need to remeasur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related to methods for freight railroa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Development of a Behavioral Mode Choice Model for Road Goods Movement (형태요소를 적용한 화물수송수단 선택 모형의 개발)

  • 최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03a
    • /
    • pp.95-109
    • /
    • 1999
  • 기존의 추정된 화물 수요모형은 화물의 출하특성과 관련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송수단 선택 과정에서 화주가 느끼는 실제의 인식 상황을 모형내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화주가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느끼는 인식상황을 모형 내에 적용시켜 수단 선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188개 제조업체에서 화물자동차로 출하한 내수용 화물이며, 연구의 범위도 현실 운송체계 내에서 화주의 수단선택 행태를 설명하는 단기간의 예측으로 제한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우리나라의 공로화물수송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출하중량까지를 고려한 다항로짓모형 형태이면서 인식 요소를 행태변수로 추가한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요한 설명 변수들의 탄력성과 화주의 인식 요소에 대한 특성값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용성 측면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한 것과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먼저 직접활용이 가능한 것은 수송수단과 관계된 변수들을 해석하여 얻는데,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에 대한 계수값의 크기와 부호, 그리고 탄력성은 정부의 정책부서나 운송인의 계획수립에 직접 적용된다. 다음으로 화주의 인식 요소는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며 각 요소가 갖는 탄력성 및 특징은 운송인의 고객관리 기준이된다.

Development of Logistics Facility Location Determination Model (물류 단지 입지 결정에 관한 모형 개발)

  • 홍성령;오세창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07-507
    • /
    • 1998
  • 화물 수송은 상품의 생산과 소비에 직결되어 있으며 원활한 화물 수송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우리 나라는 그 동인 지속적 경제 성장으로 인한 경제 규모가 확대되면서 화물 수송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화물 수송 수요의 증가 추세에 비해 물류 단지의 확충에 위한 적절한 투자 및 정책 등이 결여되어 왔다. 그러므로, 경제 및 산업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물류 단지를 파악하고 물류 단지 입지 결정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토대로 적정 입지를 결정하고자 한다. 물류 단지 입지에 관한 문제의 주요 관심 대상은 수송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빠른 수·배송을 이루어지게 하는 효율적 수송 입지 단지를 찾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 단지의 적정 위치 결정을 위하여 혼합 정수 모형을 이용해서 수송비용과 차량 경로를 고려한 수학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모형을 공로부문의 수송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의 여러 물류 단지 후보 지역에 적용하고 적정 물류 단지를 찾고자 한다.

  • PDF

Algorithm for Freight Transportation Performance Estimation on Expressway Using TCS and WIM Data (TCS 및 WIM 데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화물수송실적 산정 알고리즘 개발)

  • Youjeong Kang;Jungyeol Hong;Yoonhyuk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3
    • /
    • pp.116-130
    • /
    • 2023
  • Expressways play pivotal roles in cargo transportation because of their superior accessibility and mobility compared to rail and ai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mit to the accurate calculation of cargo transportation performance using existing highways owing to the mixture of vehicle types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cargo loads of individual cargo vehicles.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calculating more reliable cargo transportation performance using big data. The traffic performance (veh·km/day) was deriv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oll Collecting System. The average tolerance weight for each vehicle type and the cargo load unit (ton/unit) considering it was calculated using vehicle specification information data and high-speed and low-speed axis data. This study calculated the cargo transportation performance by section and type using various online integrated highway data and presented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transportation performance by linking open business offices and private hig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