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착증

검색결과 592건 처리시간 0.018초

출산 직후 발생한 심인성 쇼트 및 심한 폐부종에서 판막치환술 전후의 체외막산소화장치의 이용 (Perioperative ECMO for Postpartum Cardiogemic Shock with Severe Pulmonary Cdema)

  • 구원모;이건;이헌재;김덕실;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356-360
    • /
    • 2001
  • 일시적 혹은 단기간의 심폐보조는 여러 형태의 심부전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 중 체외막산소화장치는 고식적 치료에 반응없는 환자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소아에서는 자주 이용되어 왔으나 성인에서는 그 적응증이 명확하지 않았으며 결과도 만족스럽지 못했다. 환자는 승모판 협착증을 가진 32세의 여자로 제왕절개술후 발생한 폐부종으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환자는 쇽상태로 강심제, 폐혈관확장제, 이뇨제등에 반응이 없었다. 우측 대퇴정-동맥캐뉼라를 통하여 14시간동안 체외막산소화장치를 이용하였으며, 환자상태는 가동 즉시 호전을 보였다. 이후 양측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에도 체외막산호화장치를 지속하였다. 체외막산호화장치는 수술시간을 포함하여 모두 62시간동안 가동하였으며, 이탈(weaning)은 안정된 혈류역학, 호전된 폐부종, 기저질환의 교정등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환자는 판막수술 후 30일째 특별한 합병증없이 퇴원하였다.

  • PDF

류마티스성 대동맥 판막협착증에 의한 우관상동맥 개구부 폐쇄 (Occlusion of the Right Coronary Artery Ostium due to Rheumatic Aortic Valve Stenosis)

  • 서홍주;오삼세;김재현;김수철;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45-447
    • /
    • 2007
  • 관상동맥 개구부의 폐쇄, 특히 우관상판첨에 의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류마티스성 대동맥판막협착증과 함께 우관상판첨이 대동맥 벽에 유착되면서 발생한 우관상동맥 개구부 폐쇄를 경험하였다. 수술 시 유착된 우관상판첨을 절제한 후 우관상동맥 개구부는 폐쇄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른 판첨들을 제거한 후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양호한 상태로 외래에서 추적관찰중이다.

협착음과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보인선천성 후두개 낭종(vallecular cyst) 1예 (A case of congenital vallecular cyst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presenting with stridor, feeding cyanosis, and failure to thrive)

  • 양미애;강민재;홍지나;신승한;김상덕;김이경;김한석;최중환;권택균;김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75-779
    • /
    • 2008
  • 후두개 낭종은 신생아 및 영아에서 협착음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문 질환이지만, 이 질환에 이환된 환아는 갑작스런 기도 협착을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착음을 보이는 환아에서 후두개 낭종을 감별해 냄으로써 갑작스런 기도 협착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 후두개 낭종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무호흡,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이 질환이 의심되면 굴곡성 후두경으로 진단해야 한다. 이 질환의 치료는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미세수술이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주소로 전원된 1개월 남아에서 굴곡성 후두경을 통해 후두개 낭종을 진단하였고, $CO_2$ 레이저를 통한 후두미세수술 후 증상이 호전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 환자에서의 단단문합술에 의한 기관협착 치험 9 례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in Pediatric Tracheal Stenosis)

  • 김광현;성명훈;이재서;신진성;최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1-81
    • /
    • 1993
  • 소아의 기관협착은 대부분이 장기간의 기관내삽관에 의해 초래되며 그 치료방법은 기관 협착의 정도 및 부위에 따라 다르다. 협착의 정도가 경하고 주로 육아조직에 의한 경우는 반복적인 내시경적인 처치만으로도 치유가 되지만 협착부위가 광범위하거나 정도가 심한 경우는 수술적인 기관재건이 필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이러한 기관재건술로 윤상갑상연골절제 및 연골이식, 그리고 협착부절제 및 단단문합의 방법 등을 현재까지 사용하였으며 괄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은 지금까지 경험한 9 명의 소아 기관협착 환자에서의 단단문합술에 의한 치험과 단단문합술의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분리 대동맥판막하 협착증 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urgical Results for Discrete Subaortic Stenosis)

  • 유송현;임상현;홍유선;박영환;장병철;강면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45-550
    • /
    • 2005
  • 배경: 분리 대동맥판막하 협착증은 수술 후에도 재발을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수술 전후의 좌심실 유출로를 통한 압력차 및 재발률 등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4명의 환자가 분리 대동맥판막하 협착증으로 수술을 시행 받았다. 평균 나이는 $17.1\pm15.2$세였으며 19명$(55.9\%)$이 남자였다. 16명$(47.1\%)$의 환자가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았다. 수술시 동반된 질환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11), 대동맥 축착증(3) 등이었다. 걸U: 수술직후의 좌심실 유출로를 통한 최대 압력차는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고(75.8 mmHg vs 21.8mmHg, p<0.01), 평균 50.3개월 후에 측정된 치대 압력차도 20.2 mmHg로 수술 직후와 큰 차이 없이 여전히 수술 전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1예에서 수술 후 합병증으로 뇌경색이 발생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69.8\pm54.6$개월이었으며, 이 기간 중에 5명$(14.7\%)$이 재수술을 시행 받았고, 이 중 3명$(8.8\%)$의 환자는 분리 대동맥판막하 협착의 재발로 인해 재수술을 시행 받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재발에 대한 위험인자는 없었으며 10년에서의 무재수술 생존율은 $76.4\%$였다. 결론: 분리 대동맥판막하 협착증의 치료에 있어 대동맥판막하 막성 조직만을 제거하거나 혹은 주위 근육과 함께 절제하는 방법은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보였으며 수술 후 충분한 좌심실 유출로 최대압력차의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재발을 잘하고 예측할만한 위험 인자가 없으므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기관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 김명천;이재영;박주철;유세영;조규석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흉부외과학회 1996년도 제 28차 추계학술대회 및 총회 대한흉부외과학회
    • /
    • pp.85-85
    • /
    • 199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