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심도 평가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Calssification Method for Drought in Jeju Island by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한 제주도 가뭄의 공간적 분석)

  • Lee, Jun Ho;Yang, Sung Kee;Yang, Won Seok;Kang, Myung Su;Kim, Mi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7-367
    • /
    • 2017
  • 지국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강수의 편중이나 이상기온 등의 현상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가뭄 및 홍수로 인한 피해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를 활용한 제주도 가뭄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뭄 속성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인 가뭄지속시간과 가뭄 심도를 변수로 선택하여 각 지역의 가뭄특성과 지역 분류를 수행하였다. 제주도의 4개 기상대(제주, 서귀포, 성산, 고산)의 관측소별 표준강수지수(SPI 3, 6, 9, 12)를 산정한 결과 SPI 12가 SPI6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단기간 일수록 변동성이 심하고 장기간 표준강수지수는 비교적 극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가뭄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지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한가지 요소로만 구분할 수 없어 가뭄 속성 인자들의 동질성을 구분하였으며 가뭄 속성인자의 변량을 71.8%를 설명해 주는 2개의 요인을 주요인으로 산정하였다. 인자분석의 결과로 추출된 2개의 변수로 비계측적 군집방법 중 하나인 K-means 기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7번의 반복계산에 걸쳐 군집이 종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개의 군집이 형성 되었다. 기후변화는 전 세계와 제주도 수자원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어 수자원 정책 평가 및 관리에 매우 신중한 대비책을 요구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입력자료를 활용하고 가뭄 산정기법과 가뭄 분류 등을 통하여 활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oil Moisture Retrieval of Mountainous Area on Korean Peninsula using Sentinel-1 Data (Sentinel-1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산지에서의 토양수분 복원 연구)

  • Cho, Seongk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2-102
    • /
    • 2019
  • 토양수분은 수문 및 기상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가뭄, 홍수 및 범람과 같은 자연 재해와 관련이 깊은 인자이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관측 기술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관측이 용이하고 지점이 아닌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토양수분의 관측에 유리하다. 특히 높은 해상도의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는 토양수분의 변동성이 큰 지역의 수문, 기상학적 현상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가뭄 및 범람과 같은 수자원 관련 재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요구된다. 이로 인해 최근 Sentinel-1 위성에서 운용중인 Synthetic Aperture Radar(SAR) 데이터를 이용한 매우 높은 공간해상도(10m~1km)를 지니고 있는 토양수분데이터 생산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Sentinel-1 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 데이터 복원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주 감악산 설마천 유역에서의 Sentinel-1 위성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를 복원하고자 한다. 파주 설마천 유역은 감악산 일대로 경사가 심하고 식생이 두터운 산악지형이다. SAR를 이용하여 산지에서 신뢰성 있는 토양수분 자료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사와 식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표면 경사의 영향의 경우 SAR 센서의 레이더 입사각과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다음 과정으로 표면 경사가 고려된 Sentinel-1 데이터의 후방산란계수와 Landsat-8 데이터 및 지점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에 따른 후방산란계수의 거동을 Water Clou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Water Cloud Model은 토양위의 식생의 수분이 후방산란계수에 혼동을 주는 구름과 같이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식생수분을 후방산란계수와 레이더 입사각 및 식생지수를 통해 계산하는 모델이며 이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복원에 있어 식생의 영향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식생과 표면 경사를 고려하여 복원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설마천 유역의 지점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고 다른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 및 강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반도 산지에서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토양수분 복원 기술의 기초가 마련될 것이며 이를 통해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의 토양수분 거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이후에는 연구결과분석을 통한 산지에서의 고해상도 토양수분 복원 알고리즘을 분석, 보완하고 한반도에서의 SAR 기반 토양수분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Flood Level Variability Assessment by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torm Sewers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홍수위 변동성 평가)

  • Park, Jongpyo;Sim, Inkyeong;Yun, Hy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6-426
    • /
    • 2021
  • 우수관로의 수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매개변수 중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첨두 수위 변동성을 SWMM으로 분석하고 수위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 적용 조도계수의 범위는 0.015 ~ 0.120이며 0.003 단위로 증가시키며 총 12개 CASE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검토 대상지점은 서울시 방배1, 봉천1, 길동, 신림4, 방배2, 오류1, 천호 배수분구이다. 조도계수 증가에 따른 관내 수위 변동성 검토결과. 방배1 배수분구 22-0001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15에서 0.120으로 증가하면 첨두 수위는 최대 70.3% 높아졌으며 길동 배수분구 25-0003 지점의 경우 103.3%, 신림4 배수분구 21-0002 지점의 경우 78.8% 수위가 상승하였다. 즉, 물리적으로 관로의 조도계수가 증가하면 유속이 감소되고 수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상류 인접관로에 만관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조도계수가 증가하여도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봉천1 배수분구 21-0004 지점의 경우 조도계수가 0.045를 초과할 때 상류관에서 만관 발생으로 압력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영향으로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배2 배수분구의 22-0003 지점, 천호 배수분구의 25-0002 지점의 경우 상류관 침수발생으로 첨두 수위의 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로 내 조도계수 증가는 첨두 수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대 2배까지 수위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조도계수 상승에 따른 인접관(상류관) 만관 및 침수 발생의 원인으로 일부구간의 경우 수위가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향후, 유역의 특성, 우수관로의 경사, 규모 등을 고려한 우수관로 수리특성에 따른 수위변동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 function (Copula 함수 기반의 이변량 가뭄빈도 해석)

  • Lee, Jeong Ju;Kim, Ha Yung;Kwon, Moon Hyuck;Kwon, Hyun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9-309
    • /
    • 2022
  • 특정 극치사상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 시 수문자료에 대한 빈도해석은 일반적으로 단일 확률 변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단변량 해석 방법이 활용된다. 그러나 두 가지 이상의 변량이 서로 상관성을 가지는 경우 다변량 빈도해석이 요구되며, 이를 단변량으로 해석하는 경우 재현기간의 과소추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변량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Kwon and Lall, 2016; Vaziri et al., 2018). 특히, 가뭄의 경우, 강도(intensity)뿐만 아니라 지속기간, 심도도 매우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가뭄지속기간과 심도의 경우 두 인자 간의 상관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변량(univariate) 가뭄빈도해석 보다 다변량으로(multivariate)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뭄위험도 평가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Shiau and Shen, 2001; Kim et al., 2017). 따라서 이 둘을 결합한 빈도 해석을 위해 Copula Function을 이용한 다변량 빈도 해석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홍수의 경우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수량 계열을 이용한 빈도해석 과정이 지침으로 정립되어 수자원 설계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가뭄은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침 및 분석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환경부와 국가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는 '20년도에 단변량 가뭄빈도 해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특성을 대변하는 상관도 높은 두 인자인 가뭄 심도(severity)와 가뭄 지속기간(duration)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함께 고려해 이변량(bivariate) 가뭄 빈도를 해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확률분포형을 이용한 최적 주변 확률분포형 선정과 최신 Copula Function들을 이용한 최적 결합확률분포 추정을 통해 신뢰도 높은 2변량 가뭄빈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테스트 버전 배포 등을 거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2-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analysis model using uniform square grid (정형 사각 격자 기반의 2차원 지표면 침수해석 모형 개발 및 평가)

  • Choi, Yun-Seok;Kim, Joo-Hun;Choi, Cheon-Kyu;Kim, Kyung-Ta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5
    • /
    • pp.361-3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wo-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analysis model based on uniform square grid using the governing equations except for the convective acceleration term in the momentum equation. Finite volume method and implicit method were applied to spatial and temporal discretization. In order to reduce the execution time of the model, parallel computation techniques using CPU were applied. To verify the developed model, the model was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behavior of the model was evalua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in the virtual domain. In addition, inundation analyze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for the domestic Janghowon area and the Sebou river area in Morocco,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CAESER-LISFLOOD (CLF) model. In model verification, simulation results were well match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and the flow analyses in the virtual domain were also evaluated to be reasonable. The results of inundation simulations in the Janghowon and the Sebou river area by this study and CLF model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and for Janghowon area, the simulation result was also similar to the flooding area of flood hazard map. The different parts in the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LF model were compared and evaluated for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simulate the flooding well in the floodplain. However, in case of flood analysis using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odel by domain composition method, governing equation and numerical method should be fully considered.

Pain and Factors Influencing Its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말기 암환자의 통증 및 통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Yun, Young-Ho;Heo, Dae-Seog;Kim, Hong-Soo;Ou, Sang-Woo;Yoo, Tai-Woo;Kim, You-Young;Huh, Bong-Yu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 no.1
    • /
    • pp.23-29
    • /
    • 1998
  • Purpose : Validity of WHO guideline of cancer pain management has been proven and many trials were done for resolution of inadequate management of cancer pain. We assessed the severity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inadequate pain management.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on 100 patients who was confirmed as termina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lune 1997 to November. For getting the informations about der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formance and metastasis, and drug-adjusted pain severity the patient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 the patients. we assessed the adequacy of prescribed analgesics with WHO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adequacy of pain management. Results : 85.0 percent of cancer patient had pain when diagnosed as terminal cancer and 68% of patient had pain above moderate severity. 38.0 percent of those were given inadequate pain management and the greater pain severity, the less adequate(P<0.001). Sex, age, primary site of cancer, metastasis,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Despite guidelines for pain management, man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received inadequate pan management. Their is a need for education about evaluation of pain and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 PDF

Clinical Trial of Nasal Flumazenil Administration (플루마제닐의 경비 투여)

  • Hong, Soo-Jin;Kim, Hyun-Jung;Yum, Kw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8 no.3
    • /
    • pp.441-446
    • /
    • 2001
  • Flumazenil is a competitive antagonist of benzodiazepines. It is usually administered intravenously. However, if the intravenous route is not available then other routes of drug administrat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versal effects of flumazenil after nasal administration. Twenty-five young, healthy adult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clinical trial. The dosage of 0.08mg/kg midazolam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to induce deep sedation. Ten minutes after midazolam administration, 0.5mg of flumazenil was dropped nasally, over a period of one minute. Blood samples were taken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midazolam and flumazenil at 0, 5, 10, and 20min after nasal administration of flumazenil,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degree of sedation was evaluated with sedation score and bispectral index (B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multivariate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P<0.05). Peak serum flumazenil concentration was reached in 10min. Sedation score decreased after midazolam administra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flumazenil administration. However, BIS decreased during the first 10min after midazolam administration and then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flumazenil administration. There were two instances representing rapid and complete reversal of midazolam after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flumazenil. In conclusion, intranasal flumazenil administration may be effective in some patients when intravenous route is not available in condition of benzodiazepine overdose.

  • PDF

Modulacon of Cell Cycle Control by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 in A549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인체폐암세포 A549의 세포주기 조절인자에 미치는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richostatin A의 영향)

  • Hwang Ji Won;Kim Young Min;Hong Su Hyun;Choi Byung Tae;Lee Won Ho;Choi Yung H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5 no.5 s.72
    • /
    • pp.726-733
    • /
    • 2005
  •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s target key steps of tumor development. They inhibit proliferation, induce differentiation and/or apoptotic cell death, and exhibit potent antimetastatic and antiangiogenic properties i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Although they are emerging as a promising new treatment strategy in malignancy, how they exert their effect o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is as yet unclear.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at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 HDAC inhibitor trichostatin A (TSA)-induced growth arrest and its effect on the cell cycle control gene products in a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549. TSA treaoent induced the growth inhibi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reatment of A549 cells with TSA resul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d G1 (under 100 ng/ml) and/or G2/M (200 ng/ml) cell population of the cell cycle 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Moreover, 200 ng/ml TSA treatment significantly induced the population of sub-G1 cells (23.0 fold of control). This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SA was accompanied by a marked inhibition of cyclins, positive regulators of cell cycle progression, and cyclin-dependent kinases (Cdks) expression and concomitant induction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dk inhibitors such as p21 and p27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TSA in human lung carcinoma cells.

Discharge Estimation at Ungauged Catchment Us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

  • Choi, Yun-Seok;Kim, Kyung-Tak;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4
    • /
    • pp.353-365
    • /
    • 2010
  • Generally, river discharge is measured at flood forecasting points, upstream dam points, large rivers, and important points over a basin, and it is hard to estimate discharge of medium or small stream and small catchment. Physically based rainfall-runoff model with geographical parameters can simulate discharge at all the points within a basin with optimized parameters for a point in the basin. In this study,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calibrated at the outlet is applied. The discharge at upstream point is estimated and the possibility of model regionalisation is examined for ungauged catchment of small or medium stream within a river system. Wicheon and Boksu watershed in Nakdonggang (Riv.) and Yudeungcheon (Riv.) respectively are selected. The discharge at Miseong and Sindae station is simulated with the parameters estimated at Museong and Boksu station. The results of Miseong and Sindae station show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hydrographs in peak discharge and peak time and consistently linear relationships with high correlations in discharge volume, peak discharge, and peak time. And it shows GRM could be applied to estimate discharge at ungauged catchments along a river system.

Study of Riverline Change around Sannam Wetland in the Hangang River Estuaty using LANDSAT Image Processing (LANDSAT 위성사진을 활용한 한강하구 산남습지 인근 하안선 변화 연구)

  • Youn, Sukzun;Lee, Samhee;Jang, Chang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2
    • /
    • pp.154-162
    • /
    • 2021
  • The naturally opened Han river estuary is a place where the flows of the Han river, Imjin river, Yaesung river meet with West Sea of Korea, so the hydrodynamic mechanism(Impact-Response) structure of Han river estuary is complex. Continuous observation and measurement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estuary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estuary environment and river management facilities. However, the Sannam wetland(the study area) is in the military operation area. Therefore, Sannam wetland has the limited access under the control from military office. In 2020, there had a natural disaster due to flooding in August and COVID-19, and it made a survey hard. The noncontact survey technique, the analysis of LANDSAT images at Sannam wetland, was applied to analyze riverbed fluctuation and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around Sannam wetland. LANDSAT images obtained from EarthExplorer, USGS and analyzed by QG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area and the distance near Sannam wetland. As a result, an erosion was happened on the downstream of the study area, and the upstream of the study area did not have any serious sediment transport.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LANDSAT images, this noncontect survey technique is applicable to manage the study area. From the analysis of LANDSAT images, it is assumed that the tidal effect is greater than the inflow from the upstream. The pattern change of tidal response causes the damage of the river facilities near the Hangang river estu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