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 능력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he Design of Collaborative System in a P2P File Sharing Environment (P2P 파일 공유 환경에서 협업시스템 설계)

  • 구희관;김운용;정계동;최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448-450
    • /
    • 2003
  • P2P 환경의 파일 공유 서비스는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널리 이용됨으로써 거대한 분산 컴퓨팅 환경으로 이끌어 낸다. 이것은 기존의 파일 공유 서비스 이외에 프로세스 공유 측면에서도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2P의 파일 공유 서비스 사용 형태를 기반으로 프로세스 공유를 위한 협업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P2P에서 발생가능한 Peer들간의 집중현상을 간접적으로 줄이고 다수의 Peef들 간의 분산된 컴퓨팅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파일 공유 환경에 효율적인 분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s of CPP/A Editing System based on ebXML (ebXML의 CPP/A 편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him, Hyung-Sub;Lee, Sang-Bok;Kim, Chang-Su;Song, Jung-Young;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093-1096
    • /
    • 2002
  • 기업간 비즈니스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B2B(Business to Business)기업이 지원하는 업무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와 업무 정보 교환을 위해 기업의 기술적인 사항을 정의하고 거래 기업간에 비즈니스 거래를 위하여 거래 파트너간 합의된 상호작용을 정의한 문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서를 XML 기반의 개방형 전자상거래 프레임 워크인 ebXML(electronic business XML)에서는 기업의 비즈니스 협업능력을 정의한 전자를 협업 프로토콜 프로파일(Collaboration-Protocol Profile:CPP)이라 하고 거래 기업간에 비즈니스 협업 상호작용을 정의한 후자를 협업 프로토콜 약정서(Collaboration-Protocol Agreement:CPA)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ebXML에서 거래 기업간 상호 운용성을 증대시키는 CPP문서를 효율적으로 저작 할 수 있는 생성기와 거래 기업들의 CPP 문서들을 기본으로 상호 협업을 정의한 CPA 문서를 저작 할 수 있는 Composer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Implement of student model and feedback principle based on cooperation ability (협업 능력 기반 학습자 모델 및 피드백 기준 개발 연구)

  • An, Jin-Hyeon;Seon, Dong-Eu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407-409
    • /
    • 2017
  •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은 학습자에게 자동으로 학습코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비전공자 대상 코딩 교육용 ITS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팀도 비전공자 대상 코딩 교육용 ITS "Everycoding"을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학습자 별 맞춤형 코딩 교육 튜터링 시스템 개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협업 능력 기반의 학습자 모델을 군집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 별 맞춤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준을 제안한다.

A Study on the Role of Design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Design Process and A.I based Design Software- (인공지능 시대에서 미래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고찰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 Jeong, Won-Joo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8
    • /
    • pp.279-2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ole of future designers and capabilities to be developed in the age of A.I. Active and preliminary designers should prepare themselves to develop necessary capabilities. As a method of study, we investigated the meaning of design and the changing role of designers from the past to present. Addi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on generative design, design processes, and A.I based design software.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d the role of future designers and their capabilities in the age of A.I. In conclusion, the role of future designer should lead social innovation through creativity by cowork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users. Based on this research, designers are expected to develop unique humanities skills such as empathy and creativity and work with AI in response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based on Contents for an Efficient Task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 (건설 프로젝트 업무관리 효율화를 위한 콘텐츠기반 협업 플랫폼 개발)

  • Kim, Seong-Ah;Jung, Choong-Won;Kim, Nam-Ho;Choi, Cheol-Ho;Chin, Sang-Y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3
    • /
    • pp.98-107
    • /
    • 2016
  • An information system in a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typically used for drawing, docum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process. And it has limitations to support real-tim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project stakeholder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e, and task management by developing a collaboration platform among project stakeholders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ntents. The platform developed in this research, named as CCP, aims to suppor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related activities beyond the scope of legacy systems at construction sites. CCP was validated through pilot test and user survey, and it was found to be very helpful for shar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tracking and recording, and improving a user's work capability.

The Effects of Users' Self-Reference of The Comparative Domain with Creative AI Robot in Music Composition on Their Envy toward Robot, Cognitive Assessment of Music and Intention to Work with Robot (인공지능 로봇과의 비교영역 자기관련성이 사용자의 시기심, 음악 창작물에 대한 평가 및 로봇과의 협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Doohwang;Kim, Yu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79-89
    • /
    • 2020
  • The current study explored if users' self-relevance of the comparison domain with creative AI robot in music composition affected their envy toward the robot, cognitive assessment toward the music and intention toward working with robot in future. This study conducted a 2 (degree of self-relevance: high(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vs. low(those not majoring in music) × 2 (working type: robot-only vs. robot-human collaboration)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ose majoring in music did not feel envious of the robot as much as those not majoring in music. However, compared to those not majoring in music, those majoring in music evaluated the robot's creativity lower, ha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music, showed less intention to use the music and work with the robots in future. No interaction between the degree of self-relevance and the working type was fou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mote Airborne Control Simulator for Experimentation of Manned-Unmanned Teaming of Fixed Wing UAV (고정익 유/무인기의 협업 모의를 위한 원격공중통제 시뮬레이터 개발 및 활용방안)

  • Choi, Young Me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5 no.1
    • /
    • pp.56-6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a Remote Airborne Control Simulator that could simulate manned-unmanned teaming (MUM-T mission) for fixed wing UAV. With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he mission capability of UAV has tremendously grown. The role of UAV extends from simple reconnaissance to highly automated wingman. Accordingly, the requirement of UAV ground simulator should be modified as well to meet function requirements for simulating a MUM-T mission. A developed remote airborne control simulator was developed for conducting fixed wing UAV MUM-T operation simulations on the ground. The newest MUM-T examples, usage, and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remote airborne control simulator for MUM-T simulation are also present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Multi-person remote collaboration system using WebRTC for fields adaptation (WebRTC를 이용한 현장 적응형 다자간 원격협업 시스템 개발)

  • Lee, Kwanhee;Kim, Ji-In;Kwon, Goo-Rak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4
    • /
    • pp.9-14
    • /
    • 2021
  • In the case of the existing remote collaboration, the remote support service-oriented system is not suitable for the use of the field-oriented multi-person remote collaboration system. This paper is a remote collaboration system development for various industrial sites. We develop remote support and work management that faces the various needs of industrial sites, real-time video remote support between workers, and real-time voice work sharing between workers. In addition, The goal of the development aims to increase the usability by strengthening the security function through encryption in the video an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system. Finally, the development contents are the remote management and the support software development, Android app development for worker, WebRTC-based remote collaboration system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nd prototype development. These products are expected to increase demand and increase sales by installing and operating at industrial sites, and can promote manpower training, understanding trending technologies, and improving capabilities.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학교육은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청년실업율 상승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부터 창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지위한 정책과 지원을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교육의 교과 비교과 교육커리큘럼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성 역량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창의성역량 함양과 도전정신을 강조하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추세이다. 이는 작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과 일치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도 창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의지, 창업성과, 청년창업 등 창업에 관련된 단편적 측면으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즉,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성 측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창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지역 거점별 5개 대학교의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만 창업교육의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순히 대학의 창업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서 창업과 같은 실무적 성과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영역 등과 같이 다각도의 효과와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istributed DNN Service through Multi-UAV Collaboration (Multi-UAV 의 협업을 통한 DNN 서비스 분산 처리 기법)

  • Min-Gyu Jin;Chan-Min Lee;Min-Seok Seo;Ju-Seong Park;Si-Eun Choi;An-Na Cho;Su-Kyou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7-69
    • /
    • 2023
  • 유연한 이동성, 쉬운 배치,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가진 Unmanned Aerial Vehicle(UAV)를 이용해 Deep Neural Network(DNN)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UAV 는 메모리와 컴퓨팅 능력, 배터리가 제한되어 있어 DNN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UAV간의 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UAV 협업 환경에서 DNN 서비스의 처리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UAV 들의 작업량을 고려한 서비스 분산 처리 기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DNN 서비스 처리 지연 시간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