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 모형

Search Result 1,03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f the 'Prescrib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for University Class Application (대학수업 적용을 위한 처방적 혼합학습 설계 모형에 관한 연구)

  • Kim, Miyoung;Choi, Wonsi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1 no.2
    • /
    • pp.257-3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jor areas that will have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y class, and to provide an actual aid to the instructors that intends to design and practice the 'Blended Learning' by developing a practical and the 'Prescribing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on the basis of real precedent cases. In order to accomplish above study problems, I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and I have results by study problems. a. The major domain for designing the 'prescribed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class application was set up. b. The 'prescribed blended learning design process' for university class application and its character classified by each stages was presented. c. The 'prescribed blended learning design model' synthesized the blended learning design process and its character was presented. To carry out above problems, I have accomplished a literature study, investigation study, and formative precedent study.

A Mixed Model for Nested Structural Repeated Data (지분구조의 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혼합모형)

  • Choi,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2 no.1
    • /
    • pp.181-188
    • /
    • 2009
  • This paper discusses the covariance structures of data collected from an experiment with a nested design structure, where a smaller experimental unit is nested within a larger one. Due to the nonrandomization of repeated measures factors to the nested experimental units, compound symmetry covariance structure is assumed for the analysis of data. Treatments are given as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random factors and fixed factors. So, a mixed-effects model is suggested under compound symmetry structure. An example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nesting in the experimental units and to show how to get the parameter estimates in the fitted model.

Segmentation of Color Image using the Deterministic Annealing EM Algorithm (결정적 어닐링 EM 알고리즘을 이요한 칼라 영상의 분할)

  • Cho, Wan-Hyun;Park, Jong-Hyun;Park, Soon-Young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3
    • /
    • pp.324-333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color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based on a Gaussian Mixture Model(GMM). It is introduced a Deterministic Annealing Expectation Maximization(DAEM) algorithm which is developed using the principle of maximum entropy to overcome the local maxima problem associated with the standard EM algorithm. In our approach, the GMM is used to represent the multi-colored objects statistically and its parameters are estimated by DAEM algorithm. We also develop the automatic determination method of the number of components in Gaussian mixtures models. The segmentation of image is based on the maximum posterior probability distribution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he GM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AEM can estimate the parameters more accurately than the standard EM and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number of mixture models is very efficient. When tested on two natural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much better than the traditional algorithm in segmenting the image fields.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torage Effect of Pollutant Transport at Notch Installed Weir (노치 위어에서 오염물질 저장대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eo, Il Won;Jung, S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3-53
    • /
    • 2020
  • 오염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안전한 수자원의 관리 및 공급을 위해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다양하지만, 수리구조물 등에 의해 발생한 저흐름 영역에 의해 오염물질이 정체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하천에는 약 33,000여 개가 넘는 취수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들은 대부분 광정보 형태의 농업용수 취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보에는 저유량 시기에 보 상하류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노치(notch) 형태의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치로 인하여 보 상류쪽에 연직방향 뿐만 아닌 수평방향 흐름장의 변화 및 저흐름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치가 설치된 보 구조물 주변에서의 수평 방향 흐름 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저흐름 영역에 의하여 오염물질의 정체현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혼합 해석에 사용되는 Fickian 이송-확산 모형은 농도의 공간 분포를 잘 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non-fickian 모형인 하천 저장대 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천 저장대 모형에서의 주요 매개변수로는 저장대 영역(저흐름 영역)의 면적과 질량교환계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영역 및 질량교환계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노치의 조건 변화에 따른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을 위하여 보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개수로에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광범위의 수평방향 흐름구조 및 오염물질의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LSPIV(Large Scale Particle-Image-Velocimetry) 및 PCA(Planar-Concentration-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유속 및 오염물질의 농도자료를 취득하였다. 취득된 유속 자료 및 농도자료를 바탕으로 보 상류에 위치한 저흐름영역의 크기 및 저흐름 영역과 주 흐름 영역 사이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료 분석결과, 노치의 간격이 커질수록 저흐름영역의 크기 또한 증가하였으며, 오염물질의 체류시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option pricing based on GARCH models with normal mixture errors (정규혼합모형의 오차를 갖는 GARCH 모형을 이용한 옵션가격결정에 대한 실증연구)

  • Jeong, Seung Hwan;Lee, Tae Wo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2
    • /
    • pp.251-260
    • /
    • 2017
  • The option pricing of Black와 Scholes (1973) and Merton (1973) has been widely reported to fail to reflect the time varying volatility of financial time series in many real applications. For example, Duan (1995) proposed GARCH option pricing method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However, financial time series is known to follow a fat-tailed and leptokurtic probability distribution, which is not explained by Duan (1995). In this paper, in order to overcome such defects, we proposed the option pricing method based on GARCH models with normal mixture err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SPI200 option price data, the option pricing based on GARCH models with normal mixture errors outperformed the option pricing based on GARCH models with normal errors in the unstable period with high volatility.

Prediction of Submerged Effluent Transport Using Particle Tracking Model with Initial Mixing Characteristics (초기혼합특성을 고려한 입자추적 모형에 의한 수중방류 하수장의 거동 예측)

  • 김영도;강시환;서일원;오병철;주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126-132
    • /
    • 2000
  • 하수처리장의 수중확산관에서 방류되는 부력제트는 초기혼합, 중력확장, 이송-확산 등의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규모가 상이한 범위에서 일어나며, 하수방류 해역의 주변수 흐름은 지형특성과 조석의 영향을 받아 3차원적 비정상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부력제트의 거동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근역과 원역을 분할하여 예측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초기혼합 과정과 중력환장 과정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정상상태는 가정한 특성길이 모형이나 제트적분 모형을 사용하고, 원역으로의 이송-확산 과정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농도 모형이나 임자추적 모형등을 사용한다. (중략)

  • PDF

Mixed distributions and Laten Process over Nonstationary Rainfall/Flood Frequency Estimates over South Korea: The Role of Large Scale Climate Pattern (혼합 분포와 은닉 과정 모의를 통한 비정상성 강우/빈도 빈도해석: 전지구 기상학적 변동성의 역할)

  • 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8
    • /
    • 2018
  • 전통적인 빈도해석은 정상성 가정을 기초로 단일 확률분포를 강우 및 홍수량 자료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확률수문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전지구적인 기상학적 변동성 및 기후변화로 기인하는 극치수문량의 발생 빈도 및 양적 크기의 변화는 확률통계학적 관점에서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가지게 된다. 대표적인 기상변동성인 엘니뇨가 발생하는 경우 지역에 따라 홍수 및 가뭄이 발생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극치수문량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홍수 및 가뭄의 분포특성과는 상이한 경우가 많다. 즉, 2개 이상의 확률분포 특성이 혼재된 혼합분포의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나타내게 되며 이를 고려한 빈도해석 기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혼합분포를 활용한 빈도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 중에 하나는 개별 분포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추정하는 것으로서 통계학적 관점에서 자료의 특성에 근거하여 내재되어 있는 은닉상태(latent process)를 추정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된 기상학적 변동성을 빈도해석에 반영하기 위한 비정상성 해석기법의 개발 및 적용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분포를 활용한 비정상성빈도해석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개별매개변수의 동적거동 뿐만 아니라 가중치에 대한 시간적인 종속성도 고려할 수 있는 모형으로 동적모형으로 다양한 실험적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형을 기반으로 엘니뇨와 같은 기상변동성에 따른 강우 및 홍수빈도해석 측면에서 은닉상태에 변화, 이로 인한 확률분포의 특성 및 설계수문량의 동적변동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On techniques to handle depository layers in stream bed deformation modeling to consider mixed-size sediment transport (하상변동 모의에서 혼합 입경의 이송을 고려하기 위한 퇴적층 처리 기법에 관하여)

  • Dongwoon Kang;Kyungrock Pa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0-220
    • /
    • 2023
  • 단순한 하상 변동 모형은 단일한 입경으로 구성된 하상재료를 다루는 데에 비해, 실제 하천에서는 다양한 입경의 유사가 섞여있다. 이러한 혼합 입경의 유사 이송을 모의하고자 하면 퇴적층의 생성과 소멸을 어떻게 모의하는지에 대한 기법이 중요해진다. 과거 연구에서는 유수의 영향을 받는 하상 두께가 입도 분포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반면, 다른 연구들에서는 두께가 합리적인 범위 내에 있다면 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 상수로 설정하였다. 퇴적층의 개수를 어떻게 고려하느냐에 따라서도 모의기법이 나누어진다. 단일한 입경을 모의하는 경우 단일 퇴적층을 고려하지만, 혼합 입경을 고려하는 모형은 크게 2개의 퇴적층(active layer와 non-active layer)으로 나누는 종류와 3개 이상의 퇴적층을 고려하는 모형으로도 나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혼합 입경의 유사 이송을 모의할 수 있는 전 지형 발달 모형을 활용하여 퇴적층 처리 기법의 차이가 얼마나 모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모의 결과는 기법이 바뀜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3개 이상의 퇴적층을 고려함에 있어서 기존 퇴적층에 새로운 물질이 퇴적되었을 때 경계면에서 입자가 섞이는 mixed layer를 고려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 PDF

A nonparametric Bayesian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비모수 베이지안 겉보기 무관 회귀모형)

  • Jo, Seongil;Seok, Inhae;Choi, Taery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4
    • /
    • pp.627-641
    • /
    • 2016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SUR) model and propose a nonparametric Bayesian approach to SUR with a Dirichlet process mixture of normals for modeling an unknown error distribution. Posterior distributions are deriv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nd the posterior inference is performed via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based on the collapsed Gibbs sampler of a Dirichlet process mixture model. We present a simulation study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e also apply the model to precipitation data over South Korea.

Linear Mixed Models in Genetic Epidemiological Studies and Applications (선형혼합모형의 역할 및 활용사례: 유전역학 분석을 중심으로)

  • Lim, Jeongmin;Won, Sung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2
    • /
    • pp.295-308
    • /
    • 2015
  • We have experienced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and cost-drop for genotyping that enables genetic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large-scale genetic data.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have identified more than ten thousand causal variants. Many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linear mixed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various goals such as estimating heritability and identifying disease susceptibility locus. Empirical results also repeatedly stress the importance of linear mixed models. Therefore, we review the statistical methods related with to linear mixed models and illustrate the meaning of their estim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