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차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국산 홍차 및 스리랑카 홍차의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Black Tea and Sri-Lanka′s Teas)

  • 신애자;천석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7
    • /
    • 1988
  • 국산차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국내산 및 스리랑카제품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산 홍차는 스리랑카 홍차에 비하여 섬유함량이 50% 높은 반면 탄닌 및 카페인함량은 크게 낮았다. 탄닌의 경우 3.5배, 카페인함량은 50%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의 함량은 두 제품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스리랑카 홍차에서는 P 3,000ppm, K 15,000ppm, Mg 1,400ppm, Ca 4,000ppm, Cu 22ppm, Cr 21ppm 및 Zn 45ppm으로 국산 홍차보다 높은 함량이었으며, 국산홍차에서는 F 225ppm, Mn 1,950ppm, Fe 265ppm, Sr 6ppm 및 Al 4,100ppm으로 스리랑카 홍차보다 높은 함량이었다. Pb와 Cd는 양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국산 홍차에서는 6종류의 유기산이 분리·동정되었는데 quinic acid와 gall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스리랑카 홍차에서는 8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으며 shikimic acid, citric acid 및 quin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다. 4. Sucrose의 함량은 스리랑카 홍차보다 국산 홍차가 2.5배 높았다. 5. 홍차의 특수성분인 theaflavin, thearubigin, theobromine의 함량은 스리랑카 홍차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효과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of Black Tea for Anti-oxidatio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 김영은;여민아;한정희;이정민;정석균;정현아;김선화;이지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5-2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능을 확인하였다.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결과는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항산화능 평가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흑효모 발효물보다 뛰어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홍차 추출물과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실험에서도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유의적 제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이며 Melan-a,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형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항주름 효능 확인을 위해 콜라겐 분해 효소(MMP-1)를 측정한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이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보다 높은 항주름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항산화능 효능을 보이며 미백, 항주름 효능을 보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판 차류의 Catechins, Theaflavins 및 Methylxanthins 함량에 관한 연구 (Catechins, Theaflavins and Methylxanthins Contents of Commercial Teas)

  • 김수연;소궤신행;한재숙;이갑랑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6-35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녹차, 현미녹차, 홍차 2종류, 오룡차 1종류 및 자스민 차 1종류의 티백 제품을 $80\%$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7종의 catechins, 4종의 theaflavins 및 2종의 methylxanthins의 함량을 HPLC로 동시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catechins의 함량은 에탄올과 물 추출 모두 자스민 차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에탄을 추출은 녹차, 홍차(II), 오룡 차, 현미 녹차, 홍차(I)의 순이었으며 물 추출은 홍차(II), 녹차, 현미 녹차, 오룡 차, 홍차(I)의 순이었다. 또한 두 추출법에서, 녹차, 현미녹차, 오룡차, 홍차(II)의 경우는 총catechi 중 EGCG가 차지하는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홍차(I)과 자스민 차는 EC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Theaflavin류는 TF, TF3G, TF3'G, TF33'G의 4종류가 홍차에만 분석되어 에탄을 추출은 홍차(I)과 홍차(II) 모두 TF33'G가 가장 높았으며 물 추출은 홍차(I)은 TF33'G가 홍차(II)는 TF가 가장 높았다. 3. Methylxanthin류로 caffeine과 theobromine은 에탄올과 물 추출에서 홍차(II)와 자스민차가 다른 차에 비하여 높았으며, 모든 시료에서 caffeine이 theobromine 보다 훨씬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13종의 차 성분 중 홍차(I)에서 caffeine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차에서 catechin 중 ECG와 EGCG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성분이 차의 기능성 물질로 지배적인 물질이었다.

차(茶) 제조중(製造中)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 (Chemical Change of Major Tea Constituents during Tea Manufacture)

  • 김창목;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1983
  • 1982년(年) 8월(月) 장성지방에서 수휴(收携)한 차엽(茶葉)으로 전통적(傳統的)인 볶음차(茶) 제조방법(製造方法)과 상업적(商業的) 제조방법(製造方法)에 따라 각각(各各) 녹차(綠茶)와 홍차(紅茶)를 제조(製造)하고 생엽(生葉)과 녹차(綠茶), 홍차(紅茶)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인 tannin, caffeine 총(總)아미노산 유리당(遊離糖)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엽(紅葉)의 tannin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79%, 12.03%, 7.89%, 3.43%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56.5%가 감소(減少)하였다. 2.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caffeine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05%, 2.58%, 1.63%, 1.58%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에서는 25.9% 증가(增加)하였고, 홍차(紅茶)에서는 3.1% 감소(減少)하였다. 3.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 의 총유리당(總遊離糖)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15.78mg/g, 25.19mg/g, 120.72mg/g, 28.18mg/g 으로 제조후(製造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78.2%, 76.7% 감소(減少)하였다. 4. 녹차생엽(綠茶生葉), 녹차(綠茶), 홍차생엽(紅茶生葉), 홍차(紅茶)의 총(總) 아미노산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279.59mg/g, 206.52mg/g, 120.54mg/g, 97.84mg/g으로 제조(製造) 후(後) 녹차(綠茶)와 홍차(紅茶)에서 각각(各各) 26.1%, 18.8% 감소(減少)하였다.

  • PDF

시판 녹차, 홍차, 오룡차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호선;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81
    • /
    • 2002
  • 시판 녹차, 오룡차 및 홍차에서 추출된 조카테킨 조성 및 이들 카테킨의 2성분 항산화시스템, 3성분 항산화 시스템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녹차, 오공차 및 홍차의 조카테킨의 수율은 각각 5.4%,3.5% 및 2.5%이 었다. EGC, EC, EGCg 및 ECg의 4개의 카테킨류가 확인되었으며, EGCg 성분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의 총 카테킨의 함량은 각각 926.3ug/g, 713.8ug/g 및 318.0ug/g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 첨가구의 항산화 효과는 오룡차 > 녹차 > 홍차의 순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조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을 첨가했을 때의 항산화효과는 녹차 > 오룡차 > 홍차 조카테킨 순으로 녹차에서 가장 강한 상승작용을 나타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카테킨(100ppm)에 $\alpha$-tocopherol(50ppm) 및 ascorbyl palmitate(50ppm)를 함께 첨가한 경우, 조카테킨(200 ppm)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항산화 효과가 강하였다.

홍차박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tea (Camellia sinensis L.) residue extract)

  • 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81-286
    • /
    • 2019
  • 홍차를 우려내고 남은 부산물인 홍차박을 30% 에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홍차박의 추출 수율은 $22.4{\pm}1.18%$이었고, 폴리페놀은 추출물에 $23.2{\pm}1.02{\mu}g\;GAE/mg$ 들어있었다. 홍차박 추출물은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 및 아질산염을 농도에 비례하여 소거하였고, 환원력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홍차박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DPPH 유리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IC_{50}$값은 각각 141.8, 108.1 및 $397.2{\mu}g/m$이었고, 환원력에 대한 $IC_{50}$값은 $97.8{\mu}g/mL$로 나타났다. 또한 홍차박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홍차박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어 생리활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내외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inhibition effect of domestic and foreign fermented black tea extracts)

  • 문교하;김경지;이유림;김종철;심두보;정강현;이권재;안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4-4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 3종과 외국산 홍차 7종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국내산 홍차인 보성에서 총 폴리페놀(330.13 mg GAE/g)과 탄닌(285.65 mg TAE/g)의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590.11 mg CE/g)가 외국산 홍차와 유사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테아닌 함량은 국내산 홍차인 하동(651.50 mg%)이 외국산 홍차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과 환원력은 25 ㎍/mL 농도에서 보성 홍차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5 ㎍/mL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제주(63.89%), 보성(59.73%)과 하동(52.76%)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보호 효과는 50-100 ㎍/mL 농도의 모든 홍차 추출물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200 ㎍/mL 농도에서는 보성이 98.22%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세포 내 NO 생성 억제 활성은 국내산 하동, 제주와 보성 홍차의 모든 농도에서 외국산보다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50 ㎍/mL의 보성홍차 추출물에서 SOD-1 발현이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1.39배 증가하였다. 또한, GST발현은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에서 각각 1.52배와 1.46배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와 외국산 홍차를 비교 평가한 결과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단백질 발현은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하동 홍차의 NO 생성 억제 활성은 높은 테아닌 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국내산 홍차 추출물인 보성, 제주와 하동 홍차가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홍차(紅茶) 기호도(嗜好度)와 관련된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에 대(對)한 통계적(統計的) 분석(分析)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Black Tea)

  • 김영수;김혜영;남영중;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3
    • /
    • 1986
  • 국내산 홍차 1종과 외국산 홍차 9종을 혼합하여 제조한 28종의 홍차에 대하여 이화학적 분석 및 기호도 평가를 행하고 양자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산과 비교할 때 국내산 홍차는 제품엽 밀도, caffeine, theobromin, 조 단 백 질, theaflavin, thearubigin, 가용성 고형분 함량에 있어서 가장 낮았으며, Hunter L 값과 b값, neutral detergent fiber, calcium 및 산화중합물비에 있어서는 가장 높았다. 외국산 홍차중에서 8종은 국내산 홍차를 혼합함에 따라서 기호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띠었다. 국내산 홍차보다 기호도가 높은 홍차의 수는 12종이며 이것은 주로 국내산과 외국산의 혼합홍차였다. 중희귀분석 결과 홍차의 기호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화학적 특성치는 침출액의 theaflavin, hunter a값, 가용성 고형분, 제품엽의 potassium으로 밝혀졌으며, 이 특성치에 의해 산출된 희귀식은 홍차의 기호도를 67%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발효홍차 음료가 당뇨 암쥐의 지질대사 및 단백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Fungus/Kombucha Beverage on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 in Diabetic Female Rats)

  • 노민희;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1-668
    • /
    • 2002
  • 본 연구는 발효홍차가 당뇨 암쥐의 성장률, 혈청 및 간의 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체중 155.5$\pm$9.3 g 전후되는 Sprague- Dawley계 암쥐에 음료수를 급여한 정상군, 당뇨대조군 및 당뇨발효홍차군은 음료수에 발효흥차를 20%와 40%씩 혼합한 군 등 4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음료로 2주간 사육한 다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키고 계속 5주간 각 실험음료로 사육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당뇨유발 전 2주간 체중 증가는 대조군과 각 농도별 발효홍차 급여군이 비슷하여 발효홍차가 성장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뇨유발후 5주간의 체중변화는 정상군 48.3 g증가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과 각 농도별 당뇨발효홍차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장애로 6.8~7.1 g으로 증가율이 낮았다. 공복시 혈당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발효홍차군이 비슷한 경향으로 혈당량을 낮추지는 못하였다. 간, 신장 및 췌장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각 수준의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간과 신장의 무게는 정상군 보다 당뇨 실험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췌장의 무게는 정상군보다 당뇨실헌군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중성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0% 당뇨발효홍차군이 당뇨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발효홍차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인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총 단백질과 알부민 및 간의 단백질 농도, 혈청의 alkaline phosphatase, GOT 및 GPT 활성은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한국산 다류(茶類)의 항(抗)지아민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thiamin Effects of Korean Teas)

  • 유양자;디 엠힐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3호
    • /
    • pp.33-39
    • /
    • 1979
  •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각종 다류(인삼차 2종, 인삼 extract 2종, 인삼분말, 생강차, 오미자차, 홍차, 인스턴트 홍차 2종)중의 antithiamin activity (ATA)와 탑닌함량을 정량하였 다. 한펀, Wistar계의 이유기의 숫쥐 30마리를 인스턴트홍차, 인삼차 B 인삼extract B와 Lipton tea 및 물 투여구(대조구)의 5군으로 나누어 일정향의 지아민을 첨가한 기본사료로 사육하면서 등물의 증체량, 사료 및 음료섭취량, 식이효율을 매주마다 측정하였고, 4주후 24시간 동안 각 투여구의 동물뇨중의 지아민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다류중 ATA는 홍차 및 인스턴트 홍차 A가 가장 높았고, 인삼차 A와 오미자차는 비교적 낮았다. 일반적으로 ATA가 높은것은 탄닌의 함량도 많았고 ATA가 낮은 것은 탄닌의 함량도 낮은 경향이었으나, 같은 종류의 차라할지라도 ATA와 탄닌의 함량은 매우 상이하였다. 한편 동물실험에서 증체량은 인삼차 B와 인삼 extract B 투여구가 물, Lipton tea, 인스턴트 홍차 B 투여구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는 없었으며, 사료 및 음료섭취량, 식이효율도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그리고 뇨중의 지아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Lipton tea, 인삼차차 B, 인삼 extract구에서 높았고, 인스턴트 홍차 A구는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