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형식의 파괴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방파제케슨에 사용하는 신형식 푸팅구조의 역학적 특성과 구조해석

  • 한국어항협회
    • 어항어장
    • /
    • 통권2호
    • /
    • pp.86-127
    • /
    • 1988
  • 버트리스 푸팅 케슨(Buttress footing caisson) 및 상형 푸팅 케슨의 역학특성을 해명하고 구조설계법을 검토할 목적으로 재하실험을 실시했다. 재하실험에는 배근의 제약등을 고려해서 실구조물의 1/4정도의 대형모형공시체를 사용해서 푸팅부를 중심으로 해석하기위해 푸팅에 선분포하중을 재하했다. 유한요소법에 따른 선형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변위, 단면력과 한계상황설계법에서의 산정식에서 얻어진 단면내력과를 비교하여 동설계법의 케슨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에 관하여 고찰했다. 이 보고로써 얻어진 주요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재하실험에 의하면 버트리스 푸팅공시체의 파괴형식은 버트리스부의 철근에 연한 부착할열파괴였다. 또 상형푸팅공시체에서는 푸팅부의 내면전단파괴였다. 양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종래의 면외력만의 검토뿐아니라 면내력도 적절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2) 양공시체 함께 푸팅 케슨본체와의 접합부 및 푸팅과 상자옆쪽의 벽과의 접합부에 변형이 일어나 종래의 판구조설계에서 가정하고 있는 판주변의 고정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 따라서 케슨구조물의 구조해석에서 구조전체계를 취급할 필요가 있고 부재단위에서는 단면력을 과대 또는 과소로 산정할 우려가 있다. (3) 철근강복시정도까지는 구조전체계를 모델화한 유한요소법에 의한 선형구조해석결과와 실험결과가 잘 일치했다. (4) 한계상태설계법에서의 굽음내력, 전단내력 및 구열폭의 산정식은 실험결과와 비교해서 어느쪽이나 안전측의 치를 부여했다.

  • PDF

전단내력 감소식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파괴형식 판정 연구 (Decision of Ultimate Failure Mode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s Using Degrading Shear Strength Model)

  • 장일영;송재호;박훈규;황규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7-212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and simple method for decision of ultimate failure mode of high-strength concrete beam member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shear strength and displacement ductility. Four tests were conducted on full-scale beam specimens hav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410kgf/$cm^{2}$. Prediction of failure mode from presented method and comparison with test results are also presented

  • PDF

일반교량의 붕괴방지설계 (No Collapse Design for Typical Bridges)

  • 국승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63-172
    • /
    • 2014
  • 일반교량 내진설계의 목적은 붕괴방지설계이고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편은 교량구조의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설계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형식 또는 현장여건에 의해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것이 비합리적인 경우 차선책으로 취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여 붕괴방지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연성파괴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기존 설계방식과 함께 내진설계편은 연성도 내진설계를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성도 내진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으로 구성되는 교량에 적용하며 설계자가 하부구조의 소요응답수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심부구속철근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교각기둥과 강재받침으로 설계된 일반교량을 선정하여 기존 설계방식과 연성도 내진설계를 모두 적용한 결과로부터 차이점을 확인하고 설계자가 내진설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두 설계방식을 모두 고려하는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반복재하 실물대 실험에 의한 컬럼-트리(Column-Tree) 형식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거동 연구 (Cyclic Seismic Testing of Full-Scale Column-Tree Type Steel Moment Connections)

  • 이철호;박종원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629-63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반복재하 실물대 실험에 의해 철골 모멘트접합부(column-tree 형식)의 내진거동을 평가하였다. 시험체는 $H-600{\times}200$ (보) 및 $H-400{\times}400$ (기둥) 계열의 SS41 (SS400) 압연형강으로 제작되었으며 보에 대한 패널존의 상대강도를 실험의 주요변수로 고려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의할 때 패널존의 강도가 클수록 열등한 내진성능을 보였다. 시험체의 모멘트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파괴 이전까지 발휘된 총소성회전각은 1.8 (% rad)에서 3 (% rad) 범위에 있었다. 시험체의 접합부는 보플랜지 열영향부의 파단 또는 기둥플랜지 두께방향의 뽑힘으로 인하여 파괴되었다. 비록 제한된 실험자료이긴 하나 본 연구의 결과는 보에만 항복을 유발하는 것 보다는 패널존의 항복도 허용하는 것이 접합부의 전체적 소성변형능력을 높이는데 유리할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역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플랫 플레이트 외부접합부의 불균형모멘트에 관한연구 (A Study on Unbalanced Moment of Flat Plate Exterior Connections)

  • 최현기;백성우;백영수;진언식;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4
    • /
    • 2008
  •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다른 구조형식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인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횡하중을 받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뚫림전단파괴에 대해 취약하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외부접합부는 편심전단에 대해 비대칭형의 위험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단면의 길이가 내부접합부 보다 작고 중력하중과 횡하중 모두에 의해 편심전다응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뚫림전단파괴에 대해 매우 취약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외부접합부의 실험결과와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ACI 318-05와 CEB-FIP MC 90의 설계기준식을 비교한 결과 편심전단응력, 불균형모멘트에 대해서 CEB-FIP식이 더 정확했고 형상비의 영향은 기둥 형상비가 큰 경우에는 기준식의 적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력전단력비의 영향은 기준식의 제안을 만족하였으나 설계 기준에서는 단순히 중력전단비만 고려하고 있어서 다른 설계조건 변화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강사장교의 지진응답특성 및 내진 안전성 평가 (The Earthquake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Seismic Safety Evaluation of Steel Cable Stayed Bridges)

  • 한성호;신재철;최진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435-4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내진 설계규정에서 고려하고 있지 않은 근거리지진의 특성을 규명하고, 사장교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근거리 및 원거리지진의 실측자료를 선정한 후, 탄성 및 비탄성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여 지진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세 가지 형식의 사장교 및 실제 사장교 구조물을 대상으로 지진특성에 따른 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주요부재에 대한 응답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지진응답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신뢰성지수 및 파괴확률을 검토함으로써 대상 사장교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응답스펙트럼, 지진응답해석 및 신뢰성해석 결과에 의하면 근거리지진이 사장교 응답에 대한 영향은 기존의 원거리지진과는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사장교 구조물 설계 시 중요한 인자로 고려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개발된 평데크플레이트(ACE-DECk)를 이용한 합성술래브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Behavior of Composite Slabs Using Newly Developed Flat Deck-Plate(ACE-DECK))

  • 허병욱;양명숙;배규웅;오상훈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55-263
    • /
    • 2001
  •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합성슬래브의 파괴형식 중에서 수평전단파괴는 가장 일반적인 파괴형태로써, 본 논문에서는, 데크 춤 60mm인 신개발된 (ACE-DECK) 합성구조용 평데크플레이트를 개발하여 합성슬래브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데크의 형상, 두께 및 콘크리트의 토핑두께를 변수로 하여 총 2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전단부착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데크의 두께 및 콘크리트 토핑두께에 따른 합성슬래브의 전단부착성능은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형상(ACE-DECK)의 평데크플레이트는 전단부착응력이 $3.6kgf/cm^2$ 까지 나타나 기존의 평데크 형상에 비교하여 효과적인 전단부착성능을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정착 띠보강재의 역T형 옹벽 보강효과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s on the Reinforcement Effect of Unattached Strips to the Cantilever Retaining Wall)

  • 한경제;김운영;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2호
    • /
    • pp.31-40
    • /
    • 1998
  • 비정착식 보강토 됫채움으로 구성된 옹벽은 종래의 분리형 전면판요소와 보강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성옹벽 형식과는 달리 일체식 강성옹벽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옹벽의 됫채움 흙속에 설치된 띠보강재의 보강효과로 인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첩을 수행하였다. 역T형 벽체의 뒷굽길이와 보강재의 배치를 달리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모형옹벽의 경우 뒷굽길이가 벽체높이의 0.1배와 0.12배일 때 무보강상태에서는 전도파괴를 일으키는 반면에 보강재를 삽입한 경우에는 안정을 유지함으로서 보강재의 효과를 확실하게 증명하였다. 이 형상의 옹벽에 대해 효율적인 보강간격으로 보강재를 배치한 결과 벽체의 단위길이당 전 도모멘트가 무보강 상태에 비해 약 50%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보강재의 길이가 옹벽 높이의 0.6배 이상이 되어야 보 강재의 보강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역T형 옹벽의 파괴면은 Rankine파괴면에 가깝게 가상배면 내·외측으로 형성된 두개의 곡선으로 관측되었다 이 때 외측 파괴면은 직선에 가까운 곡선형태이며, 보강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벽체쪽으로 가깝게 나타났다.

  • PDF

프리캐스트 바닥판용 클램프 조인트의 정적내하력 (Static Strength of Cramp Joint at Precast Highway Deck Slabs)

  • 김윤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87-193
    • /
    • 2006
  • 도로교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현장 조인트로써 특수한 구조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식의 조인트를 개발하였다. 이 클램프 조인트에 의한 방법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주철근을 루프 조인트에 연결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루프 조인트와 비교하여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클램프의 인터록킹에 의하여 휨모멘트 전단내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은 휨 강성 및 전단내력의 실험을 통하여 조인트의 파괴 메커니즘과 다양한 정적 거동의 결과를 규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 연구의 결과로부터 루프조인트와 동등한 성능을 갖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파압과 토압을 받는 호안구조물의 안정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 Structure Subjected to the Wave and Soil Pressure)

  • 안종필
    • 지질공학
    • /
    • 제7권1호
    • /
    • pp.37-52
    • /
    • 1997
  • 본 연구는 여러 호간구조물의 안정구모물의 안정해석에 관한 실제적인 적용성에 관련된 것으로, 호안구조물의 안정해석에는 4가지 종류의 호안단면을 고려하였다. 안정해석의 결과로서, 상치블럭의 안전율은 T.T.P.피복경상제가 형식 중에서 가장 컸으며, 피복재료의 강성과 완만한 사면경사에 영향을 받는다. 제체의 직선사면 활동 및 원호활동파괴에 대한 안전율은 사석경사제가 모든 형식중에서 가장 컸으며, 완만한 사면경사와 피목재료의 강성의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제체의 전도 및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전율은 경사호안이 직립호안 보다 크며, 완만한 사면경사와 구조물 폭의 증가에 영향을 받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