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정보행동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fo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tropolitan Area (중고등학생의 학업 수행을 위한 협업정보행동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 Kang, Ji-He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0 no.4
    • /
    • pp.405-428
    • /
    • 2019
  • This study discerned interactions that secondary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ir studies and information behaviors that explains their interactions. In addition, when young people collaborate with their friends, this study identified their actions, such as collecting, using, sharing, and generating informatio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ed of 'Radical Change Theory' focusing on the information behavior of the digital age youth and the type of radical change in the digital ag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atu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reflected in our educational reality. Students, however, approached and utilized various information sources, diversified their opinion sharing tools, and discovered channels that were different from adults and used them in information activities. Though not as anticipated, they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helped the individual's growth.

BICF :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Online Behavior Information (온라인 행동정보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 Kwak, Jee-yoon;Kim, Ga-yeong;Hong, Da-young;Kim, Hy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401-404
    • /
    • 2020
  • 현재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는 협업 필터링은 고객이 입력한 평점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시스템을 구축한다. 하지만 기존의 평점 정보는 고객이 직접 입력해야 하므로 데이터 희소생의 문제가 있고 허위정보를 가려내지 못한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평점 정보 기반의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고객 행동 정보를 활용한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Online Behavior Information (BICF) 알고리즘이 기존의 평점 기반 협업 필터링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보여주었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D Collaboration System for Open Innovation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 협업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ang, Yeong-Ho;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06-208
    • /
    • 2011
  • 전통적 R&D 협업시스템은 불특정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독립적으로 일을 하는 협업 시스템으로 인터넷 기반의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나 위키(Wiki)와 같은 협업 툴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협업적 작업을 위한 방법이 다양하고 외부에 많은 부분을 의존함으로써 프로젝트 참여자의 혼란이 가중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위한 개방형 R&D 협업시스템을 설계하고 커뮤니티 도구와 시맨틱 전문가 검색 시스템 개발을 통해 R&D 협업시스템을 구현하여 시범 서비스를 수행한 사례를 제시한다. 개방형 R&D 협업 시스템은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채널과 사용자의 행동 예측 및 정보 매칭 기술 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R&D 협업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미래 전 산업 연구 개발 분야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ign of Supporting Awareness on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using Java Message Service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CoSlide 협업시스템의 Awareness 지원 설계)

  • Kim, Seong-Hune;Lee, Hong-Chang;Park, Jong-Mun;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13-217
    • /
    • 2008
  • 협업시스템은 분산된 작업그룹의 구성원들이 정보를 쉽게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작업환경이다. HTTP/1.1 을 확장한 WebDAV는 사용자가 원거리 서버의 자원을 수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 통신 프로토콜이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효과적으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WebDAV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개발된 협업시스템으로서 협업을 위한 가상공 간을 제공하며 가상공간에 다양한 자원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CoSlide 협업시스템이 제공하는 기존의 작업장들은 그룹 구성원들간의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구성원들의 행위 인식 (Behavior Awareness) 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할 때, 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바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CoSlide 서버의 Awareness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CoSlide 서버의 Awareness 지원을 위하여 CoSlide 클라이언트인 CoSpace의 확장을 설계하였다. 사용자는 CoSpace 협업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협업을 수행하면 CoSlide 서버는 구성원이 수행하는 작업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의 공개수준 여부와 수신여부를 참조하여 관련된 구성원에게 알려줌으로써 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 PDF

Analysis of Z Generation's Collaborative Information Activities through Challenges: Focus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챌린지에 나타난 Z세대의 협업 정보 활동 -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

  • Ji Hei K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5 no.1
    • /
    • pp.173-192
    • /
    • 2024
  •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plained the process and aspects of how Generation Z interacted with information while collaborating on a daily basis. Applying the Radical Change Theory, the study investigated the platforms through which university students engaged in challenges and their information behaviors. University students primarily participated in challenges using platforms such as Instagram and Naver Blog. In terms of changes in information seeking, which is the first type of information seeking in the theory, a wide and diverse range of inform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with the way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being quite different from when the digital age arrived 10 years ago. Information sources included not only digitalized ones but also traditional sources such as printed materials and personal contacts.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types was prominent, and collaborative efforts were voluntarily undertaken for challenges. In terms of changing perspectives, type 2 of information behavior, the main motivation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securing knowledge led to participation in the challenge. Participants exhibited a sen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cluding mutual influence awareness, soci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nd emotional connection.

Document Security for Web-Based Collaboration System (웹 기반 협업 시스템의 문서 보안)

  • Kim, Yang-Suk;Kang, Ju-Mi;Won, Y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885-88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확산과 컴퓨팅 환경이 급속히 변화되면서 특수 소수 그룹의 구성원들 간의 정보, 공유와 재사용을 지원하는 웹 기반 협업 시스템 개발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웹 기반 협업 시스템들은 시스템 사용자 인증만의 절차에 의한 특수 소수 그룹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있어 인가된 사용자를 가장한 악의의 사용자에 의한 정보의 삭제, 수정, 파괴 등의 불법적인 행동을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민감한 정보의 공유는 더욱더 어렵게 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기반 협업 시스템의 성격을 고려한 유연성 있는 보안정책과 보안모델을 바탕으로 소 그룹단위로 을 제어할 수 있는 접근제어와 민감한 정보의 불법적인 접근을 제어 할 수 있는 접근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Topic Models for Rating Based Recommender Systems (평점 기반 추천시스템을 위한 토픽 모델 협업필터링)

  • Kim, Kwang-Seob;Jung, Ho-Gyeong;Lee, Hyun-Jong;Lee, H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81-383
    • /
    • 2012
  • 협업필터링은 지금까지 많은 추천시스템 연구에서 비교대상이 되거나 더 좋은 추천시스템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서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협업필터링 기법은 명시적으로 관찰된 사용자들의 행동을 기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해 사용자와 추천 대상이 되는 아이템의 숨겨진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협업필터링기법에 응용했다. 영화 추천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험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는 다양한 영화 장르를 선호하는 비율로 나타난다는 가정(사용자기반)과 영화 또한 장르의 비율로 표현이 된다는 가정(아이템기반)을 했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사용자 사이와 영화 사이 간의 유사도를 정의하고, 협업필터링에 적용했을 때, 전통적인 협업필터링 기법보다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system managers on intention to use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 Focusing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협업시스템 담당자의 정보보안 인식이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도입 의도에 미치는영향: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Noh Hyeyoung;Lee Sin-B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5
    • /
    • pp.463-474
    • /
    • 2023
  • Advances in technology have made it easier for organizations to share information and collaborate. However, collaboration systems where multiple entities share and access information are vulnerable to security. The concept of Software Bill Of Materials (SBOM) has emerged as a way to strengthen information security by identifying and transparently managing the components of software programs. To promote the adoption of SBOM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ntion to use of collaboration system manag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formance expectations from SBOM adoption were an important variable for intention to us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security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performance expectations. We found that SBOM adoption has an important causal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due to the fact that it is targeted at enterprises, and that positive attitudes toward security and social climate can have a strong effect on intention to use.

Analysis of the disaster field response manuals for the local government (지자체 재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의 분석과 개선 방향)

  • Lee, ChangYeol;Park, Giljoo;Kim, Young-Chan;Hong, Hankuk;Kim, TaeHwan;Lee,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13-214
    • /
    • 2017
  •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에서 지정한 재난 유형에 대하여 해당 지자체에 위험성이 높은 재난 유형을 선정하여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을 작성하고 운영하고 있다. 2016년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매뉴얼 작성 표준안을 제시하였으며, 지자체에서 작성된 매뉴얼은 이 표준안을 준수하고 있다. 본 표준안은 기존에 정의된 13개 협업기능에 재난 대응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조치 사항(SOP)을 코드화하여 매뉴얼의 규격화를 제공하는 구조적 체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적 관점에서 재난 유형에 따른 단계 체계의 명확성, 조치사항 추가에 대한 방향성, 그리고 동일 조치 사항에 대하여 재난 유형에 따른 내용적 차이 등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PDF

Customer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 Preference Estimation Model and Collaborative Filtering (선호도 추정모형과 협업 필터링기법을 이용한 고객추천시스템)

  • Sin, Taek-Su;Jang, Geun-Nyeong;Park,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07-414
    • /
    • 2005
  • 본 연구는 상품추천을 위해 필요한 고객선호도 추정모형을 제안하고, 이러한 선호도 추정결과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궁극적으로 상품추천의 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고객의 행동패턴만으로 고객의 제품선호도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선호도 추정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모형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가중치를 학습을 통해 최적화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선호도 평가를 가능하게 해 주다. 한편, 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서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고객선호도 정보를 수집한 후, 본 제안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협업 필터링 성과와 단순선호도 계산식을 이용했을 경우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본 제안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협업 필터링 성과가 단순 선호도 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성과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