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작용

검색결과 1,398건 처리시간 0.034초

혼합모드 피로균열의 응력재분배 상태 하의 전파거동

  • 이정무;송삼홍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3-103
    • /
    • 2004
  • 실제 작용하는 하중상태는 요소의 형상과 작용하중의 복잡성 때문에 혼합모드 하중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혼합모드 피로균열은 전파과정 동안 부재의 구속형상이나 외부 작용하중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서도 영향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로균열은 균열선단에서 지속적이면서 급격한 응력 재분배의 상태를 경험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응력 재분배 상태에서의 혼합모드 피로균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 재분배상태 하에서 나타나는 혼합모드 피로균열의 전파거동에 대한 특징이 실험적으로 고찰되었다.(중략)

  • PDF

유역단위 하천 지하수 상호작용의 하천-정밀분석 (The precise analysis on the watershed based river-groundwater interaction)

  • 김남원;유상연;정일문;이정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19-1923
    • /
    • 2008
  •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은 혼합대(hyporheic zone)와 홍수터 물수지에도 영향을 끼치며 특히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혼합대의 경우 유역 전반에 걸쳐 불균일한 분포를 나타낸다. 그런데 기존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하천변에 근접한 지역의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하천-대수층간 상호작용의 영향을 하천변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역규모로 확장하여 유역단위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을 해야만 보다 정확한 지표수-지하수의 연계운영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해 완전연동형 SWAT-MODFLOW를 이용하여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의 강도를 하천 구간별로 찾아내고 그 교환의 공간적 범위도 추정함으로써 혼합대연구를 위한 실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유역 단위의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하여 SWAT-MODFLOW모형을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시킨 결과 하천과 대수층간에 상호작용의 영향범위와 영향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의 정밀분석을 통한 영향권 산정 및 혼합대의 발생범위 예측은 향후 하천복원 사업시 수생생태계 건강성 지표와 관련된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야외계통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살비제 혼합의 연합독작용 (Joint Toxic Action of Acaricide Mixtures to the Field-Collected Strain of Tetranychus urticae(Ar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김도익;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6-183
    • /
    • 1993
  • 야외계통 점박이응애에 대한 amitraz와 bifenthrin, propargite, fenbutatin oxide, dicofol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연합독작용을 시험한 결과, 살비제 혼합에 의한 협력작용은 살비제 조합 또는 그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모든 약제조합에서 협력작용이 나타나, amitraz와 bifenthrin의 혼합에서 2:8, amitraz와 fenbutatin oxide의 조합에서 8:2, amitraz와 propagite의 혼합에서 4:6 그리고 amitraz와 dicofol의 조합에서는 6:4의 비율에서 최대의 협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강원도 태백시 고사리도석광산에 산출하는 점토광물의 산상 및 특성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Clay Minerals in the Gosari Pottery Stones Mine in Taebek, Kangweon-do)

  • 황진연;정윤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0
    • /
    • 1994
  • 고사리광산의 도석에는 다량의 석영과 함께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운도/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 카오리나이트와 같은 점토광물이 산출한다. 이들 점토광물에 대해 주로 X-선회전분석과 화학분석 등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광산의 도석은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을 다량 함유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Li을 함유하는 돈바싸이트로 된 녹니석층과 바이델라이트에 가까운 스apr타이트층으로 구성된 혼합층구조를 이룬다. 이 곳에 산출하는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모두 약 15% 이하의 팽윤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 광산의 도석은 백악기의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광물조합의 분포상태에 의해 대략적인 변질분대가 나누어진다. 중심부인 강변질대에서는 다량의 녹니석/스텍타이트 혼합층광물이 나타나며 카오리나이트가 수받되기도 한다. 그 외곽지역의 약변질대에서는 점토광물로서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이 주로 나타난다. 카오리나이트는 주로 열극이나 그 주위에 국부적으로 산출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변질광물의 산출상태로 볼 때 변질작용의 진행에 따라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이 먼저 형성된 후 이것의 일부가 녹니석/스맥타이트 혼합층광물 및 카오리나이트로 변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도 카오리나이트는 열수의 공급이 많은 열극부에서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 광물과 거의 동시기에 침전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광산에서 산출하는 일부 운모/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은 후기의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도 포함된다.

  • PDF

혼합모드 I+II 피로 하한계 영역에서의 모드II 영향에 관한 고찰

  • 홍석표;송삼홍;이정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13-113
    • /
    • 2004
  • 실제 사용중인 기계나 기계구조물은 다양한 환경 및 복잡한 설계조건으로 인하여 변동하중과 다축에서 작용하는 혼합모드 하중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순수 모드 I 하중상태 하에서의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실제 구조물에서 대부분 발생하는 혼합모드 하중상태 하에서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계구조물내의 많은 성분요소에 존재하는 작용 하중 방향에 수직적이지 않게 되며, 초기균열의 균열선상에서 성장하지 않는다.(중략)

  • PDF

중국(中國) 장홍화(藏紅花)과 홍경천(紅景天) 혼합추출액(混合抽出液)의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 활성(活性) (Antioxidant Activities from Crocus sativus and Rhodiola saccharinensis in China)

  • 양초;;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0-130
    • /
    • 2018
  • 중국 장홍화는 해발 1500m~3000m에 자생하는 고원식물이다. 장홍화에 함유되어 있는 크로신은 암세포를 파괴시키어 종양세포를 줄이는 작용을 하며,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항산화 활성과 면역을 증진시키어 항암효과를 가져다 준다. 또한 다량의 칼륨을 함유하고 있어서 나트륨배출에 효과적이어서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중국 홍경천은 극한의 생육환경으로 고산병 예방, 피로회복, 작업능력향상, 운동능력향상과 세균의 저항력향상, 진정작용과 강심작용, 조혈작용, 항산화작용등이 신경전달물질의 활동을 증진시키어서 스트레스 해소와 치매 및 인지력을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홍경천과 장홍화 혼합추출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물질 활성을 조사했던 바, 홍경천과 장홍화 혼합추출액에서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에서도 매우 양호한 항산화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실내 분광 측정자료를 이용한 선형혼합모델의 오차 분석 (Error Analysis of Linear Mixture Model using Laboratory Spectral Measurements)

  • 김선화;신정일;신상민;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37-546
    • /
    • 2007
  • 초분광영상의 분석 기법 중 하나인 선형혼합분석기법은 각 화소를 구성하는 구성물질과 구성 비율을 추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선형혼합모델은 지질 및 광물분포와 관련된 분야에서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산림이나 여러 인공물들로 구성된 도시와 같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 혼합체에서는 그 정확도가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과 토양의 혼합체를 대상으로 선형혼합모델을 적용하여 계산된 혼합체의 반사값과 실제 이 혼합체들을 분광측정기로 측정한 반사값과의 비교를 통해, 선형혼합모델의 오차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선형혼합모델의 오차 원인인 구성 물질간의 분광적 상호작용이 어느 경우 발생 혹은 증가하는지를 분석하고, 또한 파장대별 상호작용의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선형혼합모델은 혼합체를 구성하는 구성물질의 구성비율이 비슷한 경우, 각 구성 물질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여 선형혼합모델의 오차가 가장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선형혼합모델의 오차 원인인 구성 물질간 상호작용의 발생 정도는 혼합체를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반사 특성, 구성비율, 파장대와 구성 성분의 배열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선형혼합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혼합체의 특징들이 구성 물질간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Cypermethrin과 Pirimicarb 저항성계통 복숭아혹잔딧물에 대한 살충제문의 연합독작용 (Joint Toxic Action of Insecticide Mixtures to the Cupermethrin-and Pirimicarb-Selected Strains of Green Peach Aphid(Myzus pericae Sulzer))

  • 안용준;김길하;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2-36
    • /
    • 1989
  • Cypermethrin과 pirimicarb도태 저항성계통 복수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대한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 혼합시의 연합독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permethrin 도태 저항성계통에 Cypermethrin+acephate, cypermethrin+demeton-S-methyl, cypermethrin_pirimicarb를 처리하였을 때, 혼합비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독립작용 또는 길항작용을 보였다. Pirimicarb 도태 저항성계통에 pirimicarb+acephate, pirimicarb+cypermethrin을 각각 8:2, 2:8 혼합처리하였을 때 최대의 협동결과를 보였으나, pirimicarb+demeton-S-methyl의 경웨는 혼합비에 관계없이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ethyl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및 상호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에 관(關)하여 - 제(第) 1 보(報)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Studies on Effect and its Mechanism of Herbicide Mixtures of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and Pyrazosulfuron-ethyl - I. Interaction of Herbicide Mixture)

  • 오명근;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4-160
    • /
    • 1998
  • 본(本) 연구(硏究)는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우수한 경엽처리형(莖葉處理型)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선발(選拔)하기 위해 3원(元) 2차(次) UPCCD계획법(計劃法)을 이용(利用)하여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피, 너도방동사니 등의 잡초(雜草)를 방제대상(防除對象)으로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간(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효과(混合效果)를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UPCCD계획법(計劃法)의 활용가능성(活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1)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직선(直線) 및 2차곡선(次曲線)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또는 비수식(指數式), 대수식(對數式)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이라도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처리량(處理量) 범위(範圍)를 적당(適當)히 선정(選定)하면 UPCC계획법(計劃法)을 응용(應用)하여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제(混合劑)의 혼합효과(混合效果) 분석(分析)은 가능(可能)하였다. (2) 제초제(除草劑) cyhalofop,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피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제초제간(除草劑間)에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존재하는 동시(同時)에 cyhalofop와 bispyribenzoxim 간(間)에 역상호작용(逆相互作用)이 존재하여 "부분적 상가작용(相加作用)"이 검정(檢定)되었다. (3) 너도방동사니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pyrazosulfuron, bispyribenzoxim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yrazosulfuron과 bispyribenzoxim 간(間)에는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있었다. (4) 사마귀풀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bispyribenzoxim과 pyrazosulfuron 간(間)에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이 있었다. 피, 너도방동사니 및 사마귀풀 등의 3종(種) 잡초(雜草)의 $ED_{90}$을 나타내는 cyhalofop+bispyribenzoxim+pyrazosulfuron 적정혼합(適正混合) 처리량(處理量)은 100+12+10g ai/ha 이었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12731와 Kluyveromyces fragilis KFCC35457의 대두유 발효중 당대사의 상호작용

  • 류인덕;박정길;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1.2-531
    • /
    • 1986
  • 대두유중에서 L, acidophilus와 K. fragilis를 단독발효시키는 것 보다 혼합배양 함으로써 젖산의 생성이 촉진되었는데 균간의 어떠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산의 생산이 증가되었는가를 연구하였다. 대두유와 Soywhey를 사용하였을 때의 젖산 생성속도는 L. acidophilus 단독보다는 K. fragilis 와 혼합배양하는 것이 빨랐다. 이들 균을 단독 또는 혼합배양하여 경시적으로 발효 대두유중의 당 성분을 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L. acidophilus가 발효하기 어려운 sucrosed raffinose, stachyose를 K. fragilis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하여 젖산균이 발효할 수 있는 glucose, fructose로 분해되기 때문에 혼합배양 함으로써 젖산 발효가 촉진된다는 것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