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조적 분산시스템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Object Transportation by Multiple Mobile Robot using Petri Net and Fuzzy Logic Controller (페트리 넷과 퍼지 제어기를 이용한 다수 이동 로봇의 물체 운반에 관한 연구)

  • Jeong, Jae-Sik;Lee, Seok-Joo;Lee, Byung-Joo;Park, Gw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458-2460
    • /
    • 2001
  • 단일 로봇을 이용한 물체의 운반은 제어대상이 하나이기 때문에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로봇의 크기에 비해 물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할 경우, 물체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힘들고 로봇의 속도가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트리넷의 그래픽적인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작업을 모델링하여 로봇의 작업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명령체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제거하려 하였다. 또한 시스템을 분산형 구조로 설계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별도의 시스템을 설정하지 않는 대신 퍼지 제어기를 이용하여 두 로봇의 협조 작업을 통해 물체를 운반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애매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수학적인 모델링이 필요하지 않은 퍼지 제어기의 특성을 이용해 해결하고자 한다.

  • PDF

Optimal Operation Algorithm for Bi-directional Sectonalizer in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s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최적 운용 알고리즘 개발)

  • Kim, Byeong-Gi;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1-384
    • /
    • 2010
  • 최근 국가차원의 녹색성장정책에 의하여 대규모의 태양광발전 단지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태양광 전원이 수용가설비(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의 수용가내 보호시스템의 기본적 조류는 상위계통에서 하위의 수용가로 한 방향으로 전력조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분산전원이 연계되면 역방향의 전력조류도 발생하므로 기존의 제어 보호 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새로운 보호협조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새로운 보호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요소인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개발이 필수적 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태양광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는 경우, 기존의 구간개폐기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구간개폐기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n Momentary Voltage Dips with the Interconnection Operation of Utility-interactive Cogneration Systems Considering Their Generator Type (발전기 형태를 고려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의 배전계통 연계운전시의 순시전압변동 해석)

  • 최준호;김재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4 no.4
    • /
    • pp.23-30
    • /
    • 2000
  • Cogeneration systems are seen as a significant innovation for dispersed energy generation since they are both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comparatively high degrees of efficiency. It is especially suited for the decentralized provision of electricity and heat. However, it causes operational problems such as voltage regulation, voltage variation, protection and safety.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connection/disconnection operation of cogeneration system has an effect on distribution voltage regulation and variation. Recently, with the increased use of customer-owned computers and other sensitive electronic equipment, electric power quality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s. Therefore, the voltage quality problems with cogeneration system should be investigated because the voltage quality is an important part of electrical power quality. In this paper, the momentary voltage dips associated with the interconnection/disconnection operation of cogeneration system are analyzed, including restraint solutions at the customer level. In addition, the unit capacity of cogeneration systems per feeder are evaluated from the view point of momentary voltage vari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useful analysis data for interconnection standards/guidelines of cogeneration systems and dispersed generation (DG)

  • PDF

An Incentive mechanism for VOD Streaming Under Insufficient System Resources (한정된 자원 환경에서의 주문형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인센티브 메커니즘)

  • Shin, Kyuyong;Lee, Jongdeog;Shin, Jinhee;Park, Chan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4
    • /
    • pp.65-77
    • /
    • 2013
  • Recently the ratio of the Internet traffic generated by video streaming applications including video-on-demand (VOD)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while P2P-based naive content distribution has been the main source of the Internet traffic in the past. As a result, the paradigm of cooperatively distributed systems (e.g., P2P) is changing to support streaming applications. Most P2P assisted approaches for video streaming today are based on Bit Torrent thanks to its simplicity of implementation and easy adaptability. They, however, have immanent vulnerability to free-riding inherited from Bit Torrent, which inevitably hurts their performance under limited system resources with free-riding. This paper studies the weakness to free-riding of existing Bit Torrent-based video streaming applications and investigates the adaptability of T-Chain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to prevent free-riding in cooperatively distributed systems) to video streaming applications. Our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video streaming approach based on T-Chain outperforms most existing Bit Torrent-based ones by 60% on average under limited system resources with free-riding.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Swarm Robot System using Q-learning and Cascade SVM (Q-learning과 Cascade SVM을 이용한 군집로봇의 행동학습 및 진화)

  • Seo, Sang-Wook;Yang, Hyun-Chang;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2
    • /
    • pp.279-284
    • /
    • 2009
  • In swarm robot systems, each robot must behaves by itself according to the its states and environments, and if necessary, must cooperates with other robots in order to carry out a given task.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each robot has both learning and evolution ability to adapt the dynamic environments. In this paper,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using many SVM based on structural risk minimization and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is proposed for behavior learning and evolution of collective autonomous mobile robots. By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 exchanging the chromosome acquired under different environments by communication each robot can improve its behavior ability. Speciall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volution, selective crossover using the characteristic of reinforcement learning that basis of Cascade SVM is adopted in this paper.

최적의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LG건설의 eWorks21 시스템

  • 박종국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3 s.15
    • /
    • pp.19-24
    • /
    • 2003
  •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는 발주처로부터의 완벽한 주문생산이라는 특성과 서로 다양한 직종의 전문 작업자들 간의 협동이 필수적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프로젝트 참여자의 긴밀한 의사소통과 자료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참여자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사실이 비효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개발되어진 eWorks21은 그 특징상 공동 작업을 요구하는 건설 업무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eWorks21은 프로젝트 참여자간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Collaboration 기능, 의사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Communication 기능, 각종 업무 협조 및 상호간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Coordination 기능, 프로젝트 별로 강한 특성을 지닌 현실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광범위한 설정을 목적으로 하는 Customization 기능의 4가지 큰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LG건설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모든 프로젝트에 eWorks21시스템을 다수의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 간 활용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성과를 경험하고 있어 이러한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Algorithm for the Determination of Fault Section in Bidirectional Distribution Line (양방향 배전선로에서 고장구간 판단 알고리즘 연구)

  • Park, Hak-Yeol;Seo, Dong-Kwe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21_523
    • /
    • 2009
  • 최근 고유가에 따른 발전비용 증가와 교토의정서 발휘로 인한 $CO_2$ 저감의무 등 환경보전이라는 사회적 요구와 맞물려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로 대표되는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등을 이용하는 발전방식은 저용량의 발전으로 대규모 집중형 전원이 아니 전력 수요지 근방에서 설치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분산형전원(DG;Distribution Generator)으로 배전선로에 직접 연계됨에 따라 배전계통에도 큰 변화가 일고 있다. 분산전원(DG)이 배전계통에 연계됨에 따라 전압변동에 따른 전압조정, 고조파 계통유입에 따른 전기품질, 계통고장시의 분산전원의 단독운전 방지, 고장전류의 분산에 따른 선로의 보호협조 등 다양한 새로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 및 신기자재개발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배전자동화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고장검출 알고리즘은 단방향으로 전기를 공급하던 전통적인 배전방식에서 단순 과전류요소에 의해 고장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분산전원이 연계된 양방향 전기공급 배전계통에서는 정확하게 고장구간을 검출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고장판단 문제점과 보호기기의 오동작 등으로 정확하게 고장구간을 판단하지 못하여 광역정전이 발생되고 고장복구가 장시간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양방향 전기공급 배전계통에서 고장이 발생시 고장점으로 유입되는 고장전류의 파형형태를 분석하여 고장 구간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다기능 mFRTU(mFRTUmulti-function Feeder Remote Terminal Unit) 의 고장 구간 판단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선로에서 실증시험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liability Assessment for Distribution System interconnected with New Energy Sources (신재생에너지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에서의 신뢰도평가에 관한 연구)

  • Kim, Chan-Hye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2-15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해석적인 수법에서 여러 신뢰도 지표가 주로 수용가의 수와 지형적인 영향만을 고려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어느 특정지역의 수용가가 실제로 정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수용가의 정전비용을 계산하여, 이에 의한 영향을 신뢰도 지표 속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즉, 정전비용에 따른 수용가의 중요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수용가의 정전비용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신뢰도 평가지수를 정의하여, 양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계통이나 지역, 설비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신뢰도 평가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배전계통에 신재생에너지전원(이하 분산형전원)이 도입된 경우를 상정하여 상기의 신뢰도지수를 산정하는 수법을 제안하였으며, 사고구간을 줄이는 리클로우져와 섹셔널라이저의 동작을 포함한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시스템도 고려한 신뢰도지수 산정법도 제안하였다.

  • PDF

C00rdinated Testing between transformer Tap Selection and Inverter Voilage Control in the PV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분산 발전 시스템의 계통연계용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 협조시험)

  • Yoon, kap koo;CHO, Seo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98-1099
    • /
    • 2015
  • ${\bullet}$ 시험대상: 영월태양광 4,990kW(998kW ${\times}$ 5호) ${\bullet}$ 13.07.31 연계기술검토의뢰 ${\bullet}$ 13.08.28 한전검토결과: 인근변전소 영월S/S(40MW) 초과로 10.8km 지점의 평창 D/L 평창간 347호 주진S/S에 다음의 보완대책과 연계 권고 ${\cdot}$ 문제점: 적정전압이탈 및 순시전압변동률 유지불가 ${\cdot}$ 연계기준만족을 위해 한전에서 제시한 보완대책 : 계통용량증설(설비보강), 연계용량 감소 및 전용선로 연계 ${\bullet}$ 14.01.09 분산형설치자의 용역사(에이스기술단)에서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과 연계기준 만족을 위한 보완대책 제안 ${\cdot}$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 자동전압(역률/무효전력) 조정기능 및 감시설비 구비 ${\cdot}$ 최적 공통연결점 선정: 분산형전원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영월D/L 영월S/S측에 개폐장치설치 하고 주진S/S 측으로 연계 ${\bullet}$ 14.01.29~06.19 한전(전력연구원)의 유효성 검토 ${\cdot}$ 보완대책 기술적 유효(실증시험 시행 후 시행공문 발송 예정) ${\bullet}$ 14.08.08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 개정에 따른 협의 ${\cdot}$ 변압기 대당 20MW에서 25MW ${\cdot}$ 변전소 전체 60MW에서 75MW까지 허용 ${\cdot}$ 영월 S/S 측 문곡/영월 D/L 연계 공사 협의 ${\bullet}$ 14.10.04 사용전검사, 한전계통연계운전 시작 ${\bullet}$ 인버터 고정역률(99.9~100%) 운전 시험 ${\cdot}$ 14.11.21 22.9kV 계전기(SEL-751) 5대, 15분 간격 자료저장 ${\cdot}$ SEL-751/USB to RS232C/노트북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14.03.07 인버터 역률 95.0% 조정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협조시험 계획 ${\cdot}$ 변압기탭을 현장에서 상하 1탭씩 변경 ${\cdot}$ 인버터역률을 인버터공급사에서 원격조정 ${\cdot}$ 22.9kV 보호계전기 SEL-751, 15분 간격 측정 ${\cdot}$ 인버터 370V 계전기 K-PAM DG3000/현장감시설비 연계 ${\cdot}$ 15분 간격 측정 저장 ${\cdot}$ 현장감시설비/인터넷 연결 원격측정(첨부예정)

  • PDF

Web-based Open Distributed HW/SW Codesign Environment (웹에 기반한 개방형 분산 HW/SW 통합설계 환경)

  • 김승권;김종훈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4
    • /
    • pp.476-489
    • /
    • 1999
  • HW/SW codesign is integrated design of systems implemented using both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Many design tools has been developed to support this new paradigm, so far. Current codesign tools are not widely used as been expected because of variety problems - rapidly evolving technology, platform dependency, absence of standard specification method, inconsistent user interface, varying target system, different function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based distributed HW/SW codesign environment to remedy this kinds of problem. Our codesign environment has object-based 3 tier client/server architecture. It supports collaborative workspace through session service. Fully object-oriented design of user interface(OOUI) enables easy extension without change of user Interface. Furthermore it contains transaction server and security server for efficient and safe transfer of design data. To show a validity of our design, we developed prototype of web-based HW/SW codesign environment called WebCEDA. Our model of HW/SW codesign can be used for web-based generic CAD to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