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정의

Search Result 5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al-time hand tracking and recognition based on structured template matching (구조적 템플렛 매칭에 기반을 둔 실시간 손 추적 및 인식)

  • Kim, Song-Gook;Bae, Ki-Tae;Lee, Chil-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37-10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오피스 환경에서 가장 직관적인 HCI 수단인 손 제스처를 사용하여 대형 스크린 상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손 제스처는 손 영역의 정보, 손 중심점의 위치 변화값과 손가락 형상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종류들을 미리 정의해 둔다. 먼저 효율적으로 손 영역 획득을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연속된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된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구조적 템플레이트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손의 중심(centroid) 및 손가락끝(fingertip)을 검출한다. 인식과정에서는 양손의 Euclidean distance와 손가락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제스처와 비교하여 인식을 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비전 기반 hand gesture 제어 시스템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rface elements for coupling independently modeled finite element domains (독립적으로 구성된 유한요소 영역들의 결합을 위한 계면요소에 관한 연구)

  • Kim, Hyun-Gyu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5-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유한요소 모델을 결합하기 위하여 계면에서 불일치 격자들을 처리하는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불일치 격자들로 인하여 요소들의 침투와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일반적인 유한요소를 사용하면 계면에서 변위의 연속성과 하중전달 조건들을 만족시키기가 불가능하게 되는데 계면에서 정의된 계면요소를 사용하여 결합을 위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요소들의 침투와 틈이 없는 연속적인 계면을 정의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계면요소를 구성하며 유한요소 형상함수와 다른 계면요소 형상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독립적으로 구성된 분리 영역들을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계면요소는 연속성, 적합성, 완전성 등에서 유한요소와 유사한 특성을 갖으며 추가적인 자유도 없이 불일치 격자를 결합하게 된다. 계면요소법을 사용하여 분리된 영역의 결합이나 전체-국부 해석 그리고 유체-구조물 상호작용해석 등에 적용되어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 PDF

Analysis of Shell Using the Spline Finite Strip with Drilling DOF (면내 회전을 갖는 SPLINE 유한대판 요소에 의한 쉘의 해석)

  • 최창근;홍현석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2
    • /
    • pp.185-19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spline 유한대판 요소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정식화는 등매개 개념에 의해 기하학적 형상과 변위장을 가정함에 있어 길이방향은 3차의 B-spline 곡선으로, 횡방향에 대해서는 Lagrange 다항식에 의해 표현된다. 이 논문은 평판과 쉘해석에 있어서의 등매개 spline 유한대판 요소의 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새로운 요소는 스트립의 내부 절점에서 6개의 자유도를 갖는 합-응력 감절점 쉘 요소로부터 유도하였다. 스트립의 기하학적 형상은 강체 회전에 대한 정의에 위배되지 않고도 두께 방향을 따라 Jacobian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따랐으며 고체역학에서 정의되는 면내 회전을 penalty 함수에 의한 구속조건으로 간주하여 면내 회전에 관계된 자유도를 생성하였다. 제안된 요소에 대하여 쉘의 전형적인 문제에 대한 수치예제를 보였으며 이 스트립 요소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Scan-to-Geometry Mapping Rule Definition for Building Plane Reverse engineering Automation (건축물 평면 형상 역설계 자동화를 위한 Scan-to-Geometry 맵핑 규칙 정의)

  • Kang, Tae-Wook
    • Journal of KIBIM
    • /
    • v.9 no.2
    • /
    • pp.21-28
    • /
    • 2019
  • Recently, many scan projects are gradually increasing for maintenance, construction. The scan data contains useful data,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target application from the facility, space. However, modeling the scan data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requires a lot of cost. In example, the converting 3D point cloud obtained from scan data into 3D object is a time-consuming task, and the modeling task is still very manual. This research proposes Scan-to-Geometry Mapping Rule Definition (S2G-MD) which maps point cloud data to geometry for irregular building plane objects. The S2G-MD considers user use case variability. The method to define rules for mapping scan to geometry is proposed. This research supports the reverse engineering semi-automatic process for the building planar geometry from the user perspective.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by selecting similarity-transform-invariant local and global features (유사변환에 불변인 국부적 특징과 광역적 특징 선택에 의한 자동 표적인식)

  • Sun, Sun-Gu;Park, Hyun-Wo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9 no.4
    • /
    • pp.370-380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ATR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algorithm for identifying non-occluded and occluded military vehicles in natural FLIR (Forward Looking InfraRed) images. After segmenting a target, a radial function is defined from the target boundary to extract global shape features. Also, to extract local shape features of upper region of a target, a distance function is defined from boundary points and a line between two extreme points. From two functions and target contour, four global and four local shape features are proposed. They are much more invariant to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e transform than traditional feature sets. In the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proposed feature set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feature sets with respect to the similarity-transform invariance and recognition performance.

Shape design of conformal array using the beam pattern synthesis (빔 패턴 성능 분석을 이용한 곡면 배열 형상 설계)

  • Lee, Keunhwa;Shin, Donghoon;Lim, Jun-Seok;Hong, Wooyoung;Ha, Young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
    • /
    • pp.347-358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shape of doubly curved surface where a conformal array is equipped. That surface is modeled with a double-ellipsoid solid controlled by four parameter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formal array beams with the beam pattern synthesis, two design parameters are determined. Then, we define the weighted object function which is formulated as the sum of sharp indexes for directivity index, the elevation resolution, and the bearing resolution. The direct calculation on all grids is used to evaluate the weighted object function and seek the optimal value of two design parameters when the weightings are given. In the simulation, four kinds of weighting cases are respectively applied to evaluate the weighted object function. The optimal shapes of double-ellipsoid solid are shown in each case. Especially, when the uniform weightings are used, the double-ellipsoid solid with more smooth surface is obtained.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Application of MDMS (Message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메시지 정의 및 관리시스템(MDMS) 적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Ryu, J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888-890
    • /
    • 2015
  • 많은 개발자가 참여하는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MDMS는 컴포넌트간의 인터페이스 정의 및 변경 이력 관리, 인터페이스 기술서 자동 생성,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한화탈레스는 1998년 MDMS를 처음 개발하여 적용한 이후 다양한 국방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향상에 효과를 보았다. 하지만, MDMS를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최초 개발시 고려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점 및 한계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및 한계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특성 지원 미흡, 형상관리 및 유지보수 문제, 프로젝트 간 메시지 재사용 미지원, 취약한 보안 등 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한 SW 구조로 개선해야 한다. 두 번째, 통일되고 일관된 형상관리와 함께 전담 개발 및 유지보수 조직이 필요하다. 세 번째, 프로젝트간 메시지의 재사용 지원을 위한 방안으로 프로젝트 별 MDMS 운용이 아닌 통합된 MDMS의 운용이 필요하며, 그를 통하여 다른 프로젝트의 인터페이스 정의를 상호 참조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부 협력업체와의 협업을 위한 보안 대책을 수립하고, 관련 보안 기능을 지원하여 사외의 협력업체의 개발자가 직접 MDMS에 접속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A Study on the Obstacle of Acoustic in Judgment Hall Using Improvement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음향장해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정중;김용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772-777
    • /
    • 2003
  • 우리나라의 법원청사 법정은 음향적으로 재판에 필요한 관련자의 발언을 청취하고 또한 방청석에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실의 형상과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목적에 알맞게 건축음향설계를 하여야 하나 법정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도외시하고 거의 예외 없이 음향 전문가의 건축 음향의 기획 검토설계 없이 건축설계자와 시공자에 의하여 설계 건립되었으며 또한 준공된 예술회관과 종교단체의 건물들도 음의 장애현상으로 활용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법원청사 대법정의 현재의 건축 구조를 본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재판에 관련된 관련자석과 방청석에서 발생되고 있는 음향 장해현상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법정의 음향장애 현상을 측정분석을 통하여 주파대역별로 분석하고 건축음향 개선에 필요한 대법정의 실내 흡음력을 산출하여 대법정의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음향 개선설계를 측정 결과치를 중심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음향 시뮬레이션를 통한 음향인자를 (잔향시간, 명료도) 비교 분석 평가 분석한 결과 잔향시간 평균값이 500Hz를 기준으로 1.59대에서 음향설계결과 예측 잔향시간 값이 법정의 권장치인 잔향시간 평균값을 1.1초대로 감소 개선할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확대 서평-"진리는 나의 빛", "하늘이 무너져도 정의는 세워라"

  • Song, U-Hye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44
    • /
    • pp.11-11
    • /
    • 1994
  • 갖가지의 목소리로 쏟아놓은 다양한 이야기들이 서로 얼키고 설켜서 다채로운 구도와 색깔로 이루어진 한폭의 커다란 그림을 이루고 있다. 이 그림의 재료는 다양하다. 따뜻한 추억, 치열함, 그리움, 기쁨, 보람, 고마움, 그런 것들과 함께 회한, 원망, 딱한 자기과시까지 끼어들어 강렬한 형상의 모자이크를 이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