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능력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인지부하 환경에서 호흡방식이 생체신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omparing Physiological Changes in Breathing Conditions during Cognitive Tasks)

  • 정주연;이영배;박현미;강창기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79-86
    • /
    • 2022
  • 대기오염 등의 영향으로 실내 활동 시간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뇌기능과 신체활동 측면에서 보다 건강한 실내 생활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고려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내 산소의 농도와 호흡의 방법에 따라 인지능력과 생체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보다 건강한 실내 일상생활을 제안하고자 한다.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공기 전달 시스템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산소마스크를 통해 흡입하도록 하였다. 호흡 방법과 산소농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피험자는 3가지 호흡(비강, 구강, 및 고농도 산소공급과 함께 구강 호흡)을 인지부하자극(눈 감은 휴식기, 눈 뜬 휴식기, 1-back 및 2-back 작업기억 과제) 별로 각각 수행하였다.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정확도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호흡에 따른 인지부하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지 호흡에서 모두 인지부하의 증가에 따라 심박동수는 유의하게 증가하면서 인지부하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생체신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호흡에서는 분당 호흡 횟수가 인지부하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인지활동 시 구강호흡에서 부족한 산소공급을 보완하기 위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확인하게 되었다. 반면 고농도 산소공급과 함께 수행한 구강호흡에서는 비강호흡과 같이 분당 호흡 횟수의 유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농도 산소공급이 구강호흡과 같이 비효율적인 산소 흡입이나 산소 농도가 부족한 환경에서 이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 변화까지 분석하여 인지 뿐만 아니라 심리에 미치는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깊은호흡 시 미주신경 전기자극이 호흡근 활성과 호흡능력에 미치는 효과(사례 연구) (Effect of Vag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on Respiratory Muscle Activity and Lung Capacity during Deep Breathing (Case Study))

  • 문현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18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respiratory muscle and lung capacity during deep breathing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healthy adults in their 20s. Subjects were randomly performed to deep breathing or deep breathing with vag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All subjects' diaphragm and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during deep breathing by electromyography, and lung capacity was measured by spirometry immediately after beep breathing. In the vagus nerve stimulation method, the surface electrode was cut into the left ear and then electrically stimulated using a needle electric stimulator. Results: The activity of diaphrag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ep breathing with vag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than in deep breathing. However, lung capac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Conclusion: Vag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could induce diaphragm activity more than deep breathing alone. Deep breathing with vag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may enhance the activity of the respiratory muscles and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the elderly or COPD patients with poor breathing ability.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ute Respiratory Training Feedback upon a Change on HRV-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dle-aged Women)

  • 김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45-453
    • /
    • 2018
  • 본 연구는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년여성(40-60세) 총 24명을 호흡군 12명, 통제군 12명으로 무선할당하여 일회성 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호흡군의 피드백 훈련은 총 15분 동안 실시되었으며, 10분 간 전문가 지도에 따른 호흡 자각 훈련 후 5분 간 자율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들은 일회성 호흡 훈련 후 SDNN, RMSSD, LF, HF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호흡군이 통제군보다 SDNN, RMSSD, LF, HF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Mean HR과 LF/HF는 집단과 시기의 주효과,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은 중년여성들의 SDNN, RMSSD,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자율신경계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완화 및 자율신경실조증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중재의 효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호흡운동이 20대 정상인의 복합적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Convergence Vital Capacity and Maximal Voluntary Volume of 20's Normal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Respiration Exercise by Sitting Position)

  • 김옥기;박승환;서교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3-4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PNF호흡운동을 통해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20대 대학생 정상인 20명을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동공처리방식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은 4주간 실시하였는데 이때 1주일에 3회로, 1회 30분씩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실험군은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를 적용한 호흡운동을 30분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횡격막호흡운동을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실험 전과 후에 폐활량측정기로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을 측정하여 기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폐활량, 최대환기량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5). 결과를 통해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를 이용한 호흡운동을 실시 할 때 실험자의 수기로 인한 적절한 저항을 적용하는 PNF패턴이 이완성 호흡을 중시하는 횡격막호흡운동보다 더 크게 호흡능력의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 강정일;양상훈;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7-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이 결합된 들숨근 훈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 및 다리근육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1명을 임상 표본추출하여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적용한 집단 11명을 실험군I로, 호흡운동을 결합한 위약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I로 각각 무작위 배치하여 5주 간, 4일/주, 1회/일, 4세트/1회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최대들숨압 측정기로로 호흡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 근전도로 하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버그발란스 검사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5주 후에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 및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군I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과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향후에도 신경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과 전신진동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인삼(高麗人蔘)에 대한 제초제(除草劑) Fluazifob-butyl의 안전성(安全性) (Safety of the Herbicide Fluazifop-butyl application on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조재성;원준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6-150
    • /
    • 1995
  • 선택성 화본과 잡초의 제초적인 Fluazifop-butyl의 고려인삼에 대한 안전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을 위시하여 이의 3배 또는 4배 약량까지 약량별로 인삼의 경엽에 분무처리한 후 인삼 잎의 광합성량과 호흡량 및 인삼의 경엽생육을 측정하였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 또는 2배 약량을 경엽처리할 경우에는 인삼의 광합성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배 또는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직후 광합성량의 저하를 초래하였던바 3배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7일에 인삼 잎의 광합성 능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지 않았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으로 경엽처리 할 경우에도 인삼잎의 호흡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호흡량의 감소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Fluazifop-butyl의 경엽처리에 따르는 호흡량의 감소정도는 처리약량을 증가할수록 현저히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의 3배 약량으로 경엽처리 하여도 인삼 엽병의 길이나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인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의 생육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위한 호흡재활 중재가 운동 능력 및 내구성, 일반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 오현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3-752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bine the effects of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PRP)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COPD patients based on the primary research results examined the effects of PRP, Method: Seventeen studies were selected by the sampling criteria established to include the studies that reported enough statistics necessary to conduct meta-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most effective indicators for exercise capacity/tolerance were exercise time (such as cycling time or treadmill walking time) and ground walking distance within given time (6 minutes or 12 minutes), whereas effects on such indicators as VE and VO$_2$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P induced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s' general health status, frequently measured by physical, psycho-emotional, and holistic indicators, the enhancement on psycho-emotional dimension resulted from PRP was more prominent than those of the other dimen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noted that the place where PRP was given and the contents of PRP exercised their influence on the outcome variables. Which body part was trained was also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atients' perception of dyspnea during exercise as well as on exercise capacity/tolerance. Conclusion: PRP including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exercise capacity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COPD patients.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의 다양한 누운 자세별 복합적 폐활량에 대한 비교 (Analysis of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in the 20s Me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Multiple Lying Positions)

  • 김옥기;박승환;서교철;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이 다양하게 누운 자세변화 따른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누운 자세,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 원쪽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러 누운 자세에 따라 폐기능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활량을 평가해 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여 실험 대상자의 자세변화에 따란 호흡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폐활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엎드러 누운 자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경도의 지적장애인이 일상이나 임상에서 침상생활을 할 때 취침에서 가장 안정된 호흡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상적인 누운 자세를 제시하고 효율적 환기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심폐질환 환자에서 걷기검사를 이용한 폐기능 및 운동기능의 평가 (Walking test for assessing lung func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disease)

  • 정혜경;장중현;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76-986
    • /
    • 1996
  • 연구배경: 호흡곤란은 심폐질환 환자의 가장 흔한 증상이며 호흡 장애 결과로 인한 운동 능력저하는 일상 생활을 불가능하게 한다.(daily disability) 운동시 산소 소모량은 운동 능력 평가의 기능적 척도이며 심폐기능 정도를 반영하는 가장 좋은 지표로 얄려져왔다. 그러나 운동 부하 검사는 장비가 비싸고 복잡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노령층의 환자에는 수행에 많은 제약점이 따른다. 반면 걷기검사는 일상 생할과 비슷한 운동량으로 실시하여 특별한 장비가 필요없고 재현성이 높은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흡 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걷기검사를 시행하여 동맥혈검사 및 폐기능 검사, Modified Borg Scale(MBS), 최대 산소 흡수율(maximal oxygen uptake; 이하 VO2max) 간의 상관 관계 및 6분과 12분 걷기검사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37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OPD, 심혈관질환, 기관지 천식, 운동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였으나 정상 소견을 보인 네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환자에서 안정 상태에서 폐기능 검사와 동맥혈 가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정 시 MBS를 이용하여 호흡곤란 지수를 기록하고, 걷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증상 제한적 최대 운용 검사(Symptorn-limited maximal exercise)는 자전거 타기 검사로 시행하였다. 결과: (1) 전체 환자에서 VO2max 은 COPD 및 심혈 관질환에서 다른 두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걷기검사 역시 현저히 낮았다. (2) 전체 환자에서 12분 걷기 검사는 VO2max, PaCO2, FVC(% predicted), FEV 1 (% predicted)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COPD 환자군에서는 걷기검사와 VO2max간에만 상관 관계가 있었다. (3) COPD 환자군에서 VO2max와 FEV1, FVC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컸고, VO2 max와 걷기검사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걷기검사와 FEV1 FVC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6분 걷기검사와 12분 걷기검사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2, p<0.01). 결론: 걷기검사는 심폐기능을 반영하는 운동능력 평가의 간단한 방법으로 VO2max의 간접적인 지표로 유용하였으나 최대 운동 능력과는 다른 개념인 'daily disability'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6분 걷기검사는 12분 걷기검사보다 환자의 부담은 줄이면서 심폐질환자의 폐기능 및 운동 기능 평가에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