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형상코드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41초

코드 이력을 이용한 버전 정보 관리 자동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automated version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code history)

  • 김은영;조현;최순규;이상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82-84
    • /
    • 2003
  • 소프트웨어는 개발단계에서부터 유지/보수단계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경되며 하드웨어와 달리“변하기 쉬운 특성”과“눈에 보이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소프트웨어의 형상관리를 어렵게 한다.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소프트웨어 하우스에서는 형상 관리 도구를 도입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입된 형상 관리 도구의 활용 형태를 보면 대부분 버전 관리 부분인데 이는 개발자들이 변경 정보를 충실히 작성하지 않으면 형상 아이템의 버전만 관리될 뿐 실질적인 변경 정보는 각 버전의 비교를 통해서만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형상 관리 아이템 중 코딩 표준에 따라 작성되는 소스 코드를 대상으로 새로운 버전이 생성될 때마다, 변경 정보를 소스 코드로부터 추출하여 자동으로 형상 관리 도구의 버전 관리 정보로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소스 코드와 형상 관리 도구의 버전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유도무기 형상의 공력 특성 예측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Aerodynamic Prediction Methodologies for Missile Configurations)

  • 노경호;강동기;김재현;김영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11호
    • /
    • pp.755-762
    • /
    • 2022
  • 유도무기 형상에 대한 풍동시험 데이터를 다양한 반경험식 기반 코드 및 CFD해석 코드를 이용한 공력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주날개 형상 2종과 주날개와 꼬리날개가 일렬로 늘어선 inline 형상 및 서로 교차되는 interdigitate 형상 등 총 3가지 형상에 대해 시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형상의 특징에 따라 코드별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CFD해석결과를 유동가시화 시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CFD 해석 코드가 와류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크리프 수명 평가를 위한 간략 크리프 응력 산출 방법론 분석 (Analysis of Simple Creep Stress Calculation Methods for Creep Life Assessment)

  • 서준민;이한상;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8호
    • /
    • pp.703-70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분배된 크리프 응력을 근사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크리프 해석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탄성 및 탄성-소성 해석법을 사용하여 그 결과와 비교하였다. 탄성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M_{\alpha}-tangent$ method의 Primary Stress와 ASME 코드의 $P_L+P_b/K_t$를 구하였고 탄성-소성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R5 코드의 ${\sigma}^R_{ref}$ 를 구하였다. 용접 형상이 있는 십자 모양의 판 형상에 굽힘 하중, 단축인장 및 이축인장이 작용하는 경우와 r/t가 5, 20인 곡관에 굽힘 하중 및 내압이 작용하는 경우 등 여러 형상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요소 민감도 확인을 위해서는 판 형상에 굽힘 하중이 가해 지는 경우 여러 요소 크기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간략 해석 결과는 크리프 응력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M_{\alpha}-tangent$ method의 경우 요소 크기에 민감하고 ASME코드와 R5코드의 결과는 요소 크기에 민감하지 않았다.

다치영상의 계층적 형상분해 (Hierarchical Shape Decomposition of Grayscale Image)

  • 최종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95-59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패턴인식과 영상압축을 목적으로 다치영상의 형태론적 형상분해법을 제안하였다. 다치영상내에 포함된 형상들을 직접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은 데이터 압축과 계산시간의 측면에서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진수로 표현되는 화소 값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한 다음, 그레이 코드로 변환된 화소들 중에서 특정비트가 1인 화소들만을 선택해서 얻은 8개의 비트평면 영상에 포함된 형상을 형태론적 멀티모드 형상분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해하였다.

  • PDF

프로그램 소스코드 비교 및 소스코드 관리를 위한 웹툴 (A WEB TOOL FOR SOURCE CODE COMPARING AND CODE MANAGEMENT)

  • 최규현;한덕희;박미소;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94-997
    • /
    • 2014
  • 소프트웨어 형상관리는 소스코드제어, 변경 관리 및 버전제어를 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것이다. 여러 개발자가 공통 파일 세트에서 동시에 작업 중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주요 사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형상관리를 위한 소스코드 비교기능, 변경 및 수정 내역 기록, 개발자를 위한 소스코드 공유 공간을 제공하는 등의 기능에 대한 설명과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액체로켓 추력실의 성능 예측 및 최적 형상 설계를 위한 해석코드 개발 (Development of Chemical Equilibrium CFD Code for Performance Prediction and Optimum Design of LRE Thrust Chamber)

  • 김성구;문윤완;박태선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
    • /
    • 2005
  • 설계단계에서 수행되는 액체로켓엔진의 추력실 형상설계와 성능예측을 위하여 화학평형을 고려한 축대칭 압축성 해석코드를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편리함과 효율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형상파라미터의 입력값에 따라 자동으로 격자를 생성하고 연소실 조건은 추진제 조합, 연소압 그리고 혼합비를 지정함으로서 내부에서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자는 추력실 형상 및 작동조건을 변화시켜 각각의 설계변수가 추력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빠르고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CEA의 결과, JPL 노즐의 실험결과, 두 종류의 LRE 실제 엔진 자료, 그리고 KSR-III의 설계점 및 탈설계점 연소시험결과와 비교함으로서,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코드의 정확도와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액체로켓엔진 노즐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n nozzle of Liquid Rocket Engine)

  • 남궁혁준;한풍규;김경호;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0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6
    • /
    • 2003
  • 우주발사체의 2단에 사용가능하며,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추진제로 하는 10톤급 액체로켓엔진 (LRE)에 대해 노즐 설계 변수와 성능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노즐 성능의 개선을 위해 노즐 형상에 따른 성능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10톤급 LRE의 형상을 설계하였으며, 기존의 일차원 성능해석 방법과는 달리, 2차원 유동 해석 결과를 이용한 성능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노즐 성능해석용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액체 산소/메탄 엔진 (LNG 엔진)에 대한 지상 연소시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노즐 성능해석 코드를 검증하였다.

  • PDF

BIM 기반 형상코드를 이용한 슬래브 철근길이 자동 산정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Automatic Rebar Length Estimate Algorithm of Slab by Using BIM-Based Shape Codes Built in Revit)

  • 지우민;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9-90
    • /
    • 2023
  •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accurately calculating the required rebar length using BIM-based shape codes and the potential benefits of such an approach in terms of cost reduction, waste reduc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slab rebar length before construction to reduce rebar cutting waste and c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using shape codes to reduce rebar cutting waste and cost in building frame construction.

  • PDF

BIM 기반 형상코드를 이용한 기둥 철근길이 자동 산정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Automatic Rebar Length Estimate Algorithm of Columns by Using BIM-Based Shape Codes Built in Revit)

  • 오진혁;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22
    • /
    • 2023
  • I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s, reinforcing bar generates more CO2 per unit weight than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In particular, cutting and bending rebar is the main source of rebar was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bar-cutting waste is inevitabl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ince the rebar is not manufactured as designed. Large amounts of waste can be avoided by utilizing optimal cutting patterns and schedules. This research provides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automatic calculation of column rebar length using BIM-based shape codes to minimize cutting waste to near zero. By employing this approach in practi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ate of rebar-cutting waste, reduce costs, shorten construction duration, and reduce CO2 emiss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clue for the development of BIM-based rebar layout automation algorithms.

  • PDF

BIM 기반 형상코드를 이용한 보 철근길이 자동 산장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Automatic Estimation Algorithm on the Rebar Length of Beam by Using BIM-Based Shape Codes Built in Revit)

  • 다니엘;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7-168
    • /
    • 2023
  • Con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quired massive amounts of concrete and steel rebar. The current procedure to estimate the quantity of rebar requires tedious and time-consuming manual labor. Consequently, this circumstance made the engineers vulnerable to error and mistake, which led to the rebar waste. No system that is capable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rebar length has yet been developed Thus, this study propose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utomatic rebar length estimation of beam element by using BIM-based shape codes drawn in Revit. Beam is chosen due to its complexity in the rebar arrangemen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could assist engineers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minimization of rebar waste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