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력지원

Search Result 1,5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for Water-related ODA Projects of South Korea (물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사업의 한계와 개선방향)

  • 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9-229
    • /
    • 2012
  • 물관리는 밀레니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의 달성과정에서 가장 강조되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물관리의 최종목표는 물관리 그 자체가 아니라 자연적으로는 유한한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 사회적으로는 계층간의 형평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한정된 국가재정으로 기반시설의 투자가 부족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빈발로 인하여 인간다운 삶의 질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여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미국, EU, 일본 등의 선진국은 물론 이웃 중국도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물 관련 사업의 공적개발원조(ODA)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대 개도국 협력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수행하는 ODA 사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 분야 지원사업도 식수개발, 댐건설, 관개시설 개발, 수질오염처리, 재해방지 예 경보 시스템 및 홍수조절사업 등으로 다방면에 걸쳐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사업은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컨설팅이나 교육훈련 등 소프트웨어 기반의 원조개발협력은 상대적으로 미진하고 물리적 인프라 위주의 지원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문가 파견 및 연수생 초청 등의 인적협력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사업내용의 대부분이 건물, 시설물 및 기자재 등의 구조적인 지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일찍이 대개도국 물 분야 사업을 추진한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들이 원조협력사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1992년 KOICA가 네팔 모디강 수력발전소 실시설계 지원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물 분야 사업도 이제 20년에 이르고 있다. 물 분야 지원사업도 새로운 방향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시아의 스리랑카와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의 2개 국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물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사례지역에 대한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의 현황과 당면과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물분야 지원사업의 추진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이 지향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선·화주 상생협력 인식조사와 발전방향

  • 황선일;최나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22-224
    • /
    • 2022
  •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선주와 화주의 상생협력에 대하여 해운선사와 국제물류주선업체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생협력 발전방향을 제시함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of Multicultual Agenc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 Area (다문화지원기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 Koo, Bon-Jin;Lee, Yeon-Ok;Chang, Durk-Hy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4
    • /
    • pp.403-426
    • /
    • 2015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network among multicultural agencies in Busan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uch agencies a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regional government offices, public libraries, social welfare centers, and other NGO-supported agencies,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operative networks are hardly in action except for the one among agencies which share their function, roles, and characteristics in common, that regional government offic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high density networks with other agencies and performed major roles. Public libraries, however, only collaborate with other libraries, or did not participated in the networks, which indicates that endeavors of public libraries to cooperate with other multicultural agencies is needed.

Segmentation Strategy of SMEs Support Program in GRIs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세분화 전략에 관한 연구)

  • Song, Minkyoung;Gil, Wun-Gyu;Sim, Yong-Ho;Kim, Seo-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160-17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egment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SMEs' perceptions of SME support program. That's why we used the research report of the NST(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which is advanced cooperation way between GRIs and SMEs based on market dem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the SME support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cooperation and the cooperation experience with GRIs. This implies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partnership between GRIs and SM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open collaborative ecosystem forma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e support strategies of each cluster. And it is expected to help SME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support through effective customization support do.

The Study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Focused on the case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f the Gwanggyo Technovalley-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 연구 -광교테크노밸리 산학협력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 Lee, Won-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8
    • /
    • pp.3477-3485
    • /
    • 2012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Gwanggyo Technovalley.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both theoretical study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approaches. Particularly,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cluster analysis of the innovation cluster. The major determinants for vitaliz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Gwanggyo Technovall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rategy form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cluster, the enhancement of the host institution capability and gradual enlargement of the role of the host institution. In terms of the needs of times, this study regarding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Gwanggyo Technovalley is anticipated to be a good reference for the R&D organizations and technology cluster participants in coming years.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as National Innovation System (우리나라 산학협력의 현황과 과제;국가혁신시스템 관점)

  • Sohn, Byung-Ho;Lee, Byung-Hyun;Jang, Ji-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 no.1
    • /
    • pp.23-52
    • /
    • 2006
  •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alms to produce synergy-empowerment through co-opt between university and business within R&D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lack of indigenous R&D capabilities makes Korean small businesses not ha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creased the budgetary supports on small businesses since the late 1990s to enhanc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es, the competitiveness gap between large and small firms has been widened. The alternative for the government support is considered as active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After exploring various policy measures for the collaboration with classifying them and pointing out their problems from a technological innovation perspective, this study shows the more expected roles of the collaboration to be a catalyst coordinating the R&D activities among the local small businesses, local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Based upon th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alternatives to facilitat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small businesses in the regional innovation clusters.

  • PDF

A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s based 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사물지능통신기반에서의 컴퓨터지원협력작업)

  • Ko, 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50-1151
    • /
    • 2011
  • 본 시스템은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개방형 API 중에서 컴퓨터 지원 협력 작업 API 에 대한 설계를 제안한다. 컴퓨터 지원 협력 환경이 잘 지원되면 개방형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 개발 시 비 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ODA 국제농업협력사업 - 베트남 원예특용작물생산 시설 및 기술 지원 -

  • Jo, Jun-Hyeong;Kim, Myeong-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21
    • /
    • 2010
  • 우리나라는 원조를 받는 수원국에서 원조를 주는 공여국로 성장한 최초의 국가이며, 경제력 신장에 따라 국제사회에서의 국가 위상 역시 크게 높아 졌다.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여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의 국제개발원조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범위가 넓어 실질적으로 농업부분의 원조는 2009년의 경우 250억 내외로 전체 지원금의 6.8-8.8%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업부문에 특성화된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첫째, 수혜국의 농업 농촌개발과 농가소득 증대에 따른 빈곤문제 해결은 물론, 둘째, 아국의 해외농업개발 및 해외농업자원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기본방향은 우리정부가 해외농업개발 및 농업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인 민간참여하에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컨소심엄 구성에 의한 사업추진을 유도함으로써 지원국과 수혜국 등 양국 모두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동국대학교 ODA사업은 아시아 중점 협력국인 베트남의 달랏 (Dalat)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시설 및 기술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베트남은 외국과의 경제협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도 농간 심각한 경제적 불균형과 농촌빈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달랏은 농업 환경여건이 원예 특용작물 생산에 적합한 지역이므로, 고부가가치 농산업의 특성화를 통한 베트남 농업 개선사업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적지이다. 본 사업은 베트남의 특성화된 고부가가치 작물 연구 및 생산지원, 한국 농기업과 연계한 베트남 원예 특용 농업유전자원의 지속적 확보와 이용, 국내 농산업관련기업의 해외시장 개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과 지원으로 베트남의 경제적 기술적 발전과 경제구조의 회복을 유도하고, 도 농간의 균형발전을 통한 저개발국가의 경제발전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의 해외 농업유전자원의 지속적 확보 및 이용, 대외 이미지 제고와 외교력 강화, 경제협력 강화와 국내 농산업 관련기업의 발전 및 해외 진출 확대, 국제회의 및 협상에서의 아국의 입지강화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view on design strategies for reflection-scaffolding tools in the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네트웍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성찰지원 도구 설계 전략 탐색)

  • Kim, Dong-Sik;Lee, Seung-Hee;Kim, Jee-il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5 no.3
    • /
    • pp.89-106
    • /
    • 2002
  •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for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environments relies on collaborative reflection. Reflection refers to the active, intellectual thinking for monitoring one's own learning process and continuous internal activities of exploring oneself for new learning experiences. Also, reflective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not only with the individual aspect of internal exploration but also with the social aspect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 This paper suggests four essential macro-level design strategies such as (1)facilitating collaborative awareness, (2)making thinking visualization, (3)negotiation-mediated knowledge construction, (4)providing metacognitive awareness cues or Questions for scaffolding collaborative reflection in the CSCL environments and made some implications for key functional features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ystem components for CSCL.

  • PDF

Government Visual Arts Support Policy (정부의 시각예술 지원정책)

  • Hyun, Young-ran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
    • v.60
    • /
    • pp.402-412
    • /
    • 2017
  • Since the 1990s, the role of the government has been shifting towards governance. This new governance emphasizes government's role in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private organizations through network structure and interaction. In the 1990s, Korean Government support for artists and exhibitions increased unprecedentedly. In the 2000s, support for the arts shifted in ways so as to integrate genr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reative capacities of artists, support for new artists, multi-art and fusion arts have increased. From 2010, 'visual arts' business support was provided. In addition, 'visual arts' was supported by a joint planning project from 2013 Also, an overseas residence program has actively supported exhibitions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s. Since 2005, it has expanded to cooperation with India, Iran and Asian countries as well as with the Betani Studio in Germany. In addition local government supported for artists and the Biennale, residences, regional cooperative business through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