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작용

검색결과 1,398건 처리시간 0.031초

propanol계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및 동공 점유 분석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Cage Occupancy Analysis of the Mixed Gas Hydrates Containing 1-Propanol and 2-Propanol)

  • 이영준;이승민;박성민;김연주;서용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1.1-121.1
    • /
    • 2011
  • 일반적으로 알콜계 물질은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에 저해제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연구를 통해 2-propanol이 일부 조건에서 촉진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콜계 물질인 1-propanol과 2-propanol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격자내로의 포집여부와 그로 인한 촉진 혹은 저해 작용 그리고 구조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CO_2$$CH_4$ 기체에 대하여 1-propanol 혹은 2-propanol을 첨가하여 형성된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3상평형 기상(V)-물(Lw)-하이드레이트(H))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O_2$의 경우 1-propanol과 2-propanol이 저해 작용을 함을 확인하였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저해작용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H_4$의 경우 1-propanol에서는 저해 및 촉진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2-propanol에서는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며 5.6 mol%에서 촉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구조규명 및 동공 점유 분석을 위해 $^{13}C$ NMR과 XRD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2-propanol과 1-propanol을 포함하는 혼합 하이드레이트는 구조 II를 형성하며, 2-propanol과 1-propanol은 큰 동공에 포집되고, 기체는 작은 동공에 포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콜계 물질을 첨가제로 사용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공정에서 매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현실 세계를 제어하는 혼합 현실 대화 시스템 (Mixed Reality Dialog Agent for Real-World Control)

  • 김다혜;박규훤;정영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0-63
    • /
    • 2019
  • 사용자와 자연어 음성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대화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음성 뿐 아니라, 화면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대화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혼합 현실 환경에서 대화 에이전트가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서비스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 현실 환경의 대화 시스템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필요 시 적절한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를 제어할 장치로 사용하였으며, 화면에 보이는 대화 에이전트에게 음성으로 명령하여 전등, 에어컨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감포와 연일 지역 벤토나이트 내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의 팽창성 및 X-선 부합성산란영역크기에 관한 연구

  • 강일모;문희수;유장한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5-329
    • /
    • 2003
  • 일반적으로 스멕타이트는 온도, 시간, 공극수 내 K 함량 등이 증가하면서 일라이트화 작용을 통하여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I-S)로 전이된다. 따라서, 벤토나이트(주로 스멕타이트질 광물로 구성된 화산쇄설물의 변질산물)는 지질환경에 따라 스멕타이트 또는 다양한 혼합층비를 갖는 I-S를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벤토나이트 내 스멕타이트와 일라이트의 혼합층비는 팽창성(expandability)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중략)

  • PDF

카제인-알긴산 혼합물의 비혼합성 (Incompatibility of Casein-Alginate Mixtures)

  • 최문정;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35-1039
    • /
    • 1998
  • 수용액상에서 단백질과 다당류 사이의 비혼합성은 일반적인 현상이므로 다양한 조성과 형태의 수용성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식품에서 상분리는 매우 전형적인 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원료로 자주 쓰이는 카제인과 알긴산을 이용하여, pH (6, 8, 10), NaCl 농도(0, 0.25, 0.5 M), 알긴산의 분자량$(1.64{\times}10^5,\;1.95{\times}10^5)$에 따른 상분리현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품에서 카제인이 유화제로 작용할 때 알긴산의 첨가에 따른 혼합성의 변화는 카제인의 유화안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알긴산의 분자량에 따른 혼합성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pH가 높을수록, 염농도가 낮을수록 카제인-알긴산 혼합물의 비혼합성은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카제인과 알긴산 사이의 정전기적 작용이 혼합성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직 평행 평판에서 상호작용 유동이 대류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teractive Flow on Convective Heat Transfer from Two Vertical Parallel Plates)

  • 김상영;이재신;양성환;권순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992-1000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수직 평행 평판의 혼합대류 열전달에 대하여 평판간격 과 평판온도를 변수로 하여 수치해석과 실험을 행하였다.

이항분포의 특정 상호작용을 갖는 이성분 용액에서의 부분혼합도 (Partial Miscibility of Binary Solution with Specific Interaction of Binomial Distribution)

  • 정해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28-534
    • /
    • 2014
  • 어떤 이성분계용액에서는 상한임계용액온도와 하한임계용액온도가 동시에 나타나는 원형모양의 온도-조성 상도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분자간 특정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경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상호작용을 묘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상호작용의 총수가 이항분포에 따라 분포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경우 특정상호작용을 Regular 용액이론, Quasichemical 이론 그리고 Flory-Huggins 격자이론에 적용하였을 때 원형모양의 온도-조성 상도를 보이는 경우에 대한 정확한 수학적인 조건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매개변수들이 온도-조성상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물-니코틴에 대한 온도-조성상도를 계산하여 실험값과 비교하여 보았다.

모바일 혼합현실 기술 (Mobile Mixed Reality Technology)

  • 김기홍;김홍기;정혁;김종성;손욱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2권4호통권106호
    • /
    • pp.96-108
    • /
    • 2007
  • 혼합현실 기술을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기기상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기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을 시작으로 입력된 실세계 공간에 가상의 디지털 정보를 정합하고 표현하는 기술, 사용자가 표현된 혼합현실 환경과 현실감있게 상호작용하는 기술, 그리고 다양한 응용분야에 맞게 혼합현실 콘텐츠를 저작하는 기술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세부 기술들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세부 기술들에 대한 개요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관련 기술들의 동향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난류 생성기를 장착한 선회기의 연소 현상

  • 류승협;손창현;이충원;이근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5회 학술강연회논문초록집
    • /
    • pp.14-14
    • /
    • 2000
  •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료와 공기의 충분한 혼합이 필요하다. 연료와 흡입되는 공기의 혼합은 큰 스케일의 난류 성분보다는 오히려 연소기내에서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작은 스케일의 난류 성분에 크게 지배를 받게된다. 이러한 혼합 촉진을 위해 연료와 공기의 경계면에서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압력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지만 혼합의 촉진에 의한 완전연소와 저 NOx화는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중략)

  • PDF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그리고 Xylene isomers(BTEX)의 분해시 기질반응 (Substrate Interactions on Biodegradatio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Isomers(BTEX) by Indigenous Soil Microorganisms)

  • 라현주;장순웅;이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5-383
    • /
    • 2000
  • 유일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에서 toluene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혼합미생물을 분리하여 toluene, benzene, ethylbenzene 및 xylene isomers(BTEX)의 분해특성을 관찰하였다. 단일기질 실험에서는 모든 BTEX의 분해가 이루어졌으며 toluene, benzene, ethylbenzene, p-xylene 순서로 분해되었다. BTEX 혼합기질 분해실험에서는 단일기질일 때보다 분해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졌으며, ethylbenzene이 benzene보다 먼저 분해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중 혼합물질 반응 실험에서는 방해작용(inhibition), 촉진작용(stimulation), 그리고 비반응(non-interaction)과 같은 다양한 기질반응이 관찰되었으며, ethylbenzene은 benzene, toluene, xylene의 분해에 강한 방해영향을 주었다. Xylene 분해특성에서 m- 및 p-xylene은 혼합미생물에 탄소원으로 이용되었으며 benzene이나 toluene이 동시에 존재할 때는 xylene isomer의 분해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o-xylene의 분해는 benzene에 의해서만 촉진되었다.

  • PDF

새포아풀(Poa annua L.) 방제를 위한 Bispyribac-sodium과 타약제와의 혼합 상호작용 (Herbicidal Efficacy of Bispyribac-sodium Combined with Other Herbicides for Annual Bluegrass(Poa annua L.) Suppression)

  • 박남일;이인용;박재읍;김호준;전재철;소립원승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9
    • /
    • 2007
  • Bispyribac-sodium은 벤트그린에 발생한 새포아풀의 출수 개화를 억제시켜 밀도를 저하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제초제다. 이러한 생육중의 새포아풀에 대한 제초 및 생육억제 활성을 보이는 bispyribac-sodium을 기준으로 하여 잔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21종의 토양 및 경엽처리형 제초제와의 혼합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bispyribac-sodium과 benfluralin, pendimethalin, oryzalin, siduron, chlorphtalim, isoxaben, bifenox, tenylchlor, indanofan, bentazone, imazosulfuron, imazaquin, halosulfuron-methyl 및 limsulfuron과의 혼합처리에서는 단제처리 대비 새포아풀에 대하여 현저한 약제의 제초 상승작용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mecoprop, triclopyr, metsulfuron-methyl, cyclosulfamuron, pyrazosulfuron-ethyl 및 pyributicarb과의 혼합처리에서는 단제처리와 비교하여 제초 상승작용을 보였으며, 벤트그래스에 대한 약해발생 정도도 미미하였고 후에 회복되었다. 향후 서로 다른 생육환경 조건과 관리가 수행되어지는 실제 벤트그린에서의 bispyribac-sodium과 타 약제간의 실증실험을 통한 상호작용의 검토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