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네트�p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A Study on Integration of Control Middleware for Information Appliances (정보가전 제어 미들웨어 통합에 관한 연구)

  • Bae, Yu-Seok;Son, Young-Sung;Oh, Bong-Jin;Moon, K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193-1196
    • /
    • 2003
  • 디지털 가전기기와 홈 네트워크 환경이 결합된 정보가전 분야에서 가전기기 제어를 위해 HAVi, Jini, UPnP, LonWorks 등의 다양한 제어 미들웨어 표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가정에 다양한 가전 기기가 존재하고 이를 연동하기 위한 다양한 홈 네트워크 제어 미들웨어가 설치될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각각의 홈 네트워크에 적합한 서비스를 별도로 개발하여 보급해야 하며, 여러 홈 네트워크 가전기기를 통합 및 연동하려면 복수의 네트워크에 적합한 서비스를 각각 개발해야만 한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개발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려는 가전기기의 관련 홈 네트워크를 인식하여 홈 네트워크 별로 가전기기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며 하부 미들웨어에 관계없이 일관된 서비스 개발 및 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전 제어 미들웨어의 통합 방법에 관해 살펴본다.

  • PDF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표준화 동향 및 발전 전망

  • 전호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3
    • /
    • pp.13-40
    • /
    • 2004
  • 홈 네트워킹은 다양한 유ㆍ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커다란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미래의 신 성장 동력 산업이다. 이를 위해 PLC, IEEE 1394, HomePNA와 같은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은 물론 WLAN, WPAN, UWB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킹 기술이 여러 가지의 응용 분야를 무기로 자신의 영역을 차지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댁내의 기기는 이와 같은 네트워킹 기술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그 위에 UPnP나 HAVi, Jini, HNCP 등과 같은 미들웨어가 탑재되어야 상호 호환성이 지원된다. 그리고 하나의 표준화된 H/W나 S/W 플랫폼 위에 혼 게이트웨이가 동작하면 집 외부에서 원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며 응용 분야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그 위에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을 도입하여 홈 네트워크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커다란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킹 기술의 표준화 현황에 대해 정리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의 홈 네트워킹을 위해 반드시 적용해야 할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과 이로부터 효과를 얻기 위해 집안에 홈 네트워크를 어떻게 수용하게 할 것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끝으로 유비퀴터스 네트리킹을 통한 막대한 시장을 먼저 확보하기 위한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의 아키텍처를 정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수행해야 할 Mesh Networking 기술 및 Multi-Hop 네트워킹 기술과 같은 연구분야에 대해 논하였다.(중략)

An Approach for P2P Overlay Network to Provide Interest-based Media Content Discovery in the Digital Home Community (디지털 홈 커뮤니티 환경에서 사용자 관심 기반 미디어 콘텐츠 검색을 위한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

  • Lee, Hyun-Ryong;Kim,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14-516
    • /
    • 2005
  • 국내외적으로 흠 네트워크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현재의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제어 네트워크 중심에서 향후 다수의 미디어 콘텐츠를 보유하는 A/V 흠 네트워크로 발전될 전망이다. 이런 환경 하에서 사용자들은 현재 P2P 파일 공유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자신들의 관심에 기초하여 다른 홈 네트워크에 있는 미디어 콘텐츠들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예상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의 관심 사항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며 보장된 응답시간 내에 미디어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 방안인 IGN (Interest-based Grouping Network)을 제시한다. Chord와 드브루인 (do Bruijn) 그래프로 구성되는 IGN은 structured P2P의 세밀한 검색 지원에 대한 한계와 unstructured P2P의 보장되지 않은 최대 검색 시간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보장된 최대 검색 시간 내에 사용자들의 관심 사항을 세일하게 반영하는 검색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Content List Aggregation for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Contents List Aggregation 구현)

  • Kum, Seung Woo;Kim, Kyoung Won;Lim, Tae Beom;Lee, Seok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75-77
    • /
    • 2011
  • 최근 수년간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홈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및 통신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 기기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의 진보를 통하여 사진, 음악, 영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공유가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UPnP 및 DLNA에 기반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홈 네트워크 표준은 Peer-to-peer 네트워크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홈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서버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에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Contents List Aggregation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되는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 내의 미디어 서버들로부터 Contents List를 전송받아 통합된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서비스의 제안과 함께 서비스를 지원하는 UPnP Device 및 Control Point의 서비스 시나리오, 그리고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운용환경 및 사용예가 함께 제시되었다.

  • PDF

A Design of Open Access Agent for Home Network (개방형 홈 네트워크 액세스 에이전트 설계)

  • 김동균;김기영;전병찬;이상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634-636
    • /
    • 2004
  • 댁내의 정보가전을 댁외에서 동일한 환경으로 제어하고 관리하고자 할 때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에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해 개방형 프로토콜인 SIP와 UPnP를 이용하며 접근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홈 네트워크 내에서는 UPnP 미들웨어를 사용하고 댁외 광역 액세스 망에서는 SIP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SIP와 UPnP를 연결 시켜주는 가교 역할의 브리지를 설계하여 홈 게이트웨이에 설치하여 댁외에서도 댁내의 정보가전을 제어 관리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 PDF

Home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UPnP and Instant Messenger (UPnP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 김찬욱;이성준;이은진;안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709-71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본 논문의 홈 네트워크는 UPnP를 사용하여 구축하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UPnP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을 직접 할 필요가 없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여 접근하므로 고정 IP를 가질 필요가 없다. 외부에서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하지 않는 이상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메신저 클라이언트를 통해 현재 홈 네트워크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메신저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다.

  • PDF

Accessing Networked Appliances using SIP and UPnP on Wide-Area Internet (SIP와 UPnP를 이용한 광역 인터넷망에서의 정보가전 제어)

  • 김동균;전병찬;윤홍수;이상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283-285
    • /
    • 2002
  • 홈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정보가전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미들웨어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만 액세스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접근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는 UPnP 미들웨어를 사용하고 광역 액세스망에서는 SIP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홈 게이트웨이에 SIP와 UPnP를 연결시켜주는 가교역할의 브리지(bridge)를 설계하여 인터넷이나 PSTN과 같은 광역 액세스망에서 댁내 정보가전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UPnP Proxy System for the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댁내 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UPnP 프록시 시스템)

  • 김동희;임경식;이화영;안준철;조충래;박광로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0 no.4
    • /
    • pp.337-350
    • /
    • 2004
  • Because of a security problem and not enough IPv4 address space, the home network has been made up of private network, and it has been separated from Internet. This fact prevents people in Internet from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me appliances. So,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UPnP Proxy System which offers functions for users to control and monitor home appliances. When users are in the outside of the home network, they do not know which devices were connected in the home network because the advertisement messages of UPnP devices would not be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home network. Also, users cannot access devices directly, and their control messages are not delivered into the home network. So,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UPnP Proxy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erit of the system is that users can control and monitor home appliances in realtime using presentation web documents with the HTTP push technology.

The UPnP Expansion for Internet Home Network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of Ubiquitous environment (인터넷 홈 네트워크 가전 제어를 위한 UPnP 확장)

  • Cho, Kyung-Hee;Lee, S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695-698
    • /
    • 2007
  • The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residing in the home network can be accomplished via Internet with the UPnP expansion without modifying an existing UPnP.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rnet Gateway that consists of an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 DCP(Device Control Protocol) and an UPnP Bridge as a system to control electrical appliances of home network. UPnP IGD DCP is to enable the configurable initiation and sharing of Internet connections as well as assuring advanced connection-management features and management of host configuration service. It also supports transparent Internet access by non-UPnP-certified devices. UPnP Bridge searches for local home network devices by sending control messages, while control point of UPnP Bridge looks up devices of interest on the Internet, subsequently furnishing the inter-networking controlling among devices which belong to different home network systems. With our approach, devices on one home network can control home electrical appliances on the other hone network via Internet through IGD DCP with control commands of UPnP.

  • PDF

Extending the Home Network using UPnP+ (UPn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확장)

  • Kim, Hyun-Sik;Park, Yong-Suk;Koo, Sung 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40-542
    • /
    • 2014
  • The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specification permits networked devices to discover each other and to provide diverse services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Recently, new paradigms such as mobile connected computing, cloud-based service delivery, smart device content sharing, and Internet of Things (IoT) have emerged, but the home network based UPnP shows functional limitations in supporting such paradigms. To support them, the UPnP Forum has recently extended the capabilities of the existing UPnP, calling it UPnP+. In this paper,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V2.0 (UDA 2.0), which forms the basis of UPnP+, is presented. We present how UDA 2.0 enables the expansion of the home network to wide-area networks and non-IP device doma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