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재해

Search Result 8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rosion and Cultivation in the Bockha Stream Watershed Area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량 및 경작지의 상관 분석)

  • Lee, Jin-Young;Yang, Dong-Yun;Kim, Ju-Young;Hong, Sea-Sun;Kim, Jin-K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1
    • /
    • pp.56-65
    • /
    • 2006
  • In the past, flooding is commonly occurred in the Bockha stream watershed area with inundation by the water and eroded sedi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under cultivation and amount of soil erosion in each watershed area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for decreasing the damages of flooding. The soil erosion amounts were computed on GIS using by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Small catchment areas was divided by topography and computed soil erosion amounts. The mean amount of soil erosion is 0.03 $ton/ha{\cdot}yr$ on the condition of the 1,329 mm/yr annual precipitation. The high erosion area(0.05 $ton/ha{\cdot}yr$) is shown in farm areas of the Sangyong-ri in Baeksa-myeon. The high erosion watershed area is related on the slopes of the farm lands and bare soil areas adjoining between the mountain slope and fluvial streams show much amount of soil erosion.

  • PDF

Analysis of Futur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Han-River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

  • Kim, Duckhwan;Hong, Seung Jin;Han, Daegun;Choi, Changhyeo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4
    • /
    • pp.432-447
    • /
    • 2016
  • The increased frequency of drought and flood due to climate change was a global problem. In particular, drought was recognized as a serious environmental,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disas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asures to prevent it. In this study, we will estimate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in the Han River Basin and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The change of the meteorological drought occurrence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Han River separated by the common drought and severe drought was analyzed us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scenarios provid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The years 1973 - 2010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he current period. Using the scenario, we separated the future period (Target I: 2011 - 2039, Target II: 2040 - 2069, Target III : 2070 - 2099).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less than -1.0 and -1.5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were analyzed by SPI 3, 6, 12. Looking at the results, trends in rainfall in the Han River was expected to increase from the current figures, the occurrence of drought is predicted to decline in the future. However, the number of drought occurrence was analyzed to increase toward long-term drought. The number of severe drought occurrences was usually larger than the common drought estimated. Additional studies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agricultural drought, hydrological drought, socio-economic drought. This will be done by using efficient water managemen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drought analysis of the Han River.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Levee GIS Database Using LiDAR Data and WAMIS Information (LiDAR 자료와 WAMIS 정보를 활용한 제방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Choing, Y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3
    • /
    • pp.104-115
    • /
    • 2014
  • A levee is defined as an man-made structure protecting the areas from temporary flooding.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the levee GIS database using the airborne topographic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taken in the Nakdong river basins and the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First, the National Levee Database(NLD) established by the USACE(United States Army Corps Engineers) and the levee information tables established by the WAMI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xtracting the levee information from the LiDAR data, the DSM(Digital Surface Model) is generated from the LiDAR point clouds by using the interpolation method. Then, the slope map is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maximum rates of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each pixel of the DSM and its neighboring pixels. The slope classification method is employed to extract the levee component polygons such as the levee crown polygons and the levee slope polygons from the slope map. Then, the levee information database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attributes extracted from the identified levee crown and slope polygons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AMI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levee GIS database established by only using the LiDAR data and suggests a future work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database.

Establishment of Resilient Infrastructures for the Mitigation of an Urban Water Problem: 2. Robustness Assessment of Structural Alternatives for the Problems of Water Pollution (도시 물 문제 저감을 위한 회복탄력적 사회기반시설 구축: 2. 수질오염 문제 구조적 대안의 내구성 평가)

  • Jung, Jihyeun;Lee, Changmin;An, Jinsung;Kim, Jae Young;Choi, Yongj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3
    • /
    • pp.182-188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structural alternatives for managing water quality problems by reinterpreting and then applying the robustness-cost index (RCI) for urban flood problems. Cases of endogenous hormone pollution in treated sewage and proliferation of protozoa in intake-water were chosen as representative example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types of regulation standards for the treatment. Current facilities and structural alternatives with robustness indices (RIs) greater than unity were determined to be robust. The RI was combined with the cost index (CI) to obtain the RCI values. For the endogenous hormone pollution in treated sewage, a human-oriented estrogen $17{\beta}$-estradiol was selected as a target pollutant. The RI and RCI values for a structural alternative, extension of the current sewage treatment facility for advanced treatment, were greater than the values for the current practice of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For the intake-water pollution by protozoa, UV and ozone disinfection facilities were evaluated for inactivation of Cryptosporidium parvum. The RCI values for ozone disinfection were greater than those for UV disinfec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logics involved in the calculation of RCI for water quality issues we studied, we proposed procedure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tructural alternatives for the restoration from and prevention of outbreaks of water quality problems.

A Dominant Discharge Estimate for Channel Characteristics Quantity Survey (하도특성량 조사를 위한 지배유량의 산정)

  • Im, Chang-Su;Lee, Joon-Ho;Kim, Tae-Hee;Lee, Jae-Chul;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6-71
    • /
    • 2006
  • 최근에 하도계획의 주된 과제는 하천환경의 보전과 창조를 위한 비용의 최소화이며, 침식과 세굴에 대한 하천관리 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질적 안전도의 최대화에 있다. 이를 위해 하도의 변화를 전제로 이동상 현상을 고려하고 저수로의 특성을 파악하여 하도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도계획과 관리를 위한 주요한 도구로서 하도특성조사가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변 생태환경의 기능회복으로의 하천환경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국내에서도 일본 등 선진 외국과 같이 홍수시 재해를 크게 경감하고, 자연환경을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배려하면서 경제적 하도계획 및 관리에 역점을 두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하천이 갖고 있는 고유 특성인 하도특성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하천을 선정하고 측량, 하상재료 채취 및 분석, 유사량 채취 등의 기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하도특성량을 분석하였다. 대상하천은 금강유역의 지천 하류부의 약 2km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2003년${\sim}$2004년에 3회에 걸쳐 측량을 실시하고, 구간내 구룡수위표에서 유량 몇 유사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상구간내 14개 지점에서 하상토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룡수위표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대상구간의 강턱유량, 특정재현기간유량, 유효유량을 산정하여 지배유량을 결정하였다. 산정된 지배유량을 이용하여 하상경사, 대표입경, 저수로내 평균수심, 에너지 경사, 마찰속도, 무차원소류력, 하폭-수심비, 수심-입경비 등의 하도특성량을 산출하여 하천환경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

  • PDF

Development of Turbidity Management System for Nakdong River using Water Quality Model (수질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탁도관리시스템 구축)

  • Kim Young Do;Noh Joonwoo;Ko Ick Hwan;Kim Woo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78-1382
    • /
    • 2005
  •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탁수장기화에 대한 저수지내 대책의 하나로서 홍수유입후 탁도가 높은 물을 단기간동안 방류하고, 갈수기에는 탁도가 낮은 물을 방류하는 선택취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임하댐의 경우, 2004년 태풍 '디앤무'와 태풍 '메기'로 인해 발생한 탁수를 선택취수를 통하여 조기에 배제함으로써 호내탁도를 저감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탁수 우선배제 기법은 반드시 하류하천의 영향범위를 사전에 분석검토하고, 하류하천의 수질현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운영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2004년 태풍 '디앤무' 발생직후의 댐방수로에서 170 NTU의 고탁수를 방류한 경우, 유하거리 250 km인 지점까지 30 NTU이상 유지된 바 있으며, 태풍 '메기'에 의한 고탁수 유입시, 임하댐 방류수 157 NTU, 안동댐 방류수 37 NTU인 경우에 임하댐 하류 113 km인 구미 선산 취수장까지 63 NTU의 탁도가 유지된 바 있다. 현재 임하댐의 경우, 하류하천으로의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이 발전취수탑 전면 1개소, 조정지댐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질모형을 통하여 임하댐 하류하천인 낙동강 본류의 탁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통하여 최근 3년간의 부유사농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태풍 직후의 낙동강 주요지점별 탁도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임하댐 고탁도방류에 의한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하여 탁수예측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를 이용한 탁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함께, 2단계에 (주)웹솔루스에서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는 2개소의 하수관거 모니터링 관측시설, 그리고 안양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5개소의 강우관측소와 7개소의 수위관측소를 모두 통합하여 실시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수위자료는 10분단위의 텍스트정보와 그래프형태로 지원되며, 검색기간 설정을 통해 원하는 기간내의 자료를 선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탁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택취수탑의 운영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선택취수탑 주위의 성층흐름을 기존의 실험자료와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온도성층구조나 취수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방류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쇄파대(artifical reef)와 같은 완충지대를 갖는 호안을 축조함으로써 월파량을 감소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태풍 내습시 발생 가능한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방지를 목적으로 태풍피해의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여 현재의 방재대책이 항구적인 방재대책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C)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C')에서 D-xylose와 D-galactose를 검출(檢出)하였다. (4) 구성당(構成糖)의 형태(形態)와 구조(構造)를 밝히기 위(爲)해 polysaccharide C에 대한 periodate산화(酸化) 실험(實驗)을 하여 $C_5H_8O_4$당(當) periodate의 소비(消費)와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

  • PDF

The ETCCDI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RCP Scenarios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

  • Kim, Duck Hwan;Kim, Yon Soo;Hong, Seung Jin;Ly, Sidoeun;Jung, Younghu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595-607
    • /
    • 2013
  • In this study we estimated ETCCDI and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using observed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from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scenarios for 58 weather stations which have the recorded data more than 30 years. We tried to eliminate the bias by Quantile Mapping and tested for outliers of simulated dat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Then we estimated ETCCDI related to precipitation and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the future. In addition to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frequency based precipitation for the future target periods. According to the result, dry days will be increased in Korean Peninsula in the 2090s. Also it showed that the number of heavy precipitation day more than 80mm/day tends to be increased in 3~7% in the future. The precipitation of 24-hour duration under climate change will be increased by 17.7% for 80-year frequency, 18.2% for 100-year frequency and 19.6% for 200-year frequency in 2090s. In the 21st centur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s expected to be increased due to increase of precipitation and the change of runoff characteristics under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proposed ETCCDI and precipitation frequency under climate change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future natural disaster plan.

Comparative Study on Water Rights (Regional, Riparian, and Appropriation) (지역수리권, 강변수리권과 점용수리권에 대한 비교 연구)

  • Koun, Hyoung-Joon;Park, Doo-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54-361
    • /
    • 2009
  • 최근 물 사용 및 배분과 관련하여 각종 갈등이 첨예화 되면서 수리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각종 수리권의 적용 범위나 한계를 논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하천의 자연유량과 인공유량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는 수리권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사항이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강변수리권'과 '지역수리권', 그리고 또 다른 대표적인 수리권인 '점용수리권'에 대한 비교 검토를 함으로써 수리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물의 합리적이고 효율적 배분에 기여할 수 있다. '강변수리권'은 오로지 강변에 위치한 토지에 필요한 물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수리권으로 결과적으로 농업용수에 대한 권리이며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강변 토지 소유자에게 부속되어 있고 하천의 자연유량에만 적용되어 댐 건설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유량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또한, '강변수리권'은 비록 사용하지 않아도 소멸되지 않으나 한번 소멸되면 회복할 수 없으며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다. 아울러 '강변수리권'끼리는 똑같은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물이 부족한 시기에는 주어진 양을 공유해서 사용하여야 하며 소량이지만 생활용수로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등록증서가 필요하며 물을 저장해서 다른 시기에 쓰고자 한다면 수리권 허가가 필요하다. '점용수리권'은 "특정 기간동안 특정장소에서 특정한 용도로 특정 수원(水源)으로부터 특정한 양을 취수하는 배타적 권리이다". '점용수리권'은 물의 가용성(availability)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합리적이고 유용한 용도에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인 원칙으로 하고 있다. '점용수리권'은 '선점수리권(first in time, first in right)'이라고도 하는데 '강변수리권'과는 다르게 강변에 인접하지 못한 토지소유자가 물을 취수하여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권리로 허가없이 증량할 수 없으며 5년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멸된다. '점용수리권'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장기간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강변수리권자'나 강변에 인접하지 않은 토지에서 지표수나 지하수를 저장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지역수리권'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자주 이용되는 미국의 경우에 주(州) 헌법이나 주(州) 수법에 주(州)내의 모든 물은 주(州)의 주민에 속한다고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수질관리, 홍수관리, 댐 운영, 재해방지 등 물과 관련한 포괄적인 기능도 주(州)의 책임으로 명시하고 있어 지방정부주(州)가 단지 물의 사용에 대한 권리만 위임받은 것이 아니며 물 관리에 따른 모든 책임까지도 함께 담당하고 있다는 우리나라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물 이용에 대한 권리만 의미하는 '지역수리권'과는 근본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다.

  • PDF

Problems of Disaster Reporting in Korea -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gun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 Park, Dong-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5
    • /
    • pp.241-248
    • /
    • 2009
  • On 7 December 2007, the Hong Kong registered tanker Hebei Spirit, laden with 209,000 tonnes of crude oil, was struck by the crane barge Samsung No 1, whilst at anchor about five miles off Taean on the West Coast in Korea. About 10,500 tonnes of crude oil escaped into the sea from the Hebei Spirit. The recent oil leakage from a tanker in seas off Taean has turned the sea farms and fishing areas on the country's western coast into a sea of oil. Analysts say the spill is considered as one of the world's devastating sea pollution cases involving oil. In our contemporary society where people are exposed to potential dangers in every aspect, no one can be free from such dangers. With an increase in human casualties due to disaster, disaster reporting plays a vital role in preventing and minimizing damages. Despite such enormous significance, however, Korean disaster reporting has not performed effectively. In this context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disaster reporting in Korea, with the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gun. And, this study suggest the establish ways and means needed to improve the disaster reporting in Korea with the case of Hebei Spirit case.

Policy for Establishment of Green Infrastructure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 Park, Jae-Chul;Yang, Hong-Mo;Jang, Byou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5
    • /
    • pp.43-50
    • /
    • 2012
  • The Green Infrastructure Framework refers to an interconnected network formed by greenways that links gardens, parks, green spaces, streams, wetlands, agricultural lands, and green belts. Green infrastructure supports diverse functions to environment, provides various benefits to people, and helps in the community's health and viability. It can store stormwater runoff and abate its non-point source pollutants. Due to its advantages and profits, advanced countries in environment policies have adopted green infrastructur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have focused upon grey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the past, which causes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draught, flood, and landslides, degradation of water and air quality, decline of biodiversity, and even inhibi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it is requested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green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government level. USA and Korean situ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investigated; forty components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drawn. Nine policies utilized in the USA cases were identified, which are applicable to Korea. Among them, five policies can be implemented in public sector and four in private one. The green infrastructure law needed in Korea was suggested. The amendments of laws regarding green infrastructure and alternatives expending it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