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조절량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sign of the spillway for dams with concentration of inflow in short time and reservoir water level rapidly. (단시간 유입량 집중 및 수위 급상승 댐의 여수로 계획)

  • Kim, Woon-Tae;Kang, Tae-Ho;Han, Jeong-Sik;Choi, By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8-478
    • /
    • 2011
  • 중소규모 댐 계획시, 댐 하류 홍수피해 저감, 합리적 운영, 유지관리 및 경제성 측면올 고려한 댐 계획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계획/건설된 대규모 뱀에서와는 달리, 비교적 작은 규모의 유역에 있어서 댐 계획은 댐 유역 및 저수지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 즉, 빠른 시간에 홍수량의 저수지 유입으로 저수지 수위가 급상승하는 등, 일반적인 기존 댐들과는 다른 특정을 지닌 중소규모유역 댐의 여수로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여수로 계획을 한 댐 유역의 특성으로 유역면적 약 $33km^2$, 총저수용량 2,211 만 $m^3$, 홍수조절용량 349만 $m^3$의 소규모 저수지를 가진 댐이다. 지방하천 최상류에 위치하는 유역면적이 작은 댐에서의 일반적인 수문학적 특징은 홍수도달시간이 1 시간 내외로 빠르고, 저수지 수위상승 속도가 0.2~0.3m/분 정도로 빠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수리 수문학적 특징 때문에 댐 여수로 수문 조작시간이 충분치 않으므로, PMF 유입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댐을 월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대규모 댐의 여수로 수문을 이용, 단독으로 홍수조절을 수행하던 기존 댐들과는 달리 소규모 댐에 적합한 특성을 지닌 여수로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검토대상 여수로 형식으로는 국내 다목적댐에서 대부분 채택하고 있는 조절형 여수로, 무문식 여수로를 도입한 조절형+비조절형 여수로, 방류관식 여수로, 복합형 여수로 등을 안전성, 유지관리성 및 시공성 측면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로 소규모 댐의 여수로 형식으로는 조절형+비조절형 여수로가 가장 적합한 형식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여수로 형식 이 조절형+비조절형과 같이 폭이 100m가 넘는 광폭의 여수로에서 등폭 도수로를 채택할 경우 감세공의 폭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은 등폭 도수로와 도수로 끝단부에 도류벽을 설치하여 유수 에너지를 도류벽에서 1 차 감세한 후 댐에서 보편적인 정수지형 감세공으로 유수를 소통시키는 형식으로 계획하였다. 이러한 측수로형 감세공을 도입하여 정수지형 감세공 규모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PDF

수문학적 저수지 경관수위 결정 방법론 개발 및 시설계획 사례

  • Kang, Kwon Su;Yum, Kyung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0-410
    • /
    • 2020
  • 농업용댐에서 다목적댐으로 재개발된 댐인 성덕댐의 이수기, 홍수기 확보수위 등 장래 실제운영이 예상되는 수위를 고려한 경관수위 개념을 도입하여 댐주변의 시설물을 친환경적으로 배치하고자 한다. 댐을 계획할 때는 저수지 모의운영에 의하여 적정 용수공급량과 홍수조절량을 고려한 계획홍수위와 상시만수위를 산정하게 된다. 홍수기말 상시만수위 운영 조건에서 과거의 유입량이 향후에도 그대로 재현된다고 가정하여 보장확률을 고려한 경관수위를 결정하였다. 성덕댐의 경우 37년에 1회 물부족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경관수위를 산정하였다.

  • PDF

Storage Rate Estimation of Irrigation Reservoir by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ing (장기유출모의를 통한 농업용저수지 저수율 예측)

  • Park, Jong-Pyo;Jeong, Soon-Chan;Yu, Chang-Hwan;Won, Cha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21-326
    • /
    • 2012
  • 장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저수지 유입량을 예측하고 농업용수 필요수량 및 홍수기 저수지 홍수조절을 통한 방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기간에 대한 농업용저수지 저수율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와 실측 저수율 데이터의 비교 검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은 담양댐 지점이며 유역면적은 $47.2km^2$ 이며 주 하천 연장은 12.0km 이다. 담양댐은 저수용량에 비하여 유역면적이 작기 때문에 댐 계획 당시 순창군 구림면에 유역면적 $18.4km^2$ 인 2개의 보를 축조하여 유역변경방식으로 간접유역 유출량을 비관개기 및 홍수시에 도수하며 최대 도수량은 $10m^3/s$이다. 장기유출모의는 한국수자원공사(2001)에서 수행한 전역최적화기법인 콤플렉스 혼합진화기법을 통하여 추정된 나주지점의 모형보정 성과를 활용하였으며 모의기간은 1981-2010년(30년)이다. 장기유출모의 결과 담양댐 유역의 평균 유출율은 67%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수 필요수량은 한국농촌공사에서 산정한 연도별 필요수량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실측 농업용수 월별 방류량 자료를 기준으로 관개개간인 4월 21일-9월 20일(163일)동안 월별로 분배하여 적용하였다. 홍수조절은 기존 댐 상시만수위, 홍수기제한수위 데이터를 근거로 운영하였다. 일별저수지 운영모형은 미공병단의 HEC-5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용수종합 정보시스템(RAMIS)의 댐 일별 저수율 현황과 기존저수지 일별 저수지 모의운영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수행결과 실측저수율과 모형수행결과의 상관계수는 0.93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장기유출모의 결과와 연계하여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홍수조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을 통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농업용저수지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농업용저수지의 장기적인 용수수급현황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용수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Analysis of Critical Duration of uncontrolled single detention facility in Small Catchment (소규모 유역에서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 분석)

  • Park, Jong-Young;Shin, Chang-Dong;Lee, J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2 s.17
    • /
    • pp.17-28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itical duration between detention facility and flood control facility of small size catchment. 4 small size catchments are applied for hydrological analysis and rainfall excess is computed by using the NRCS Runoff Curve Number method. The critical duration of detention facility and flood control facility is evaluated using the concept of allowable release rate. The conclusions stud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ype of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storage ratio has resulted in Huff's 2 quartile in case of the use of the concept of allowable release rate. (2) Based on (1) of conclusion, the critical durations of flood control facility are similar to those of detention facility, which is used for uncontrolled single detention pond.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소규모 저수지시스템 분석

  • Park, Gi-Beom;Lee, S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67-7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덕동댐의 경우 최근 홍수유입량의 증가에 따라 치수능력의 증대를 위하여 비상게이트를 설치하였으며, 그에 따른 비상게이트 설치전과 설치후의 실제호우에 대한 저수지 분석과 재현기간에 따른 50년, 80년, 100년, 200년, 500년 확률홍수량을 비교하였다. 덕동댐의 비상게이트 설치에 따라 하류의 보문호는 홍수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보문호의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보문호의 방류량도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상게이트 설치에 따라 덕동댐의 홍수조절 능력은 설계빈도 200년에 대하여 약 20%정도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보문호의 경우 유입량이 35%정도 증가하였다. 보문호의 방류량은 약 35%증가가 되어 북천하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증가된 홍수량이 북천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liminary Release Scheme by Flood Forecasting (홍수예측에 의한 예비방유 방안)

  • Sim, Myeong-Pil;Lee, Jae-Hyeong;Gwon, O-Ik
    • Water for future
    • /
    • v.29 no.1
    • /
    • pp.235-248
    • /
    • 1996
  • Apreliminary release scheme (PRS) is suggested for the operating rules during flood period to deal with conflicts between flood control and water conservation purposes. PRS can be used to decide the optimum releases, based on the forecast of an oncoming flood and flow rate at the control point downstream when comparing the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for flood control with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MRWL) for conservation use. The model is applied to Chungju and Daechung reservoirs through simulations of the technique. This study illustrates the procedure to decide the time and size for preliminary releases. Also, effects of duration and magnitude of preliminary release are reviewed based on historicqal flood record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PRS is effective for the managers to find optimal operating policies during flood period. The proposed scheme can be used with main release scheme using real-time operation on hour-to-hour basis to decide the release for a flood.

  • PDF

Analyssis for Flood control in Nackdong River using wetland and Washland (습지와 천변저류지를 고려한 낙동강유역에서의 홍수조절평가 분석)

  • Yu, Jae-Jung;Kim, Hong-Tae;Kang, Du-Kee;Kal, Byung-Seok;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29-1132
    • /
    • 2008
  • 기존의 하천은 제방의 직선화와 더불어 홍수량을 신속히 바다로 유출시키는데 하천정비를 목표로 삼고 추진해왔다. 그러나 하천주변의 인구 집중화와 더불어 도시화는 홍수피해에 대한 잠재력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하천 위주의 홍수방어에 그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최근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는 홍수량을 유역내에 분담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중의 하나로 천변저류지와 습지를 이용한 홍수제어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내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와 치수목적으로 계획중인 천변저류지를 고려하여 유역 수문모델링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홍수량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Reservoir Management in Flood Period with Chance Constrained LP (위험도제약(危險度制約) 선형계획법(線形計劃法)에 위한 홍수기(洪水期) 저수지운영(貯水池運營))

  • Lee, Kil Seong;Kang, Bu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3
    • /
    • pp.139-151
    • /
    • 1992
  • A reservoir operation model was established under the varying restricted water level(r.w.l.) subject to the inflow distributions in flood period. The optimization model consists of 2 sub-models. One model minimizes deviations of releases from the expected release and the other minimizes capacity requirement for flood control. In order to make deterministic equivalents, the inflow distribution of reservoir is assumed to be 2-parameter Lognormal, and its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model is applied to joint operation of Soyang and Chungju dam. The results show that Soyang was designed for larger flood event than that for Chungju. The operation under the varying r.w.l. turns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one under the uniform r.w.l. Such effect is more obvious at Chungju compared with Soyang. Release pattern shows diminishing and delaying effect in a period of high inflows and larger discharges than actual in a period of low inflows.

  • PDF

Flood Season Reservoir Operations Considering Water Supply Objective (용수공급을 고려한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

  • Lee, Seung-Hyeon;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639-650
    • /
    • 2002
  • Reservoir operations during the flood season should consider both the flood control and water supply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d Set Control Algorithm (SCA) as a reservoir operation method, which guarantees both objectives. The concept behind SCA is to provide operators with a set of actions that guarantee feasibility, given a set of operational constraints, and to let them select decisions within a set that satisfies other considerations. The inflow se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observed data, synthetic data, and ESP(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scenarios. Applied to the Chungju Dam operations, SCA was compared to the variable flood restricted elevation, as well as the current flood restricted elevation. A 5-year simulation analysis showed that SCA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operation methods, and that SCA coupled with ESP performed best among the SCA cases.

Development of dam inflow forecasting method using VARX model (VARX 모델을 이용한 댐 유입량 전망기법 개발)

  • Kwon, Yoon Jeong;Kim, Jinyoung;Yu, Jaeung;Kang, Sub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6-406
    • /
    • 2022
  • 댐은 물을 담아두어 강수량에 따른 유량을 조절하거나, 하천의 물을 끌어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 또는 모래, 자갈 등을 막아 걸러주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 계절별 강수량의 차이가 크며, 그로 인해 유량이 지역과 계절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런 변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치수와 이수, 두 분야 모두에서 댐의 중요성이 크다. 이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극대화로 인해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수량에 따른 댐 유입량의 예측을 하여, 적절한 방류 시기 및 방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증대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재해의 빈도와 심도가 커지면서 댐 유입량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댐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 홍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갈수기의 경우 물 부족으로 인해 유량이 적어져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어려워 가뭄 시 댐 유입량에 관한 연구가 홍수 시에 비해 적게 연구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가뭄 시 댐 연구를 위해 갈수기의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 및 예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댐 주변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관계성을 보이고 각각 다른 변량 간의 시간적 종속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상호연관된 변량의 시간적 종속성을 동시에 고려한VARX(vector autoregressive-exogenous) 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한 댐의 유입량을 산정 및 예측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여, 댐 분야에서 가뭄에 대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