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for the Global Market

텍스타일 디자인의 세계화, 국제화를 위한 정부정책방향과 교육방안을 탐색하는 연구

  • 차임선 (이화여자대학교 섬유예술과)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The history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y is not very long. Its growth only began from the early 1960's. Since then, its production scale and export volume have enpanded enormosly. The textile industr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Korea's sustained economic growth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hile expanding rapidly, however, the Korean textile industry went through many difficulties and problems. To survive through interational competition, the textile produce were manufactured on a subcontract basis and prices were set at too low levels. Consequently the profit margins were very small. To meet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21st century, the textile industry requires restructuring and a drastic progress has to be made in textile design and technology. To becom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the education system for textile design must be improved. The textile schools must be equipped with better technology and facilities so that students may have a hands-on experience and acquire application skills quickly and effectively. Also student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work in the industry as an intern. In order to make all these possible, both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must be fully supportive. Textile designing can be considered a cultural reflection. This implies that to develop the textile industry requires the elevation of the people's mind and culture. To improve textile technology and to elevate the standard of textile design, the government and the textile schools must make continued effort together.

한국의 섬유산업은 저임금을 수단으로 1960년도에서 1980년도 중반까지 국내 수출의 큰 기여를 하여옴과 동시에 경제발전에 이바지하여 왔다. 그러나, 1988년을 계기로 국내외의 경제여건의 큰 변동으로 인하여 저임금의 무기로 하청업 위주의 생산방식이 더 이상 국제시장에서 통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섬유제품은 양적인 면에서 질적인 면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저가품생산의 가격위주에서 벗어나 중,고가품생산의 제품위주로 변환되어야 한다. 고부가가치제품의 창출을 위하여는 신소재개발, 염색 및 가공의 혁신과 텍스타일디자인 질의 향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어패럴, 홈퍼니싱, 도메스틱스 그리고 컨트랙트시장의 넓은 국내외의 시장의 석권을 위하여 국내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교육방안이 좀 더 다양해져야 하며, 학생들의 적성에 맞는 세부 전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선택의 여지를 부여해 주어야만 한다. 교육계는 미비한 시설을 강화하여 선진국에 못지 않는 교과목의 재정비가 필요하며, 업체와 교육계는 더욱 더 긴밀한 유대관계를 지녀 학생들의 인턴쉽 제도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에게 졸업전에 산업현장의 이해도를 증진시켜주며, 산업계는 교육계에 기자재 및 섬유, 직물 등의 기증과 교육계는 아이디아 제공 등을 통해 상호협조 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재도가 현실화되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후원이 필요하다. 디자인의 창조는 문화의 창조에 기인되며, 새로운 문화의 창조는 국민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에 먼저 기인되며, 국민에게 디자인의식을 심어주기 위하는 첫 번째 단계는 교육에 있음을 정부와 학계가 인정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