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홈퍼니싱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현실공간 정보를 이용한 셀프 홈퍼니싱 시뮬레이션 시스템 설계 (Design of Home Furnishing Simulation System using Real Space Information)

  • 김동현;김석수;최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1-157
    • /
    • 2019
  • 소규모 가구 증가로 인하여 홈퍼니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이를 위한 가상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가상 시뮬레이션 시스템들의 경우 가상의 공간에서 가상의 객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할 수 없으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의 경우 현실 공간의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 증강되는 객체가 공간의 부정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실 공간의 특징 좌표를 이용하여 객체를 정합하는 과정에서 이를 변형하여 증강시켜 홈퍼니싱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생활가전제품이 홈퍼니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home appliances to home furnishing -Focused on millennials-)

  • 정미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9-395
    • /
    • 2020
  • 본 연구는 생활가전제품이 홈퍼니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가전은 기술발전에 의한 스마트 흐름을 지나 디자인 외적으로 가구와 일체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시대·문화적 트렌드를 담고 있는 홈퍼니싱 관점에서 현세대에게 주거공간이 담고 있는 의미를 탐구한다. 둘째, 최근 밀레니얼 세대를 타깃으로 출시된 가전을 알아보고 제품 컨셉과 스타일링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 생활가전 트렌드를 분석한다. 셋째, 실증연구로서 공간의 의미, 홈퍼니싱 경험, 가전과 인테리어, 현 가전에 대한 호감 등 4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 공간과 관련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가전제품을 인테리어의 주체로 만들어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정량화된 통계 데이터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생활가전제품의 역할과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홈퍼니싱 브랜드 소비자들의 쇼핑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체험마케팅 요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Home Furnishing Brand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Exploring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 정혜정;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39-555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ual constructs of shopping values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of home furnishing brands as well as their impa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ome furnishing goods. The mediating ro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performed on female shopp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who have visited and shopped at home furnishing brand sto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to analyze the sub-dimension of shopping values (Social, Differential, Utilitarian, Aesthetic, Entertaining, and Sustainable)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Sense, Emotion, Coordination information, and Customer services) showed factorial structures. 2) Aesthetic, Differential,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in addition, Sense, Emotion, and Coordination information compon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3) The Emotion and Sense compon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had important medic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shopping values and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should be promoted among consumers to increase behavioral intentions of home furnishing brand products.

패션 브랜드의 리빙 분야 사업특성과 전략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the Living Business of Fashion Brands)

  • 박근영;김성달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3호
    • /
    • pp.40-50
    • /
    • 2020
  • The home furnishing and living market is growing because of the increasing interest of consumers in living spaces. In this trend, global fashion companies are seeking to increase sales by expanding their businesses by launching their own home lines or brands early, taking advantage of the various advantages of each brand. In respon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domestic fashion brands to pursue their business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 case study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living brands of foreign fashion companies in line with the trend of expanding their living-related businesses.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rands of global fashion companies. First of all, utilizing the brand awareness of fashion companies; second, the strength of unique textile designs; and third, the expansion of synerg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business into various fields. Fourth, the lack of diversification in materials suitable for living products; fifth, the lack of information on quality; sixth, the lack of space and contents for living areas. Finally, a living brand strategy of a domestic fashion company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proposed collaboration with textile design companies and designers; second, it proposed exploring business models through the inclusion of brand licenses; and third, it proposed expanding the planning of living products of private brand by distribution companies.

1인 가구의 소비성향 분석을 통한 홈퍼니싱 제품전략 연구 (A Study of Home-furnishing Products Strategy through the Consumption Tendency Analysis of Single Household)

  • 김태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7-245
    • /
    • 2016
  • Single households currently account for 26.5% of all households and their number is expected to continue to rise, reaching 34.5% by 2035. An analysis of the consumption trends and needs of single households shows that they are rising as a new consumer group with a focus on investment on the individual and favouring: small but high-tech products: efficient use of limited resources: safety and peace of mind: self-improvement and leisure. Products which meet such demands are having an impact on the growth of home-furnishing market. An analysis of companies in Korea's home-furnishing market, with examples like the lifestyle company IKEA, shows a variety of brands such as SPA brand, furniture specialist, distributor and character products. And yet most are OEM products which lack differentiated product lines and compete with similar display and distribution structure. We needs the Single household consumption tendency of home-furnishing market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through product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companies in the home-furnishing market, in addition to differentiated design, product competitiveness must aspire to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ith easy assembly, innovation in logistics, innovative sales methods such as virtual-reality simulation for products and space, individually-tailored furniture for the needs of single household and products which combine smart technology. For home-grown home-furnishing brands to have competitiveness, they must leverage on the strengths of the industry, offering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products in a wider range of areas with convergence functions as well as differentiation in consumer interface and application of advancing technology; in-depth product research is called for.

텍스타일 디자인의 세계화, 국제화를 위한 정부정책방향과 교육방안을 탐색하는 연구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for the Global Market)

  • 차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27-36
    • /
    • 1999
  • 한국의 섬유산업은 저임금을 수단으로 1960년도에서 1980년도 중반까지 국내 수출의 큰 기여를 하여옴과 동시에 경제발전에 이바지하여 왔다. 그러나, 1988년을 계기로 국내외의 경제여건의 큰 변동으로 인하여 저임금의 무기로 하청업 위주의 생산방식이 더 이상 국제시장에서 통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섬유제품은 양적인 면에서 질적인 면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저가품생산의 가격위주에서 벗어나 중,고가품생산의 제품위주로 변환되어야 한다. 고부가가치제품의 창출을 위하여는 신소재개발, 염색 및 가공의 혁신과 텍스타일디자인 질의 향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어패럴, 홈퍼니싱, 도메스틱스 그리고 컨트랙트시장의 넓은 국내외의 시장의 석권을 위하여 국내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교육방안이 좀 더 다양해져야 하며, 학생들의 적성에 맞는 세부 전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선택의 여지를 부여해 주어야만 한다. 교육계는 미비한 시설을 강화하여 선진국에 못지 않는 교과목의 재정비가 필요하며, 업체와 교육계는 더욱 더 긴밀한 유대관계를 지녀 학생들의 인턴쉽 제도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에게 졸업전에 산업현장의 이해도를 증진시켜주며, 산업계는 교육계에 기자재 및 섬유, 직물 등의 기증과 교육계는 아이디아 제공 등을 통해 상호협조 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재도가 현실화되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후원이 필요하다. 디자인의 창조는 문화의 창조에 기인되며, 새로운 문화의 창조는 국민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에 먼저 기인되며, 국민에게 디자인의식을 심어주기 위하는 첫 번째 단계는 교육에 있음을 정부와 학계가 인정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