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s of Disaster Reporting in Korea -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gun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 박동균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On 7 December 2007, the Hong Kong registered tanker Hebei Spirit, laden with 209,000 tonnes of crude oil, was struck by the crane barge Samsung No 1, whilst at anchor about five miles off Taean on the West Coast in Korea. About 10,500 tonnes of crude oil escaped into the sea from the Hebei Spirit. The recent oil leakage from a tanker in seas off Taean has turned the sea farms and fishing areas on the country's western coast into a sea of oil. Analysts say the spill is considered as one of the world's devastating sea pollution cases involving oil. In our contemporary society where people are exposed to potential dangers in every aspect, no one can be free from such dangers. With an increase in human casualties due to disaster, disaster reporting plays a vital role in preventing and minimizing damages. Despite such enormous significance, however, Korean disaster reporting has not performed effectively. In this context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disaster reporting in Korea, with the case of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gun. And, this study suggest the establish ways and means needed to improve the disaster reporting in Korea with the case of Hebei Spirit case.

홍수, 지진,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나 대형사고 등에 대한 언론의 보도양태에 대한 분석연구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재난은 거의 매년 끊임없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보도와 그에 대한 비판이 계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보도방식에 대한 학문적 비판과 대안이 미흡했다는 것은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2일 충남 태안군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에 대한 대응 및 복구과정에서 한국의 언론보도가 재난관리 과정상 제대로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분석해 보고, 아울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우리 나라의 재난보도의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먼저 부정확한 보도가 다수 발생하여 피해자인 태안주민들을 더욱 곤경에 빠뜨리는 오류를 범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사건 초기에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잘못된 이름 짓기가 있었고, 재난보도의 근간이 피해자 중심이 아닌 독자 중심의 보도로 일관하였다는 점이다. 끝으로, 자원봉사에 대한 과잉보도로 인해 정작 사건의 본질과 피해당사자의 구호 등은 취재 및 보도에서 밀리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향후 재난보도는 피해자 중심의 보도, 방재 및 문제해결 보도 등의 취재를 지향하고, 아울러 재난전문 기자를 양성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55, 2005.
  2.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p.36-51, 2005.
  3. 김동규, 한국 언론의 위기보도, 그 실상과 과제 - 재난, 전쟁, 테러 및 갈등보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5, p.139, 2002.
  4. 정유철,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형태, 한국언론재단 제7기 단기연수 보고서, 2003.
  5. 장원일, 재해방송의 효율적인 체계구축을 위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 이성림, 재난보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삼풍백화점 붕괴관련 TV 뉴스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7. 이경미, 최낙진, 태풍 '나리'관련 제주지역 재난방송 보도연구, 언론정보연구 45-1, pp.97-129, 2008.
  8. 정연구. 한국 언론의 재난 보도 준칙과 보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프레스센터, pp.54-55, 1999.
  9. 이창현, 김성준,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언론보도 내용분석 연구, 충청언론학회.환경 운동연합.한국언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10. 태안신문 홈 페이지
  11. 김정탁, '알 권리' 보다는 '살 권리'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에 대한 언론의 보도, 저널리즘 비평 16, pp.46-52, 1995.
  12. 임태섭, 보도언어 이대로 좋은가 : 언론의 과장 표현 관행 어디까지, 신문과 방송 390, 2003.
  13. 태안신문 홈 페이지.
  14. 이 연,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와 재난 보도준칙, 충청언론학회.환경운동연합.한국언 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15. 태안신문 홈 페이지.
  16.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55, 2005.
  17. 이창현, 김성준,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언론보도 내용분석 연구, 충청언론학회.환경 운동연합.한국언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18. 봉아름, 왜 '태안' 기름유출 사고인가? 대전일보. 2007. 12. 20.
  19. 구도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공 동체에 미친 영향, 한국환경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8.
  20. 태안신문 홈 페이지 자유게시판.
  21. 이창현, 김성준,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 고 언론보도 내용분석 연구, 충청언론학회.환경 운동연합.한국언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22. 정경희, 자원봉사 홍수의 감동, 미디어오늘. 2008. 1. 9.
  23. 한겨레신문, 2007. 12. 30.
  24. 연합뉴스, 2007. 1. 17.
  25. 이기동,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지역 언론보도의 문제점, 충청언론학회.환경운동연합.한국언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26.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 23, 2005.
  27. http://www.mediatoday.co.kr.
  28. 이기동,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지역 언론보도의 문제점, 충청언론학회.환경운동연합.한국언론재단 공동 심층세미나, 2008.
  29. 정유철,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형태, 한국언론재단 제7기 단기연수 보고서. 2003.
  30.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55, 2005.
  31.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35, 2005.
  32. 정유철,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형태, 한국언론재단 제7기 단기연수 보고서, 2003.
  33.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북스, p.51, 2005.
  34. 정유철,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형태, 한국언론재단 제7기 단기연수 보고서, 2003.
  35. 정유철, 일본 언론의 재난보도형태, 한국언론재단 제7기 단기연수 보고서,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