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업제품개발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4초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설계 - PACT 분석을 적용한 개념 디자인 연구 - (Designing User Experiences in Network Environment with Scenario-Based Design - PACT Analysis Approach to Conceptual Design -)

  • 이상희;김준환;임진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40-245
    • /
    • 2006
  •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컨버젼스 제품들이 늘어나면서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론으로 미래의 사용자 환경을 예측하기엔 한계를 보인다. 또한, 제품 개발 시 관련 부서간 협업의 비중이 늘어난 반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설계 방법론으로써 PACT 분석을 응용한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Scenario-Based Design)을 채택하여 디지털 가전제품간의 네트워크 사용 환경에 대한 개념 디자인 방향을 효율적으로 제시하였다. PACT 분석은 People, Activity, Context, Technology 등 4 가지 요소를 시나리오 전개의 중요한 인자로 삼고 있는 방법론으로써 미래 사용 환경에 대한 예측과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관련 부서간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어 각 분야의 전문성을 결과물에 반영하기에 효율적이었다. 추후 연구과제로는 본 방법론을 체계화하여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도메인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설계 프로세스를 구성할 예정이다.

  • PDF

금형공장의 협업적 전자주문처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Collaborative Electronic Quotation System in the Mold Plant)

  • 조용주;임춘성;신기태;허영무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116-1121
    • /
    • 2003
  • 현재 금형공장에서는 변화하는 시장에 빠른 반응을 보이고, 생산하고 있는 제품의 높은 품질과 낮은 가격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존 시스템과 인터넷을 접목하려는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금형공장에는 ETO(Engineering To Order) 방식의 제조방식과 사출금형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표준견적 시스템의 개발이 어렵다. 그리고 영업과 수주에 반영할 객관적인 정보가 없으며 고객의 요청 시 실시간으로 확인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금형공장의 특징을 반영하고,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협업적 전자주문 처리 시스템의 프레임웍(framework)을 설계하고, 또한 각 세부 모듈인 견적가격 산정기능(Cost Estimation Tool), 납기 가능일자 산정기능(Leadtime Tool), 주문상황 응답처리 기능(Order Status Tool), 작업상황 파악기능(Shop Status Tool)을 설계한다. 그리고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금형공장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한다. 그리고 주문처리 프로세스의 UMM 방법론 모델링을 통하여 원형(prototype)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엔지니어링 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rtual Reality Application based on Engineering Data Set)

  • 차무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3-684
    • /
    • 2012
  • 제품 또는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물리현상을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하고 그 거동을 예측하거나 평가하는 CAE 등의 엔지니어링 기술이 많이 사용된다. 한편, 가상의 공간에서 협업, 운영, 유지보수, 훈련 등의 다양한 목적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은 대상체 물리현상에 대한 정확한 시뮬레이션 및 데이터 신뢰도의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AE 엔지니어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시스템에 정밀한 물리현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분석과 연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간단한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지리적으로 분산된 디자이너들을 위한 3D 디자인 협업 환경 - 공유 조작과 원격 실재감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 인터랙션 기법을 중심으로 - (Collaborative 3D Design Workspace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Designers - With the Emphasis on Augmented Reality Based Interaction Techniques Supporting Shared Manipulation and Telepresence -)

  • 사공경;남태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06
  • 국제화, 전문화, 분업화 되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협업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디자인 전문가들이 3D 모델을 함께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디자인 협업 환경을 제안한다. 특히 원격 협업 환경에서 원격 실재감, 공유조작, 상대 인식 등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터랙션 기법을 개발하고, 디자인 리뷰와 관련된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평가하였다. 관련연구 조사와 디자인 협업 행태의 관찰 실험을 기반으로 작업대상 관련, 작업공간 관련, 상대인식 관련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3차원 원격 협업 환경을 구축하였고 원격 사용자에 대한 존재감을 제공하는 회전원반(Turn-table)과 가상그림자(Virtual Shadow)라는 인터랙션 도구를 개발하였다. 회전원반은 가상모델의 조작에 직관성을 부여하고 상대의 조작에 물리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가상그림자는 상대의 위치, 제스처, 지시 등의 인식 정보를 지속적이고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평가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인터랙션 도구들이 3D 모델의 검토에 있어서 대략적인 지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수정사항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가상의 3차원 모델을 다루는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들(디자이너-디자이너, 디자이너-엔지니어, 혹은 디자이너-모델러 등)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IFX : 데스크탑 - 몰입 환경 간 협업을 위한 FEM/CFD 가시화 시스템 (IFX : FEM/CFD visualization system for Desktop-Immersive environment collaborative work)

  • 윤현주;;조현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61-666
    • /
    • 2007
  • 최근들어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 디자이너와 개발자, 의사 결정권자들이 FEM, CFD 시뮬레이션 결과를 리뷰할 때에 가상현실기술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몰입감을 높여주는 가상현실환경은 모델에 대한 해석 결과물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의 실제 크기와 같게 혹은 그보다 더 크고 자세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몰입환경은 사용자가 데스크탑 환경만을 사용할 때 경험할 수 없는 높은 사실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데스크탑 환경에 비해 해상도가 낮고, 어두운 곳에서 스테레오 안경이나 HMD(Head Mounted Display), Data glove등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멀미, 시각적인 피로, 방향감각 상실로 대표되는 가상멀미 등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데스트탑 환경에서의 데이터 리뷰는 고해상도 이미지 분석은 가능하지만, 입체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리뷰 데이터의 실제감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데스크탑 환경과 가상현실 환경 간의 협업이 가능한 FEM/CFD 가시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은 가상현실 몰입환경에서 해석 데이터를 단순히 가시화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데스크탑 시스템과 동일한 3D 인터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해석 결과 분석을 위한 동일한 post-processing 작업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 공간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시스템들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 PDF

SBA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교환서식 설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Design and Application of Data Interchange Formats (DIFs) for Improving Interoperability in SBA)

  • 김황호;김문경;최진영;왕지남
    • 정보화연구
    • /
    • 제9권3호
    • /
    • pp.275-285
    • /
    • 2012
  • 모의기반획득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관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교환 서식(DIF: Data Interchange Format)을 필요로 한다. 데이터 교환서식은 분산제품 기술서(DPD: Distributed Product Description)의 템플릿 역할을 하며, 분산제품 기술서의 각종 정보 및 M&S 자원을 입력 및 출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정보를 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모의기반획득을 지원하는 통합협업환경이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기반획득의 제반 절차 단계 중에서 설계 및 제조와 관련된 형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교환서식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단계별 산출물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교환서식 모델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데이터 교환서식 모델을 기반으로 XML 기반의 데이터 교환서식 모델을 구현하고, 사례를 통하여 데이터 교환서식을 이용한 데이터 변환을 시연함으로써 제안된 데이터 교환서식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품개발과 품질경영 통합 역량이 무기체계 국산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Capa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upon the Success of the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 승창균;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89-100
    • /
    • 2012
  • 본 연구는 제품개발과 품질경영의 통합이 무기체계 국산화의 성공에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110개 체계방산 대기업 및 체계방산 대기업의 협력업체 그리고 일반 방산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품질경영역량요소인 인적자원개발역량, 조직역량 그리고 프로세스역량과 연구개발역량 요소인 인적자원역량, 기술축적역량, 내외부와의 협업역량은 모두 무기체계 국산화 성공의 원가는 물론 시간과 품질 등 모든 요인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기체계 핵심부품 국산화 뿐 아니라 일반기업의 신제품개발 활동에 있어서도 품질경영과 신제품개발을 통합할 때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고객 온라인 구매후기를 활용한 추천시스템 개발 및 적용 (An Online Review Mining Approach to a Recommendation System)

  • 조승연;최지은;이규현;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95-111
    • /
    • 2015
  • 추천시스템은 과거 구매행동을 통해 사용자가 향후 구매할 것이라 예상되는 제품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추천시스템은 여러 전자상거래 업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 및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제품을 평가하는지, 어떠한 요소가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구매후기를 통해, 사용자 별 제품 평가요소를 활용할 수 있는 추천 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구매후기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후기의 특성이 반영된 커널과 평가 점수가 반영된 커널 등을 함께 활용하여 다중 커널 학습 기반의 추천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을 BestBuy 사례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기존 협업적 필터링 알고리즘보다 다중 커널 학습에 의한 추천 모형의 정확도가 우수하였고, 구매후기의 유사성을 반영하였기에, 사용자가 어떠한 요소를 평가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협업적 필터링 알고리즘보다 다양한 제품에 대한 추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커널 학습 기반을 사용한 융합적인 추천모형으로서, 온라인 추천시스템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다품종 사업환경에서의 PLM 적용에 대한 연구 : Benchmarking 기법 (A Study on the Induction Procedure of PLM in the Multi-Item Product Business : Benchmarking Method)

  • 안용호;정우철;김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125-133
    • /
    • 2012
  • 기업의 투자 자원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R&D 투자로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 개념 설계, 상세 설계, 생산, 서비스에 이르는 전체 수명 주기에 걸친 제품정보를 관리하고 이 정보를 고객 및 협력사에 협업 프로세스로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제품 설계를 위한 아이디어 단계부터 폐기까지 제품의 수명주기에 걸쳐 People, Process, Business System과 Information을 통합 확장한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et, 부품, 장치사업 등의 사업부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메이저기업의 연구개발 부문을 중심으로 제품 전략에서 상품기획, 개발, 단종까지의 프로세스, 정보 및 의사결정 체계를 혁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품종 사업환경에서의 PLM 유도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함정 획득시스템 개선을 위한 제품구조 중심의 기본설계시스템 (Basic Design System Centered on Product Structure for Improvement of Naval Ship Acquisition Systems)

  • 오대균;민영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215-221
    • /
    • 2011
  • To improve the naval ship acquisition process, systems engineering, modeling and simulation, etc. have been introduced, and there has been ongoing research on acquisition systems for effective support of it. However, due to characteristics of the naval ship acquisition process, development process mainly carried out at a shipyard such as basic design, detailed design, construction and test is difficult to integrate with the acquisition systems of IPT(Integrated Project Team). In addition, research aimed to improve this is rather lacking. In this paper, the naval ship product structure concept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was applied to the basic design system at shipyard, and basic research for expanding the coverage of naval ship acquisition systems to the basic design phase is performed. A data structure of modeling system appropriate to the basic design phase was proposed through research findings and the prototype system based on it was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