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중심교수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ase Study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in University Subject, Business Communication (경영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법 적용 사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Choi, Seung-N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26-137
    • /
    • 2020
  •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applying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management education by adopting flipp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to Business Communication classes and operating the class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Business communication capability, especially related to drawing up a document or a written report, is considered one of the crucial factors for making individuals valuable in an organiz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outputs, a total of 64 stud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in 2018 were sampled,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paired t-test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all types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end of each of the semesters. Also,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proved to be higher at the end rather than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This study is especially meaningful because the results suggest concrete ways to apply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for business education.

A Web-Based Debate System (웹 기반 토론 시스템)

  • Jung, Eun-Joo;Han, Hyu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31-1034
    • /
    • 2005
  • 사회생활을 통하여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기르는 것은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남과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가장 직접적으로 실현되는 사고 혹은 활동 형태는 바로 토론이다. 또한 토론을 통한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대화를 활성화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 목표를 학생들 스스로 성취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크다. 본 논문은 기존의 웹 기반 토론 학습의 제약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웹 기반 토론 학습시스템은 첫째, 원활한 토론 학습을 위하여 실시간 및 비실시간 토론 학습을 모두 제공해야 한다. 둘째, 토론 학습의 사회자 역할, 토론자 역할, 방청객 역할을 두어 과제 중심적 역할 유형과 사회성 촉진적 역할을 모두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자중재를 위한 토론중단 및 토론재개 기능과 방청객 질의 응답 시작과 종료기능을 제공하야야 한다. 넷째, 기존의 웹 토론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게시판이나 대화방은 학습자 평가를 위한 기능이 없고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웹 토론 학습시스템에 학습자들을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 평가 등의 평가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PDF

A Case Study on Design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by Using QR Code (QR코드를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학습 설계 사례연구)

  • Park, Hyung-S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3
    • /
    • pp.141-152
    • /
    • 2013
  •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a case of designing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for usage smart media. New approach and direction for developing a gaming instructional design was suggested which can encourage learners to participate in. Quest-based lear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where learners conduct various learner-centered activ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of reinforcing the motivation, promoting experiential and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social interaction. The design using QR codes has been proved to be able to offer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includes social interaction strategy required for learners expanding their cognitive structure, motivation enhancing strategy encouraging their consistent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plex problematic situation and scaffolding strategy emphasized by constructivism.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design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which is being demand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cently by combining systematic design process and strategies.

A Study of Using e-textbook in Korea focusing on nursing professors and students (국내 간호학과 교수와 학생의 전자책 이용연구 - e-textbook 요구사항 분석을 중심으로 -)

  • Kim, 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93-98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수들과 간호학과 학생들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대학교 학술교재를 전자책으로 전환할 때 필요한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간호학과 교수 82명과 간호학과 학생 127명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책에 대한 선호도와 현재 사용 중인 대학교재를 전자책으로 대체할 경우 전자책의 원하는 기능들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70%이상의 응답자들이 대학교재는 아직까지 인쇄형태의 교과서를 선호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전자책으로 이용 가능한 교재수가 적고 전자책 단말기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을 꼽았다. 전자책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으로는 손쉬운 메모기능과 하이라이트 기능, 비디오나 이미지 자료 삽입, 검색의 용이성과 사전기능 추가를 추천하였다.

  • PDF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온라인 체육교육 개선에 관한 질적 연구)

  • Jung, Hyun;Ahn, Chan-Wo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4
    • /
    • pp.217-227
    • /
    • 2021
  •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sports-related lectur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and seek comprehensive and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online lecture environment for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ix professor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Examples of the problems, counterplan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professors who related to sports were shown as the results. First, the difficulties faced by professors have been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hich are Internet and media possession, online lecture place amulet, professor-learner communication disorder, attendanc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COVID-19 infection, and face-to-face lecture place restric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Second, professors' response to online and offline lecture problems was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media, telecommuting, providing online learning videos, replacing and reinforcing practical classes, which were found to be somewhat lacking in government and school support systems. Final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Sports-related lecture's continuous problems and the professor's responses require the improvements such as government-level guidelines, university-level expansion of the venues for on- and off-line lecture, devising online lecture programs that enhance professor's convenience, and adjus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on- and off-line lecture.

A Study of Subject Contents in High-School Economic Geography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조성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3
    • /
    • pp.455-474
    • /
    • 2000
  • 제 7 차 교육과정에서 경제지리 과목이 심화 선택 과목으로 새롭게 설정되었다. 그러나 제 6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과목의 경제지리 교육내용을 단순 확대.심화시켜 구성하였기 때문에, 그 동안의 비판과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지리교육에서 경제 지리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바법은 산업별 분류방법, 주제 중심방법, 경제과정 중심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기존은 교육과정은 산업별 분류방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자의입장에서 나열적으로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하고 있는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실생활에서 학습의 유용성을 확인시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며,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심화 선택 과목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경제 지리 과목의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대안으로 지역문제 중심방법을 제안한다.

  • PDF

사이버 시대의 윤리 교육 : 청소년을 중심으로

  • 류나정;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06a
    • /
    • pp.417-424
    • /
    • 2002
  • 컴퓨터는 인간의 모든 꿈과 희망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마법상자는 아니다. 정보화 시대라고 일컫는 현재, 정보의 가치를 더해주는 컴퓨터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 반면 인간의 존엄성은 경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요즘 사회가 커다란 도덕적 위기에 빠졌다고 걱정하지만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사이버 윤리 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교육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사이버 윤리 교육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사이버 윤리 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교육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사이버 윤리 교육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정보통신 시대가 수반하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과 윤리적 이슈들에 대하여 좀더 교육적인 측면으로 접근해 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체계적인 확산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윤리 교육을 받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그들에게 새로운 윤리교육의 한 형태인 사이버공간에서 관련된 문제들을 교육적인 측면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인간의 존엄성은 그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실징후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부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며 그 결과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부도예측 정보 중 현금흐름정보를 통하여 '인터넷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측정, 부도예측신호효과, 부실원인파악, 비즈니스 모델의 성격규정 등을 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려고 한다. 협력체계 확립, ${\circled}3$ 전문인력 확보 및 인력구성 조정, 그리고 ${\circled}4$ 방문보건사업의 강화 등이다., 대사(代謝)와 관계(

  • PDF

A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y by quantitative analysis on modern and post modern ceramic's product design (Centering around form description by applying analysis model) (모던과 포스트모던 도자 제품디자인의 정량적분석에 의한 비교 및 해석에 관한 고찰 (분석모델을 적용한 형태기술을 중심으로))

  • 손연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1
    • /
    • pp.15-26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y by quantatitative analysis (by applying information value's calculating rule that Shannon has developed) about modem and postmodem ceramics product design centering around form description among many evaluating and analyzing elements by applying analysis model that Hong ik university' professor, Kim Bock Young,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 PDF

Wortschatzarbeit in der Wortbildung und ihre didaktische $Vorschl\"{a}ge$ (조어론에 있어서의 어휘연습과 교수법 제언)

  • Jang Ki-Sung;Jung Hyun-Sook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3
    • /
    • pp.233-252
    • /
    • 2001
  • 1970년이래 외국어학습 및 교수법에 있어서 어휘에 관련된 문제들에 많은 관심과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있다. 특히 Fleischer/Buz (1992)등에 의한 당해 영역의 연구물 뿐 아니라, 전문서적 및 어학 자료(교재)등에서도 이러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Fleischer등은 조어규칙의 개념과 조어모델을 규정하는 근거들로 생산성 Produktivitat, 용인성 Akzeptabilitat, 조어참여성 Aktivitat등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G\"{o}tze/ Hess-Luttich$ (1999)등의 학자들은 어휘체계에서 두 개 이상의 구성성분들이 결합하여 당해 시대의 시대정신이나 시대상에 부합되는 신조 어휘들을 생성하며, 또한 그 사회의 정보화와 기술화에 이바지하며, 이를 통해서 전문어의 생산력을 한층 높혀 주는 통로로 작용함을 주장한바 있다. 본고에서는 조어론의 이러한 기본원리나 개념들에 입각하여 독일어 수업에서 목표어의 습득에 관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조어모델, 즉 합성어와 파생어를 형용사와 명사의 층위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했다. 예컨데, 합성어에 있어서 접두사와 접미사, 조어의 유형 가운데 축약어, 그리고 외래어 기저와 고유어 접미사 및 접두사, 고유어기저와 외래어접미사(접두사) 뿐만 아니라, 의미론적 관점에서 본 합성어의 형태, 합성 연결소의 형태와 기호의 사용, 명사적 파생어에서 고유어접미사(접두사), 축약조어와 축약어 단어형성, 형용사조어의 특성, 명시적파생 가운데 고유어(외래어) 접미사(접두사) 등이 어휘생성과 어휘신장의 관점에서 교수법의 적용가능성이 논의되었다. 결론부에서는 외국어를 습득하고자하는 학습자에게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암기식 위주의 어휘학습방법에서 벗어나, 목표어가 요구하는 새로운 어휘를 획득하는데 비교적 용이하며 또한 체계적으로 습득 할 수 있도록 인지론에 기대어 텍스트, 문장, 어휘영역 등이 투입되어 적용되었으며, 이에 상응되게 구체적인 몇몇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읽고 중심내용을 찾아내며, 단락을 구획하고 또한 체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어휘연습은 외국어 교수법 측면에서도 매우 관여적이며 시의적절한 과제라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HTML Learning Method Using PBL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HTML 교수-학습방법의 연구)

  • Kim, Kap-Su;Lee, Sun-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0 no.1
    • /
    • pp.37-46
    • /
    • 2006
  • We expected that PBL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e has good effectiveness for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a test was conducted in which a PBL method and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method were applied to an HTML class, and compared the level of educational accomplishment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methods. PBL applied was based on the IMSA model of problem-based learning center. Educational accomplishment was evaluated base d on evalu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 skills.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oretic learning between the two methods of learning. However, in application skills, the PBL was proved to be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 an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PBL has a mor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that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lear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