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약

Search Result 1,72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해운이슈 - IMO의 선박재활용협약, 세계해운업계의 '뜨거운 감자' - 2013년 발효될 경우 세계해운시장에 상당한 파문일 듯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3 s.49
    • /
    • pp.18-24
    • /
    • 2008
  •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재활용협약 세계적인 해운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동 협약이 발효될 경우 세계해운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파괴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동협약의 적용대상 선박은 총톤수 500톤이상 선박으로 현재 협약적용 대상선박은 약 5만여척에 달하고 있다. 이 협약이 발효되면 선주들은 협약 발효후 5년내 선내의 유해물질 조사, 목록을 작성하여 기국정부 인증후 증서를 유지하고, 선박재활용전 유해물질을 사전에 제거해야 하는 등 선주들의 비용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문제의 핵심은 선박보유 자체가 부담이 되는 협약이라는 것이다. 다음은 선박재활용협약의 논의배경과 전망을 정리한 것이다.

  • PDF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국제동향과 대책

  • Kim, In-Su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5
    • /
    • pp.35-44
    • /
    • 2008
  • 세계 해양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설립된 UN 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해양환경 오염물질 등에 대한 규제강화를 위하여 최근 새로운 해양환경협약의 채택 및 발효를 강력히 추진해 오고 있다. IMO의 국제협약은 선박이라는 효과적인 제어수단을 통하여 가장 강력한 통제력을 갖는 협약으로 세계 모든 해양국의 해양환경에 관한 국제법의 성격을 띄고 있다. 구속력이 강력한 만큼 변화되는 국제협약에 의해 새롭게 창출되는 해양환경시장의 규모가 엄청나므로 당사국들이 서로 자국의 이익을 위해 올인하는 전형적인 그린라운드의 양상을 띄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국제해사기구의 A그룹 이사국이며 아울러 세계 제일의 조선대국, 또한 세계 6위의 해양대국으로서의 국제적인 위상을 감안할 때 해양환경 보호를 위하여 현재 발효되고 추진 중에 있는 협약에 대한 연구와 효과적 대처를 하여야 함은 물론 우리나라 조선, 해양산업이 보호되고 나아가 이익이 창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모든 국제협약이 이루어지게 노력해야할 것이다. 이 논문은 해양관련 환경규제 협약인 Marpol 73/78 협약, 선박의 유해방오도료 사용규제협약, 평형수 배출규제협약, 선박으로부터 오수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협약, 대기오염방지협약 등의 주요 현안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른 현실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O 협약이행코드에 따른 국내 협약이행현황 분석 연구

  • 이아란;최충정;장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99-400
    • /
    • 2022
  • 2022년 11월 우리나라 IMO 회원국감사 수검에 대비하여 타 회원국 감사결과 분석을 통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적사항을 식별하고, 그에 대한 우리나라 협약이행현황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composition and role of SLA(Service Level Agreement) -based on Incheon Airport (서비스수준협약의 구성요소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 Ye, Jeong-Beom;Park, Gwang-Hui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281-286
    • /
    • 2016
  • 국 내외 기업들이 새로운 경영기법으로 도입하고 있는 아웃소싱은 비용절감, 핵심 업무에 대한 집중, 생산성 제고 등의 장점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역시 공기업 경영혁신과 내부요인 등으로 인해에 개항과 함께 아웃소싱을 도입하였으며, 2014년 3월 현재에는 43개 분야에 아웃소싱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아웃소싱 도입이 확산 되면서 성공적인 아웃소싱 관리에 대해 모색하게 되었고, 인천국제공항 역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주로 IT 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는 서비스수준협약(Sercive Level Agreement, SLA)을 전 분야에 걸쳐 도입하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은 서비스수준협약을 통해 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수준을 유지하고자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비스수준협약이 IT 분야에만 집중되어 있어 아직까지는 비(非) IT 분야의 서비스수준협약 시행은 초기 단계이며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인천공항에서 운영 중인 서비스수준협약을 유사용역 그룹별로 구분하여 구성요소와 역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가 공항운영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수준협약 측정지표의 명확성, 적정성, 업무 통제 가능성은 과업운영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인천공항에서 운영 중인 서비스수준협약 평가 결과에 대한 인식이 과업 운영의 효율성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행 서비스수준협약 평가 결과에 따라 과업의 문제점이 반영되는지 여부와 과업운영의 효율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Through Port State Control (항만국통제를 통한 해사노동협약의 이행실태 분석)

  • Yang,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18-26
    • /
    • 2019
  •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2006, (MLC) aimed to ensure decent working conditions for seafarers and entered into force on August 20, 2013. It was considered as the fourth pillar in the maritime sector. This paper evaluates how the MLC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what issues were addressed in the shipping industry. To achieve th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spection data of Port State Control (PSC) carried out by the Paris MOU and the Tokyo MOU during 2010-2012 and 2014-2016 for deficiencies under the MLC an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No. 147 Convention. This study compared pre-2013 and post-2013 deficiency data according to ship's age, size (gross tonnage) and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deficiencies reported by the Tokyo MOU during 2014-2016 were nearly double those from 2010-2012, the deficiency share against total deficiencies for the Tokyo MOU remained two thirds of those for the Paris MOU.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kyo MOU should strengthen its inspection efforts on MLC and ILO should provide clear references, such as guidelines and a unified interpretation for national discretions under the MLC for the purpose of harmonized PSC inspections. Additionally, it would be desirable to consolidate the deficiency coding system for the MLC by deleting the codes for the ILO No. 147 Convention, which was incorporated into the MLC. It would also be beneficial to add new deficiency codes for social security, including seafarers' leave and repatriation.

원자력안전협약의 이행방안 수립

  • 안상규;설광원;이제항;김효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657-662
    • /
    • 1997
  •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의해 채택된 원자력안전협약이 지난 1996년 10월 24일 발효됨에 따라 안전협약의 제정배경을 재조명하고, 그 구성체계 및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을 토대로 한, 협약의 구체적 이행방안을 제시하고 협약이행을 통해 예상되는 기대 및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 PDF

A Study on Moderniza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항공보안 관련 국제협약의 현대화와 국내입법의 이행 연구)

  • Lee, Kang-B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0 no.2
    • /
    • pp.201-248
    • /
    • 2015
  • In Korea the number of unlawful interference act on board aircrafts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growth of aviation demand, and there were 55 incidents in 2000, followed by 354 incidents in 2014, and an average of 211 incidents a year over the past five years. In 1963, a number of states adopted the Convention on Offences and Certain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ircraft (the Tokyo Convention 1963) as the first worldwide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on aviation security. The Tokyo Convention took effect in 1969 and, shortly afterward, in 1970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Seizure of Aircraft(the Hague Convention 1970) was adopted, and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Acts Against the Safety of Civil Aviation(the Montreal Convention 1971) was adopted in 1971. After 9/11 incidents in 2001, to amend and supplement the Montreal Convention 1971, the Convention on the Suppression of Unlawful Acts Relating t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the Beijing Convention 2010) was adopted in 2010, and to supplement the Hague Convention 1970, the Protocol Supplementary to the Convention for the Suppression of Unlawful Seizure of Aircraft(the Beijing Protocol 2010) was adopted in 2010. Since then, in response to increased cases of unruly behavior on board aircrafts which escalated in both severity and frequency,, the Montreal Protocol which is seen as an amendment to the Convention on Offences and Certain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ircraft(the Tokyo Convention 1963) was adopted in 2014. Korea ratified the Tokyo Convention 1963, the Hague Convention 1970, the Montreal Convention 1971, the Montreal Supplementary Protocol 1988, and the Convention on the Marking of Plastic Explosive 1991 which have proven to be effective. Under the Tokyo Convention ratified in 1970, Korea further enacted the Aircraft Navigation Safety Act in 1974, as well as the Aviation Safety and Security Act that replaced the Aircraft Navigation Safety Act in August 2002. Meanwhile, the title of the Aviation Safety and Security Act was changed to the Aviation Security Act in April 2014. The Aviation Security Act is essentially an implementing legislation of the Tokyo Convention and Hague Convention. Also the language of the Aviation Security Act is generally broader than the unruly and disruptive behavior in Sections 1-3 of the model legislation in ICAO Circular 288. The Aviation Security Act has reflected the considerable parts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under the Beijing Convention and Beijing Protocol 2010, and the Montreal Protocol 2014 that are the modernized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However, in future, when these international conventions would come into effect and Korea would ratify them, the national legislation that should be amended or provided newly in the Aviation Security Act are as followings : The jurisdiction, the definition of 'in flight', the immunity from the actions against the aircraft commander, etc., the compulsory delivery of the offender by the aircraft commander, etc., the strengthening of penalty on the person breaking the law, the enlargement of application to the accomplice, and the observance of international convention. Among them, particularly the Korean legislation is silent on the scope of the jurisdiction. Therefore, in order for jurisdiction to be extended to the extra-territorial cases of unruly and disruptive offences, it is desirable that either the Aviation Security Act or the general Crime Codes should be revis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eet the intelligent and diverse aviation threa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view closely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the current ratification status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by each state, and make effort to improve the legislation relating to aviation security and the aviation security system for the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legislation under international conventions.

A Feasibility Study on Joining "The Supplementary Fund Protocol" (2003 추가기금협약 가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 Cho, Dong-Oh;Mok, Jin-Yong;Baek, Kwa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3
    • /
    • pp.213-216
    • /
    • 2009
  • Since adopting 1969 CLC and 1971 FC, IMO increased maximum amount of compensation by adopting protocols of 1969 CLC and 1971 FC. Recently IMO adopted 2003 Supplementary Fund by which the compensation limits increased dramatically to 750 million SDR. Korea government has only entered 1992CLC/FC. However, since the Hebei Spirit incident in 2007, there have been strong claims that Korea government should enter 2003 Supplementary Fund. In this article, feasibility study was carried out to help Korea government decide whether or not entering the Convent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using data of the past oil spill accidents and contribution fee to IOPC Fund and showed that the benefit was much bigger than costs. The qualitative analysis in relation to resources fix compensation to victims, benefits of consignee, and the status of Korea in IMO also showed that Korea should ratify the 2003 SF.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User oriented Electron Agreement System to Improve Utilization for RMS system (연구관리지원시시스템 활용성 제고를 위한 사용자중심의 전자협약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Lee, Sang-Tae;Song, Jang-Geun;Jeong, Myeong-Su;Choe, Yong-Seok;No, Gi-Yong;Choe, Gi-Seok;Heo, T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8-171
    • /
    • 2007
  • 현재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협약체결은 협약당사자간 서류 협약서를 주고받으면서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어 연구비 지급 지연이 잤다. 또한 각 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하는 연구관리지원시스템에서도 이러한 기능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관리지원시스템 활용성 제고 위한 사용자중심의 전자협약시스템 구현하고자 한다. 전자협약시스템 도입으로 협약서류를 제출하지 않고 인터넷 시스템을 이용하여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연구자들에게 행정적 부담을 대폭 완화하고 연구기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시스템은 전자서명법에 의한 전자공인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협약체결에 따른 법률적 효력을 유지하면서, 연구기관의 협약서 보관 및 관리에 드는 인력,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어 선진연구관리기법의 정착을 통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ARPOL 협약증서 비치 면제 대상선박의 식별 및 관련 협약 개정에 관한 연구

  • Kim, Hoe-Jun;Park,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49-450
    • /
    • 2013
  • MARPOL 협약에 따르면 400톤 이상의 모든선박은 협약증서를 비치해야 한다. 기관이 미탑재 되거나, 선원이 없이 무인/무동력으로 운항되는 바지선의 경우 해양오염의 위험성이 크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MARPOL 협약의 적용을 위해 증서 비치 면제가 필요한 선박을 식별하여 각 부속서를 개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