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현실공간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nvironment of MRS (혼합현실공간(MRS)의 미디어환경 특성연구)

  • Han, Jung-Yeob;Ahn, Jin-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169-179
    • /
    • 2010
  • In these days, space design is evolving to the mixed reality space where fused on-line and off-line. But, standard and measure of mixed reality space has not been suggested an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media environment and expression method as a mixed system either. That's why here I suggest four media environ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at act not only as a critical point in the mixed reality space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but also as a standard for spatial discerning. 1) Real space that is a media environment only seen by human visual and tactical sense is evolving using expression methods like new material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and LED. 2) Augmented reality space is a media environment using information instruments is expressed with diverse 2D and 3D contents. 3) Cyber Space is a environment depends totally on media instruments is produced by perfect graphic information without any spatial and physical limitations. 4) Augmented cyber space is realized only through the displays in cyber studio and is a space where real objects and graphic information are mix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xperience, media environment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ixed reality space can be fused, blended, and mixed, and that can be realized 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pace where one can experience without spatial, visual, informational limitations. In the future, studies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media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Beginnings of Mixed Reality : 20th Century Visual and Interactive Art (혼합현실의 단초 - 20세기 영상예술과 인터랙티브 아트를 중심으로)

  • Kim, Hee-Yo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2
    • /
    • pp.315-33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today's Mixed Reality Technology did not appear suddenly but has its beginnings in 20th century Visual and Interactive Art. First, Photographic Art expressed thre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mixed images of reality and virtuality. Photogram made people experience both two-dimensional images and three-dimensional effects concurrently, and Photomontage combined various photos and mixed reality and virtuality. Next, Cinema tried to combine virtuality and reality using objets and CG. Early Cinema composed films and real objets.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ed, Cinema composed objet CG on real images and then tried background CG compositing. Finally, Telepresence Art tried a new possibility of Mixed Reality break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subject and object. It oscillates between virtual space in reality and real space in virtuality, or represents Mixed Reality by remote control of long distance participants. In the future, for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Mixed Reality, there will be more need of referring to Visual and Interactive Art.

A Study on Sound Reproduction for Adaptive Mixed-Reality Space (적응형 혼합현실 체험공간을 위한 음향재현 기술에 관한 연구)

  • Park, Ji-Woong;Lee, Ho-Jin;Kwon, So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303-306
    • /
    • 2013
  • 실제공간체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제 물리적인 공간과 가상현실 공간을 융합하는 인터랙티브 아키텍쳐 기반 적응형 혼합현실 기술이 최근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혼합현실 공간에서 동적인 사용자 위치에 따라 물리공간적 몰입감 증대를 위한 오디오 Sweet Spot 최적화 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주파수 대역 별 소리의 물리적 감쇠현상을 활용하여 주파수 별 오디오 신호 보상 전처리를 통해 동적인 사용자 위치에 원음과 동일한 음색의 오디오 Sweet Spot이 형성이 가능한지 실험한 결과 주파수 별 감쇠의 차이를 보정함으로써 원음 그대로의 음색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andard Model for Live Actor and Entity Representation i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혼합증강현실에서 라이브 행동자와 실체 표현을 위한 표준 모델)

  • Yooa, Kwan-Hee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1 no.2
    • /
    • pp.192-199
    • /
    • 2016
  • Mixed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 deals with mixing content between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containing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virtuality excluding of pure real and pure virtual world. I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f a live actor and entity moving in real world can be embedded more naturally in 3D virtual world, various advanced applications such 3D tele-presence, 3D virtual experience education and etc can be servic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ndard model which is supporting to embed the live actor and entity into 3D virtual space, a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lso the natural embedding and interaction of live actor and entity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

Mobile Mixed Reality Technology (모바일 혼합현실 기술)

  • Kim, Gi-Hong;Kim, Hong-Gi;Jeong, Hyeok;Kim, Jong-Seong;Son, Uk-H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4 s.106
    • /
    • pp.96-108
    • /
    • 2007
  • 혼합현실 기술을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기기상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기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을 시작으로 입력된 실세계 공간에 가상의 디지털 정보를 정합하고 표현하는 기술, 사용자가 표현된 혼합현실 환경과 현실감있게 상호작용하는 기술, 그리고 다양한 응용분야에 맞게 혼합현실 콘텐츠를 저작하는 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세부 기술들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세부 기술들에 대한 개요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관련 기술들의 동향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Mixed Reality Dialog Agent for Real-World Control (현실 세계를 제어하는 혼합 현실 대화 시스템)

  • Kim, DaHye;Park, KyuHwon;Jeong, Young-Seob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60-63
    • /
    • 2019
  • 사용자와 자연어 음성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대화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음성 뿐 아니라, 화면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대화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혼합 현실 환경에서 대화 에이전트가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서비스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 현실 환경의 대화 시스템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필요 시 적절한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를 제어할 장치로 사용하였으며, 화면에 보이는 대화 에이전트에게 음성으로 명령하여 전등, 에어컨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Mixed Reality Content with Coloring Technology (컬러링기술이 적용된 혼합현실콘텐츠 제작에 대한 연구)

  • Kim, Ta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4
    • /
    • pp.737-742
    • /
    • 2019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mixedeality contents by realizing AR coloring technology, virtual environment, and VR devices by realizing the interaction in virtual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produced the content from a fairy tale called 'Cinderella' to produce and demonstrate real mixed reality contents. 'Cinderella' shows 3D modeling in the virtual space using the Oculus Rift, and the modeled shoes can be lifted using Leap-Motion. It is a virtual augmented interaction content for exhibition and experience that can move a specific range from the foot on the treadmill. In this paper, we try to share the experience of creating new mixed reality game contents, which is a mixture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continuation of universal use of this field.

Mobile Mixed Reality Storytelling as Spatial Paratexts (공간적 파라텍스트로서의 모바일 혼합현실 스토리텔링)

  • Kim, Yeojin;Lee, Younjae;Nam, Yanghee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0 no.2
    • /
    • pp.57-64
    • /
    • 2015
  • Giving birth to a new concept of spatial paratext which originated from literature criticism,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new value, meaning and properties of mobile mixed reality. While physical places can be regarded as 'langue' that refers to fixed structure and main text at the same time, user created participatory authoring in that place and his(her) spatio-temporal trace corresponds to 'parole', and their merging into mobile mixed reality storytelling can be viewed as 'paratexts'. We proposed a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s for establishing spatial paratexts, also with aesthetic transformation experiments with them. In this way, we gave shape to the concrete concept and realization methods of mobile mixed reality as spatial paratext.

An Internet Mixed Reality System Using VRML and Real-Time Images (VRML과 실시간 영상을 이용한 인터넷 혼합 현실 시스템)

  • Choi, Dong-Woo;Ahn, H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97-300
    • /
    • 2002
  • 지금까지 웹 환경하에서의 3차원 환경은 주로 가상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하고 모델 오브젝트들의 좌표를 갱신시켜 주거나 가상 공간내에 현장의 영상의 일부를 가상공간에 2차원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표현을 하고 있어서 실제로 현장의 환경은 수시로 변화되는 장면을 가상 공간에 3차원 형태로 표현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접속자가 웹상으로 접근하여 VRML로 구성한 3차원 가상의 공간에 실시간으로 texture를 메핑하여 보다 실제감을 느낄수 있는 원력 혼합 현실 공간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가상의 쇼핑 공간에 적용될 경우 접속자가 보다 실제적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으면서 구매할 수 있는 진보된 가상 쇼핑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 PDF

가상과 현실

  • Ju, Sang-Hyeon
    • TTA Journal
    • /
    • s.133
    • /
    • pp.44-49
    • /
    • 2011
  • 인간은 누구나 지구상의 수십억 인구 중 하나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그 현실은 자신의 마음대로 움직여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활동반경 역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환경이라는 현실적 제약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우리는 가상이라는 기술을 이용한다. 가상을 통해 우리는 원하는 대로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를 체험하는 흥미나 오락위주의 기술을 발전시켜 왔지만, 현실과 괴리, 게임 중독, 사회 부적응 등의 부작용을 가져왔다. 그러나, 최근 가상기술이 인간의 생활, 경제, 훈련, 교육, 의료, 국방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면서 더 이상 가상기술이 현실과 독립적으로 떨어진 것이 아닌 현실과 혼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변화해 왔다. 다시 말해 현실의 시공간적 제약을 가상으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환경을 배경으로하는 서비스로 진화한 것이다. 가상쇼핑을 통해 실제물건을 구매하고, 가상드레스를 입어보고 맞춤형 의복을 만들어 내거나, 루부르박물관을 가상으로 투어하고,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커피숍을 찾는 등 점차 가상기술이 현실로 침투해 오고 있다. 이제 보여야 믿는다 (seeing is believing)는 말은 구시대적 발상이 되었다. 보인다고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고, 안보인다고 진짜 없는 것도 아니다. 사람조차도 가상으로 만들어 실제의 사람들과 공존하는 세계를 보여준 "써로게이트"라는 영화가 아직은 먼 미래의 기술처럼 생각되겠지만, 이러한 혼합세계에 다가가기 위한 기술적 접근이 초보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기술의 개발현황과 국가 정책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