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준비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9초

질화규소의 소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소결첨가제 혼합방법의 영향 (Effect of Mixing Method of Sintering Additives on the Sintered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_3N_4$)

  • 김지순
    • 분석과학
    • /
    • 제6권2호
    • /
    • pp.207-215
    • /
    • 1993
  • 소결첨가제($3Al_2O_3{\cdot}5Y_2O_3$, YAG)를 질화규소에 공침방법으로 첨가하여, 통상적인 기계적 혼합 방법으로 준비된 혼합분말에 대한 혼합균일성과 소결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준비된 혼합분말들을 SIMS를 사용하여 분말 표면과 내부의 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공침법을 사용할 경우 소결첨가제가 $Si_3N_4$ 표면에 피복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어 기계적 혼합에 비해 우수한 균일혼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침법에 의한 균일혼합효과는 $Si_3N_4$ 분말소결체의 소결밀도 및 미세구조의 개선을 수반하여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폐어망 보강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 (Shear Properties of Bottom Ash-Crumb Rubber Mixture Reinforced with Waste Fishing Net Using Triaxial Test)

  • 권순장;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9호
    • /
    • pp.81-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어망 보강과 폐타이어 분말 혼합에 따른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저회-폐타이어 혼합토는 저회와 폐타이어 분말(입경 2mm~10mm)의 무게비를 각각 1:0 및 1:0.5로 구성하였으며, 준비된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에 폐어망 보강 시 층수를 달리하여 보강함으로써 6종류의 시편(무보강 저회, 1층 혹은 2층 보강된 저회, 무보강 혼합토, 1층 혹은 2층 보강된 혼합토)을 준비하였다.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한 결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전단특성은 폐어망 보강 층수와 폐타이어 분말 혼합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회에 폐타이어 분말을 혼합하면 폐타이어 분말 자체의 압축적인 특성에 의해 내부마찰각은 감소한다. 그러나 폐어망 보강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내부마찰각은 증가한다. 이것은 폐어망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 입자간의 마찰 및 억물림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굴패각을 혼입한 모르타르 혼합토의 강도특성 연구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ortar Mixture Soil with Oyster shell)

  • 윤길림;김병탁;김준형;채영수;서승남;심재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51-60
    • /
    • 2001
  • 연안역 굴양식장에서 발생하여 폐기물로 분류되어 불법으로 버려지는 굴패각을 파쇄하여 혼합한 모르타르 혼합토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압축강도 시험을 포함한 다양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압축강도시험을 위하여 준비한 모르타르 공시체는 시멘트, 물, 모래 및 굴패각을 다양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강도시험결과에 따르면 분쇄한 굴패각의 비율이 최대 모래중량의 40%까지 혼합한 경우에도 굴패각을 섞지 않은 일반 모르타르 혼합토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압축강도실험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크기로 파쇄한 굴패각을 적절한 혼합비의 모래 및 시멘트와 배합하여 사용한다면 건설재료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분말시료의 TEM용 시편 준비법 연구 (An Investigation of TEM Specimen Preparation Methods from Powders Using a Centrifuge)

  • 정종만;이영부;김윤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67-73
    • /
    • 1999
  • 분말시료를 epoxy로 포매 (embedding)한 후 ion milling하는 방법으로 TEM 시편을 준비하는 경우에는 시료와 epoxy와의 milling정도의 차이 때문에 좋은 시편을 만들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포매 물질에 대한 분말시료의 상대 밀도를 높여 주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인 진공법보다는 원심분리기법을 이용하여 포매하는 것이 시료의 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비슷한 크기의 분말의 혼합보다는 서로 다른 크기의 분말을 혼합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포매할 때, 큰 입자들 사이로 작은 입자들이 유입되면서 분말의 밀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준비된 시료는 ion milling정도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점을 크게 줄일 수가 있어 TEM 관찰에 필요한 시편을 얻을 수 있었다. 원심분리기법은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구형, 판상 및 침상의 분말시료에서부터 TEM 시편을 준비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임이 드러났다.

  • PDF

혼합모델 조립라인의 작업순서 결정

  • 최종열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서강대학교, 서울; 25 Sep. 1993
    • /
    • pp.106-107
    • /
    • 1993
  • 오늘날 다양한 고객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공품재고 없이 단일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혼합모델조립(MMAL)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MAL은 모든 일감에 대해 동일한 작업장, 작업시간이 동일한 여러가지 사양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장, 그리고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형의 작업장에서의 작업순서결정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순서에 따라 작업준비비용이 달라지게 된다. 세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필요로 하는 작업유형의 종류와 양에 따라 원활한 흐름에 변화를 가져온다. 조립라인의 일괄작업순서가 작업장의 처리능력보다 많은 부하를 초래하면 후속 작업장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해당 작업장의 작업자들을 지원하는 보완작업(utility work)을 행하여야 하나, 타 작업장에서 해당조립품의 작업시간에 따라 해당작업장의 부하는 평활화될 수 있으므로 보완작업량은 통제가능하다. 따라서 준비비용과 보완작업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일정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져오고 있으나, 두가지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연구는 아직 많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이미 제시된 TSP개념을 이용한 비선형2진 혼합정수계획모델인 수리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너무 복잡하여 현실문제를 적용할 경우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시간에 최적에 가까운 해를 구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준비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휴리스틱기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작업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유형은 기본작업과 여러가지 선택작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본작업과 두가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Factors for the Adoption of Smartphone-based Mobile Banking : On User's Technology Readiness and Expertise)

  • 이지은;신민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5-172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셀프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인 모바일뱅킹의 소비자 수용 요인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이용자 특성(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 전문지식)에서 도출하였으며, 정보기술수용모형 (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기술준비도(Technology Readiness Index)의 혼합 모형인 기술준비도와 수용모형(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부정적 기술준비도가 모바일뱅킹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전문지식과 긍정적 기술준비도는 모바일뱅킹의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자의 부정적 기술 준비도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칠 뿐,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술적 제약조건이 상당부분 해소된 VM 기반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기술 도입에 관한 이용자 특성을 다룬 연구로써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 및 강도특성 연구 (Compressibil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ed Foam Soil)

  • 윤길림;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성과 강도 특성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는 재료의 경량화와 압축강도의 증가를 위해 해양준설토에 시멘트와 기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초기 함수비, 시멘트 함유율, 실트질 준설토의 혼합을, 구속압조건 등의 다양한 조건에서 준비된 공시체로 일축압축시험 및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경량기포혼합토의 실험결과, 응력-변형거동과 압축강도는 준설토의 초기 함수비보다 시멘트 함유율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초기 함수비, 시멘트 함유율, 기포 함유율을 고려한 정규화계수를 제시하였으며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강도와 정규화 계수와의 유용한 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폐어망 보강형식에 따른 폐타이어-저회 혼합토의 전단특성 비교 (Comparison of Shear Properties of Crumb Rubber-Bottom Ash Mixture Considering Reinforcement Types of Waste Fishing Net)

  • 권순장;김윤태;안재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47-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폐어망 보강형식에 따른 폐타이어-저회 혼합토의 전단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혼합토는 폐타이어(분말입경 2mm~10mm)와 저회를 동일한 무게비로 구성하였으며, 준비된 혼합토에 폐어망 보강 시 층수와 겹수를 달리하여 보강함으로써 5종류의 시편(무보강 혼합토, 1층 혹은 2층 보강 혼합토, 2겹 1층 혹은 2층 보강 혼합토)이 만들어졌다.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한 결과 폐어망 보강 혼합토의 역학적 특성은 폐어망 보강 층수와 보강 겹수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폐어망 보강 층수와 보강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혼합토의 전단강도와 내부마찰각은 증가한다. 이것은 보강된 폐어망과 혼합토 입자간의 마찰 및 억물림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질혼합토의 비배수 전단거동 특성 (Undrained Shear Behavior of Sandy Soil Mixtures)

  • 김욱기;안태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13-24
    • /
    • 2011
  • 지반공학에서 흙은 흙 입자에 의한 세립분 함유율($F_c$=50%)에 따라 모래와 점토로 분류되며, 그들의 역학적 거동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모래-점토 혼합토는 일반적으로 intermediate soils로 불리어, 모래나 점토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율을 갖는 실리카모래 세립혼합토에 대하여 정적비배수 전단시험을 수행하였고, 미리 계산된 에너지의 다짐방법과 예압밀법을 이용하여 모래부터 점토에 이르는 폭넓은 범위의 흙 구조에 대해 공시체를 준비하였다. 한계 세립함유율 보다 작은 혼합토의 전단강도는 세립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최대 축차응력비는 조밀한 시료에 대하여 감소하고 느슨한 시료에 대하여 증가한다. 그 후, 골격간극비의 개념을 이용하여 혼합토의 단조 전단강도를 평가하였으며. 이에, 혼합토의 전단강도는 모래입자가 이루는 골격구조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