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흡능력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2초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재활에 미치는 효과 (The Efficacy of Pulmonary Rehabilitation Using Mechanical In-Exsufflator in Stroke Patients with Tracheostomy Tube)

  • 장상훈;이연섭;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30-3036
    • /
    • 2012
  • 본 연구는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이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능력 및 기침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 10명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을 2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훈련 4주 후 그리고 8주 후 대상자의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노력성 폐활량비 그리고 도수 보조 최대 기침유량을 측정하였으며 기간에 따른 호흡능력과 기침능력을 알아보고자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도수 보조 최대 기침유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강제 양압식 호흡훈련은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뇌졸중 환자의 호흡능력 및 기침능력을 증진시켜 기관절개관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훈련방법이라 할 수 있다.

카페인 중독이 20대 성인 여성의 심장호흡기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wenties Female Caffeine Addiction on Cardiorespiratory Capacity)

  • 윤영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97-2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 광역시 소재의 H 대학교 여학생 35명을 카페인 중독자(n=17)과 카페인 비중독자(n=18)가 참여하였다. 심장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사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에너지소비량, METs를 측정하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은 파워브리드 K5를 사용하여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속, 평균들숨유속, 최대들숨량, 평균들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장능력에서 카페인 중독군은 카페인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과 METs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에서는 카페인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속, 평균들숨유속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카페인 중독은 20대 여성의 심장호흡기계 능력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병수;박삼호;박효정;이명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34-243
    • /
    • 2019
  • 본 연구는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환자 17명을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n=8)과 일반 진동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군(n=9)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30분간 1일 1회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폐활량과 호흡근력 그리고 동적/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전 후 비교 결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의 결과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실험군의 폐활량과 호흡근력 또한 실험전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훈련은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호흡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Rectus Abdominis on Respiratory Capabilitie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조미숙;박래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4호
    • /
    • pp.601-612
    • /
    • 2005
  • 본 연구는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1회 호흡용적과 폐활량 등의 호흡능력과 복직근의 근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구 시내 OO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4세 이상 16세 미만의 경직형 사지 뇌성마비 아동 6명(남자 3, 여자 3)을 대상으로 하여 복직근에 1회 20분. 주 3회씩 총 6주간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하였다. 기능적 전기자극의 적용 6주 전과, 직전에 두 번의 사전 검사와 적용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MP30(Biopack, USA)을 이용하여 폐활량과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 1회 호흡용적을 검사하였으며 Table면전극 근전도(Noraxon, USA)를 이용하여 복직근의 근육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폐활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폐활량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2.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예측치 폐활량 백분율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3.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1회 호흡용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1회 호흡용적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4.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6주 전과 직전의 복직근의 활동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용 후의 복직근의 활동 값은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6주간의 복직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 있어서 복직근의 근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폐활량과 1회 호흡 용적 등의 호흡능력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 및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reathing and Oral Diadochokinetic Movem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최연우;정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만 6세 7개월의 남아로, 발달장애 진단을 받았다.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은 개별실험연구 중 AB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A) 3회기, 중재(B) 16회기이었다.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고, 중재기간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에 구강활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호흡기능은 폐활량 측정계로 측정하였으며, 구강협응능력은 "파타카(pataka)"를 10회 반복할 때 소요된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 :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은 기초선과 비교하여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이었다.

  • PDF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on Balanc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Low Back Pain Patients)

  • 손호희;오정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2
    • /
    • 2014
  • 본 연구는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0대 요통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척추안정화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복식호흡을 함께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척추안정화 운동만을 시행하였다. 운동은 8주간 적용하였으며 운동 시작 전과 후에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설문지를 사용하여 통증을 비교하고 BioRescue를 사용하여 신체중심이 이동한 길이와 면적을 측정하여 균형능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요통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면적 비교에서 실험군은 운동 후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길이의 비교에서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룹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요통환자에게 안정화운동과 복식호흡을 함께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 실험 연구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for Mental Retardation by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ngle Subject Research)

  • 김경미;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4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 맞는 감각의 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전의 과제를 제공하여 적응반응을 이끌어 내는 아동 중심의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5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8월 13일까지이었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3회기와 중재 B(감각통합치료, 감각식이) 21회기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점인 균형과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호흡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선박 내 구조호흡 장비 활용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Improvement of Resuscitation Equipment on Board Ships)

  • 황정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19-827
    • /
    • 2023
  • 선박에서 호흡성 심정지가 발생하거나, 장시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경우, 가슴압박소생술이 아닌 구조호흡을 동반한 심폐소생술이 요구된다. 이에 선박은 산소 공급을 위한 구조호흡 장비를 보유하고 선원들은 이를 사용할 수 있는 해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박 내 구조호흡 장비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선박의 구조호흡 장비 설치 현황과 선원의 사용의향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23년 2월 2일부터 4월 2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책에서 항해사와 선장, 근무부서에서 갑판부, 항해구역에서 외항선 선원이 선박에서 구조호흡 장비를 많이 확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원의 구조호흡 장비에 사용의향은 낮았고, 주요 저해요인은 사용방법을 모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책이 항해사, 선장, 근무부서는 갑판부, 항해구역은 외항, 총톤수 2만톤 이상인 경우, 구조호흡 장비에 대해 사용의향이 높았다. 그리고 구조호흡의 필요성을 알고, 실습과 장비 교육을 받은 선원이 구조호흡 장비 사용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선박이 구조호흡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하고, 선박 내에서 구조호흡 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구조호흡 장비에 대한 실습과 장비 교육 기반의 교육체계를 구축하여 선원이 해기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시나리오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이명남;김희순;정현철;김영희;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사례의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지식 적용-기술 수행, 문제 해결 능력,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단일군 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고위험 아동간호학을 수강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조를 구성하여 매주 3개조(4-5명/조)로 시뮬레이션 운영 후 디브리핑을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자신의 실습 수행에 대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시나리오는 간호진단을 포함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으며, 20분의 운영 시간 내에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 대한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능력, OSCE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지식 적용-기술 수행 평가에서 간호진단을 제외한 5개의 범주 중 평가 단계가 지식 적용과 기술 수행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 적용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인 항목은 사정 단계에서 산소포화도 관찰, 평가 단계에서 산소분압과 산소포화도 확인이었고, 기술 수행에서는 중재 단계의 호흡곤란 완화 간호가 높았다. 사정 단계의 검사 확인은 지식 적용 및 기술 수행 영역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OSCE 수행 평가에서는 흡인 수행 능력에서는 사용한 물품 정리 및 수행 후 손씻기, 산소 공급에서는 급습기 멸균증류수 확인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수행된 항목보다 수행되지 못한 항목이 흡인과 산소 공급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본간호술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해결 능력과 학습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해결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뮬레이션 교육 시행 후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학습 만족도가 높으므로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간호영역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기본간호술기 수행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히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훈련된 여자 성악가와 일반인의 호흡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Differences in Respiratory Function and Vocal Aerodynamics between Professional Sopranos and Female Subjects without Vocal Training)

  • 최홍식;남도현;안철민;임성은;강성웅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5
    • /
    • 2001
  • Singing requires exquisite coordination between the respiratory and phonatory system to efficiently control glottal airflow. Respiratory function and vocal aerodynamics were investigated in six female professional sopranos and in six female subjects without vocal training. All sopranos had more than 15 years of formal classic vocal training. Pulmonary function test data on simple pulmonary function, flow volume curve, static lung volumes, maximum inspiratory pressure(MIP),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MEP) were obtained from all subjects. Vocal aerodynamic studies of maximum phonation time(MPT), phonation quotient, and mean glottal flow rates (MFR) were also measured in all subjects. Simple pulmonary function in professional sopranos was generally the same as that of other female subjects without vocal training. However, MIP and MEP showing respiratory muscle forc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rofessional sopranos, compared to those of other female subjects without vocal training. Maximum phonation times and phonation quotient in sopranos are longer than those of other female subjects even 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imple pulmonary function. High-pitched tones were made with significantly higher mean glottal flow rates(GFR) in normal subjects than low-pitched tones, whereas no changes in GFR were found in sopranos. The result indicated that soprano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erodynamic measures of GFR, maximum phonation time, suggesting an increase in glottal effici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